1043. 역대하(2Chronicles)② - 솔로몬 성전 건축 시작과 마침, 성전 구조와 기구들
④ 성전건축 시작(대하 3:1~17, 왕상 6:1~38) - 2 기둥(대하 3:15~17)
★참고 - 524. 성전①~⑩

ⅰ) 솔로몬이 - 예루살렘 모리아 산에 -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 (대하 3:1a)
cf) 성전 건축 마침(대하 5:1)
※ 대하 5:1 - 솔로몬이 - 여호와의 전을 위하여
만드는 모든 일을 마친지라
⇒ 이에 솔로몬이 - 그의 아버지 다윗이 드린
은과 금과
모든 기구를 가져다가 -
※ 하나님의 전 - 곳간에 두었더라
ⅱ) 건축 장소 - 예루살렘 모리아 산(대하 3:1)
cf) 모리아산 -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로 드린 곳(창 22:2, 창 22:9)
★참고 - 278. 모리아 산
= 오르난 타작마당(대상 21:28)
= 아라우나 타작마당(삼하 24:18~25)
★참고 - 704. 아라우나
※ 그 곳은 - ❶ 전에 여호와께서- 그의 아버지 다윗에게 나타나신 곳이요
❷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-
※ 다윗이 정한 곳이라(대하 3:1b)

ⅲ) 건축 시작 시기 - 애굽에서 나온지 480년 되는 해.(왕상 6:1)
cf) 성전과 왕궁을 건축 - 20년 동안(왕상 9:10, 왕상 5:5, 왕상 6:1, 왕상 7:1)
⇒ 성전 7년(왕상 6:38) + 궁전 13년(왕상 7:1) = 20년
※ 왕궁 3개 - ❶ 레바논 나무 왕궁(왕상 7:2)
❷ 솔로몬이 거할 왕궁(왕상 7:8a)
❸ 바로의 딸이 거할 집(왕상 7:8b)
cf) 바로 - 시아멘(Siamen = 시아문)
(BC 967년 ~ BC 943년)
이집트 제 3 중간기 제 21왕조
Ⓐ 기간 - 솔로몬 4년 2월 2일(대하 3:2) ~ 11년 8월(왕상 6:38)
⇒ 7년 6개월 걸림(왕상 6:38)(BC 966~BC 959)
cf) 왕상 6:38 - 7년이라고 기록됨.
※ 왕상 6:1 -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지 - 480년이요
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된 지 - 4년 시브월
곧 2째 달에
※ 솔로몬이 - 여호와를 위하여 -
⇒ 성전 건축하기를 - 시작하였더라
왕상 7:1 - 솔로몬이 - 자기의 왕궁을 - 13년 동안 건축하여
⇒ 그 전부를 - 준공하니라
※ 왕상 7:38 - 11째 해 불월 곧 8째 달에
※ 그 설계와 식양대로 - 성전 건축이 다 끝났으니
⇒ 솔로몬이 - 7년 동안 - 성전을 건축하였더라
왕상 9:10 - 솔로몬이 2 집 - 곧 여호와의 성전과 왕궁을 -
※ 20년 만에 - 건축하기를 마치고

Ⓑ 낙성식(봉헌식) - 솔로몬 12년 7월 8일~14일(대하 7:9)
⇒ 성전 완공일로부터 1- 1개월 후(대하 7:9)
※ 대하 7:8 - 그 때에 솔로몬이 - 7일 동안 절기를 지켰는데
※ 하맛 어귀에서부터 애굽 강까지의
온 이스라엘의 심히 큰 회중이 모여 -
⇒ 그와 함께 하였더니
대하 7:9 - 8째 날에 - 무리가 한 성회를 여니라
※ 제단의 낙성식을 - 7일 동안 행한 후 -
⇒ 이 절기를 - 7일 동안 지키니라
ⅳ) 성전 건축할 때 - 방망이나 도끼나 철 연장 소리가 들리지 않았음.(왕상 6:7)
cf) 이유 - 돌을 뜨는 곳에서 다듬고 - 가져다가 건축함.(왕상 6:7)
※ 왕상 6:7 - 이 성전은 - 건축할 때에 -
※ 돌을 그 뜨는 곳에서 - 다듬고
⇒ 가져다가 건축하였으므로
건축하는 동안에 - 성전 속에서는 -
⇒ 방망이나 도끼나 모든 철 연장 소리가 - 들리지 아니하였으며
ⅴ) 성전 크기(대하 3:3, 왕상 6:2)
※ 대하 3:3a - 솔로몬이 -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놓은 지대는
이러하니 -
옛날에 쓰던 자로 -
※ 성전 - ❶ 길이가 - 60 규빗(27m)(대하 3:3b)
❷ 너비가 - 20 규빗(9m)(대하 3:3c)
❸ 높이 - 30 규빗(13.5m)(왕상 6:3c)

ⅵ) 성전 앞에 있는 낭실(현관) - 길이가 - 20 규빗(9m) - 높이가 - 120 규빗(54m)
※ 안에는 - 순금으로 입혔으며(대하 3:4)
cf) 높이 120규빗 - 이것은 20규빗을 잘못 기록한 오역으로 봄.
※ 낭실이 아닌 높은 망대가 되어 - 어울리지 않음.
⇒ NIV 는 - 아예 20규빗(9m)로 기록함.

ⅶ) 성전 내부 장식(대하 3:5~17, 왕상 6:14~38)

Ⓐ 그 대전 천장은 - 잣나무로 만들고
- 또 순금으로 입히고
※ 그 위에 - 종려나무와 사슬 형상을 - 새겼고(대하 3:5)
Ⓑ 보석으로 - 성전을 꾸며 화려하게 하였으니 -
❶ 그 금은 - 바르와임 금이며(대하 3:6)
❷ 또 금으로 - 성전과 그 들보와 문지방과 벽과 문짝에 - 입히고 (대하 3:7a)
❸ 벽에 - 그룹들을 아로새겼더라(대하 3:7b)
cf) 안벽 - 백향목 널판(왕상 6:15)
※ 판에 - 박과 핀 꽃을 아로새김(왕상 6:18)
마루 - 잣나무 널판(왕상 6:15)
백향목 널판으로 - 성소(외소)와 지성소(내소)를 나눔.
(왕상 6:16, 대하 3:8)
⒈ 외소 - 40규빗(18m)
⒉ 지성전(내소) - 20규빗(9m)
※ 모두 - 정금으로 입힘(왕상 6:21)
Ⓒ 지성소(대하 3:8, 왕상 6:17~20) - ❶ 언약궤 ❷ 그룹 2개가 있다.
(대하 5:2~6:2, 왕상 8:1)
※ 외소 - 40 규빗(18m)(왕상 6:17)
ⓐ 또 지성소를 지었으니 -
❶ 길이 - 20 규빗(9m)
❷ 너비 - 20 규빗(9m)
❸ 높이 - 20 규빗(9m)이라(대하 3:8a)
ⓑ 순금 600달란트(20톤)로 - 입혔으니(대하 3:8b, 왕상 6:20)
※ 못 무게가 - 금 50세겔(570g) 이요
⇒ 다락들도 - 금으로 입혔더라(대하 3:9)
Ⓓ 속죄소 - 2개의 그룹 사이 - 주의 보좌, 여호와가 말씀하시는 곳.
(출 25:17~22, 삼하 6:2, 왕하 19:15, 시 80:1, 사 37:16)
※ 여호와 - “속죄소를 - 궤 위에 얹고 -
⇒ 내가 네게 줄 증거판을 - 궤 속에 넣으라!.(출 25:21)
❶ 거기서 - 내가 너와 - 만나고
❷ 속죄소 위
곧 증거궤 위에 있는 두 그룹 사이에서 -
※ 내가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- 네게 명령할 모든 일을
네게 이르리라.”(출 25:22)
※ 여호와 - “네 형 아론에게 이르라!..
성소의 휘장 안 법궤 위 - 속죄소 앞에 -
※ 아무 때나 - 들어오지 말라!.
⇒ 그리하여 - 죽지 않도록 하라!.
이는 - 내가 구름 가운데에서 -
※ 속죄소 위에 - 나타남 이니라”(레 16:2)
Ⓔ 그룹들의 - 크기와 모습(대하 3:10~12, 왕상 6:23~28)
ⓐ 있는 장소 - 지성소 언약궤 뒤쪽 - 나란히 서 있음(왕상 6:27)
cf) 모세의 성막 지성소안 언약궤 뚜껑 - 얼굴을 마주봄(출 25:20)
※ 출 25:20 - 그룹들은 -
❶ 그 날개를 - 높이 펴서 -
⇒ 그 날개로 - 속죄소를 덮으며
❷ 그 얼굴을 서로 대하여 - 속죄소를 향하게 하고

ⓑ 모양 - 그 얼굴을 - 내전으로 향하여 서 있으며(대하 3:13b)
※ ❶ 나란히 서서 - 정면을 보고
❷ 날개를 - 펴고 있음.
cf) 모세시대 - 얼굴(1개), 날개(2개)
※ 모세의 성막 지성소안 언약궤 뚜껑- 얼굴을 마주 봄.
(출 25:20)
ⓒ 재질 - 감람나무로 만든 후 - 금으로 입힘.(대하 3:10, 왕상 6:23)
※ 대하 3:10 - 지성소 안에 -
※ 2 그룹의 형상을 새겨 만들어 -
⇒ 금으로 입혔으니
※ 왕상 6:23 - 내소 안에 -
※ 감람나무로 - 두 그룹을 만들었는데
그 높이가 - 각각 10규(4.5m)빗이라
ⓓ 2 그룹의 날개 길이 - 모두 20규빗(9m)(대하 3:11a)
※ 대하 3:13a - 이 2 그룹이 편 날개가 -
※ 모두 20규빗(9m)이라
❶ 왼쪽 그룹의 - 한 날개는 - 5규빗(2.3m)이니 - 성전 벽에 닿았고
- 그 다른 날개도 - 5규빗(2.3m)이니
※ 오른쪽 그룹의 날개에 - 닿았으며(대하 3:11b)
❷ 오른쪽 그룹의 - 한 날개도 - 5규빗(2.3m)이니 - 성전 벽에 닿았고
- 그 다른 날개도 - 5규빗(2.3m)이니
※ 왼쪽 그룹의 날개에 - 닿았으며(대하 3:12)
ⓔ 높이 - 10규빗(4.5m)
※ 왕상 6:23b - 이 그룹의 높이가 -
※ 10규빗(4.5m)이요
Ⓕ 휘장문(대하 3:14)
※ 성소와 지성소 사이의 휘장에도 - 그룹들이 수놓아짐.
⇒ 그룹들이 지킴.(출 26:31~34)
ⓐ 청색 자색 홍색 실과 고운 베로 - 휘장문을 짓고(대하 3:14a)
ⓑ 그 위에 - 그룹의 형상을 수놓았더라(대하 3:14b)
cf) 휘장 - 지성소와 성소 사이의 가림막
ⓒ 예수 그리스도가 돌아가셨을 때 - 성소의 휘장 한 가운데가 찢겨짐.
(눅 23:44~46)
⇒ 인간 대제사장이 아닌 - 예수그리스도를 통하여 -
❶ 하나님과 직접 교제할 수 있게 됨.
❷ 화목제물이 되셨음.
★참고 - 79. 그리스도①~⑩
※ 눅 23:44 - 때가 제 6시( = 정오 12시)쯤 되어
※ 해가 빛을 잃고 - 온 땅에 어둠이 임하여 -
⇒ 제 9시( = 오후 3시)까지 계속하며
눅 23:45 - 성소의 휘장이 -
※ 한가운데가 - 찢어지더라
눅 23:46 - 예수께서 - 큰 소리로 불러 이르시되
※ “아버지!.
내 영혼을 -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.”
하고
⇒ 이 말씀을 하신 후 - 숨지시니라

ⅷ) 2개의 놋기둥 - ❶ 야긴 ❷ 보아스(대하 3:15~17, 왕상 7:13)
Ⓐ 성전 앞에 - 기둥 2을 만들었으니 -
⒈ 높이가 - 35 규빗(15.75m)이요(대하 3:15a)
cf) 왕상 7:15 - 18규빗(8.1m)로 기록됨.
⒉ 각 기둥 꼭대기의 머리가 - 5 규빗(2.3m)이라(대하 3:15b)
Ⓑ 성소같이 사슬을 만들어 - 그 기둥머리에 두르고(대하 3:16a)
Ⓒ 석류 100개를 만들어 - 사슬에 달았으며(대하 3:16b)
Ⓓ 위치 - 그 2 기둥을 - 성전 앞에 세웠으니 -
❶ 왼쪽에 1요 - 보아스
❷ 오른쪽에 1라 - 야긴(대하 3:17)

⑤ 성전 안에 있는 물건들(대하 4:1~5:1, 왕상 7:23~51)
※ 대하 4:19a - 솔로몬이 또 -
※ 하나님의 전의 모든 기구를 - 만들었으니
❶ 왕이 - 요단 평지에서 숙곳과 스레다 사이의 -
※ 진흙에 그것들을 부어 내었더라(대하 4:17)
❷ 솔로몬이 이 모든 기구를 - 매우 많이 만들었으므로
⇒ 그 놋 무게를 - 능히 측량할 수 없었더라(대하 4:18)
ⅰ) 놋제단(번제단)(대하 4:1)
Ⓐ 목적 - 제물을 태움, 성전 예배의 중심역할(대하 4:1)
Ⓑ 크기 - ❶ 길이 - 20 규빗(9m)
❷ 너비 - 20 규빗(9m)
❸ 높이 - 10 규빗(4.5m)이며(대하 4:1b)

ⅱ) 놋바다 - 12마리 소 받침대 - 동서남북으로 4마리씩.(대하 4:2~5, 대하 4:6d, 왕상 7:23~26)

Ⓐ 목적 - 제사장들의 정결 의식에 사용 - 손, 발을 씻음.
※ 그 바다는 - 제사장들이 씻기 위한 것이더라(대하 4:6d)
Ⓑ 위치 - 성전 오른쪽 동남방(대하 4:10)
※ 대하 4:10 - 그 바다는 - 성전 오른쪽 동남방에 두었더라
Ⓒ 크기 -
❶ 지름 - 10 규빗(4.5m)(대하 4:2b)
❷ 높이 - 5 규빗(2.3m)(대하 4:2d)
❸ 둘레 - 30 규빗(13.5m)
※ 주위는 - 30 규빗 길이의 줄을
두를 만하며(대하 4:2e)
❹ 두께 - 한 손 너비만 함.(대하 4:5a)
❺ 용량 - 3,000밧(44㎘)(대하 4:5c)
※ 그 바다에는 - 3,000 밧을 담겠으며(대하 4:5c)
Ⓓ 모양 -
❶ 둥글며(대하 4:2c)
❷ 그 가장자리 아래에는 - 돌아가며 - 소 형상이 있는데(대하 4:3a)
❸ 각 규빗에 - 소가 10마씩 있어서 -
※ 바다 주위에 둘렸으니(대하 4:3b)
❹ 그 소는 - 바다를 부어 만들 때에 -
※ 2 줄로 - 부어 만들었으며(대하 4:3c)
❺ 그 바다를 - 놋쇠 황소 12마리가 받쳤으니 -
※ 3 마리는 - 북쪽을 향하였고
3 마리는 - 서쪽을 향하였고
3 마리는 - 남쪽을 향하였고
3 마리는 - 동쪽을 향하였으며(대하 4:4a)
❻ 바다를 - 그 위에 놓았고(대하 4:4b)
❼ 소의 엉덩이는 - 다 안으로 향하였으며(대하 4:4c)
❽ 그 둘레는 - 잔 둘레와 같이 - 백합화의 모양으로 만들었으니(대하 4:5b)
ⅲ) 물두멍 - 10개 - 성전 좌우에 5개씩(대하 4:6, 왕상 7:38)
Ⓐ 목적 - 번제에 속한 물건을 - 거기서 씻게 하였으며(대하 4:6b)
Ⓑ 위치 - ❶ 오른쪽 - 5개
❷ 왼쪽 - 5개(대하 4:6a)
❸ 놋수레 10개 위에 - 각각 올려 놓음(왕상 7:38c)
※ 10 받침 수레 위에 - 각각 물두멍이 1씩
이더라(왕상 7:38c)


ⅳ) 놋수레 - 10개 - 빛나는 놋으로 만듦(대하 4:6, 왕상 7:27~37)
Ⓐ 목적 - 물두멍을 놋수레 위에 올려놓음(대하 4:6, 왕상 7:38)
※ 왕상 7:37 - 이와 같이 받침 수레 - 10개를 만들었는데
※ 그 부어 만든 법과
크기와 양식을 -
⇒ 다 동일하게 만들었더라
Ⓑ 또 놋으로 - 받침 수레 10을 만들었으니(왕상 7:27a)
Ⓒ 위치 - 받침 수레 - 5 은 - 성전 오른쪽에 두었고
- 5 은 - 성전 왼쪽에 두었고(왕상 7:39a)
Ⓓ 크기 -
❶ 길이가 - 4규빗(1.8m)
❷ 너비가 - 4 규빗(1.8m)
❸ 높이가 - 3 규빗(1.4m)(왕상 7:27b)
Ⓔ 구조 -
❶ 사면 - 옆 가장자리 가운데에는 - 판이 있고(왕상 7:28)
❷ 가장자리 가운데 판에는 - 사자와 소와 그룹들이 있고 (왕상 7:29a)
❸ 가장자리 위에는 - 놓는 자리가 있고(왕상 7:29b)
❹ 사자와 소 아래에는 - 화환 모양이 있으며(왕상 7:29c)
❺ 그 받침 수레에 - 각각 4 놋바퀴와 - 놋축이 있고(왕상 7:30a)
❻ 받침 수레 4 발 밑에는 - 어깨 같은 것이 있으며(왕상 7:30b)
※ 그 어깨 같은 것은 - 물두멍 아래쪽에 부어 만들었고(왕상 7:30c)
⇒ 물통을 얹을 수 있는 - 4 발이 있으며
❼ 화환은 - 각각 그 옆에 있으며(왕상 7:30d)
⇒ 그 발은 - 화환으로 장식되어 있었다
❽ 그 받침 수레 위로 - 들이켜 -
※ 높이가 - 1 규빗(45cm) 되게 내민 것이 있고
그 면은 - 직경 1 규빗 반(68cm) 되게
반원형으로 우묵하며(왕상 7:31a)
❾ 그 나머지 면에는 - 아로새긴 것이 있으며 -
※ 그 내민 판들은 - 네모지고 둥글지 아니하며(왕상 7:31b)
❿ 4바퀴는 - 옆판 밑에 있고
⒈ 바퀴 축은 - 받침 수레에 연결되었는데
⒉ 바퀴의 높이는 - 각각 1규빗 1/2(68cm)이며(왕상 7:32)
⒊ 바퀴의 구조는 - 병거 바퀴의 구조 같은데 -
※ 그 축과 테와 살과 통이 -
⇒ 다 부어 만든 것이며(왕상 7:33)
⓫ 받침 수레 4 모퉁이에 - 어깨 같은 것 4이 있는데 -
※ 그 어깨는 - 받침 수레와 연결되었고(왕상 7:34)
⓬ 받침 수레 위에 - 둥근 테두리가 있는데 -
※ 높이가 - 반 규빗(23cm)이요(왕상 7:35a)
⓭ 또 받침 수레 위의 - 버팀대와 옆판들이 -
※ 받침 수레와 - 연결되었고(왕상 7:35b)
⓮ 버팀대 판과 옆 판에는 -
⒈ 각각 빈 곳을 따라 -
※ 그룹들과 사자와 종려나무를 - 아로새겼고
⒉ 또 그 둘레에 - 화환 모양이 있더라(왕상 7:36)
ⅴ) 등잔대 - 좌우에 5개씩 - 성소 내부를 밝힘 - 금으로 만듦.(대하 4:7, 왕상 7:49)
※ 대하 4:7 - 또 규례대로
※ 금으로 - 등잔대 10개를 만들어 -
⇒ 내전 안에 두었으니 -
❶ 왼쪽에 - 5개요
❷ 오른쪽에 - 5개이며

ⅵ) 떡상 - 진설병을 올려 놓음 - 좌우 5개씩. - 금으로 만듦.(대하 4:8, 대하 4:19, 왕상 7:48)
※ 대하 4:8 - 또 상 10개를 만들어 - 내전 안에 두었으니
❶ 왼쪽에 - 5개요
❷ 오른쪽에 - 5개이며
또 금으로 - 대접 100개를 만들었고

ⅶ) 놋문 - 문에 놋을 입힘 - 각 뜰 문을 만든 뒤(대하 4:9)
❶ 제사장의 뜰 ❷ 큰 뜰( =일반인들을 위한 뜰)
※ 대하 4:9 - 또 제사장의 뜰과
큰 뜰과 뜰 문을 만들고 -
※ 그 문짝에 - 놋을 입혔고

ⅷ) 이와 같이 후람( = 히람②)이 - 솔로몬 왕을 위하여 -
※ 하나님의 성전에서 할 일을 - 마쳤으니(대하 4:11b)
Ⓐ 곧 - 기둥 - 2과
그 기둥 꼭대기의 공 같은 머리 - 2과
또 기둥 꼭대기의 공 같은 기둥머리를 가리는 그물 - 2과(대하 4:12)
또 그 그물들을 위하여 만든 - 각 그물에 - 2줄씩으로
기둥 위의 공 같은 2 머리를 가리는 - 석류 400개와(대하 4:13)
Ⓑ 받침과 받침 위의 - 물두멍과(대하 4:14)
Ⓒ 1 바다와 - 그 바다 아래에
소 12마리와(대하 4:15)
Ⓓ 솥과 부삽과 고기 갈고리와 - 여호와의 전의 모든 그릇들이라(대하 4:16)
ⓐ 솥 - 제물을 삶음 - 재를 담는 도구로 사용 - 빛나는 놋으로 만듦.
(대하 4:11a, 대하 4:16a, 왕상 7:45)
※ 대하 4:11a - 후람이 또 - 솥과 부삽과 대접을
만들었더라
ⓑ 부삽 - 제단에서 나온 재를 긁어 모으는 도구 - 놋
(대하 4:11a, 대하 4:16b, 왕상 7:45)
ⓒ 고기 갈고리 - 제물을 제단에 올리는 기구 - 놋 (대하 4:16c)
ⅸ) 왕이 - 요단 평지에서 - 숙곳과 스레다 사이의 진흙에
그것들을 부어 내었더라(대상 4:17)
※ 이와 같이 솔로몬이 - 이 모든 기구를 매우 많이 만들었으므로
⇒ 그 놋 무게를 - 능히 측량할 수 없었더라(대상 4:18)
ⅹ) 솔로몬이 또 - 하나님의 전의 모든 기구를 만들었으니 곧 -
Ⓐ 금 제단과 진설병 상들과(대상 4:19)
cf) 금제단 - 분향단 - 향을 드리는 기구(대하 4:19, 왕상 7:48)
Ⓑ 지성소 앞에서 - 규례대로 불을 켤 - 순금 등잔대와
그 등잔이며(대상 4:20)
Ⓒ 또 순수한 금으로 만든 - 꽃과 등잔과 부젓가락이며(대상 4:21)
cf) 부젓가락 - 제단의 숯을 집는 기구 - 금으로 만듦.
Ⓓ 또 순금으로 만든 - 불집게와 주발과
숟가락과 불 옮기는 그릇이며(대상 4:22a)
ⓐ 불집게 - 등잔의 심지를 다듬는 기구 - 순금으로 만듦.(왕상 7:50)
ⓑ 주발(대접) - 제물의 피를 담는 기구(왕상 7:45)
ⓒ 숟가락 - 향료를 담거나 뜨는 기구(왕상 7:50)
ⓓ 불 옮기는 그릇 - 제단의 불을 향단으로 옮기는 기구(왕상 7:50)
Ⓔ 또 성전 문 곧 지성소의 문과 내전의 문을 - 금으로 입혔더라(대상 4:22b)
ⅺ) 솔로몬이 - 여호와의 전을 위하여 만드는 모든 일을 - 마친지라
※ 이에 솔로몬이 - 그의 아버지 다윗이 드린
은과 금과 모든 기구를 가져다가 -
⇒ 하나님의 전 - 곳간에 두었더라(대하 5:1)
'13. 역대상하 ~ 영지주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43. 역대하(2Chronicles)④ - 솔로몬과 스바 여왕, 솔로몬의 우상 섬김과 하나님의 심판 (0) | 2025.03.16 |
---|---|
1043. 역대하(2Chronicles)③ - 언약궤를 성전으로 옮김, 낙성식, 솔로몬의 기도 (0) | 2025.03.15 |
1043. 역대하(2Chronicles)① - 역대기하 특징과 내용, 솔로몬의 지혜와 성전 건축 준비 (0) | 2025.03.14 |
1042. 역대상(Chronicles)⑧ - 다윗의 군대 조직, 다윗이 성전 건축을 위해 준비한 것들 (0) | 2025.03.13 |
1042. 역대상(Chronicles)⑦ - 다윗이 성전 건축을 준비하고 솔로몬에게 명령 (0) | 2025.03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