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38. 바로(Pharaoh) - 이집트 파라오, 성경에 나오는 이집트(애굽) 왕들
① 의미 - ‘큰 집’
② 파라오 = 애굽(이집트)의 왕을 칭함.
③ 총 26 왕조가 있었다.
※ 메네스(BC 3,400) ~ 페르시아에 의해 폐위된 프삼틱 3세까지(BC 525)
④ 개개인 바로의 이름은 출생시에 붙여짐.
ex) 바로 시삭, 바로 느고, 바로 호프라 등 . . .
⑤ 이집트가 다른 나라의 식민지가 되면 - 그 정복자가 이집트의 파라오가 되었다.
cf) 앗수르(앗시리아) → 바벨론(바빌론) → 바사(페르시아) → 헬라(그리스) →
→ 로마에 차례로 점령됨.
⇒ 점령국의 왕이 - 애굽의 바로가 되어 통치함.
⇒ 이집트와 근접한 이스라엘도 - 이들의 지배를 받게 됨.
(1) 구약 시대 바로(파라오)
① 아브라함 당시의 바로 - ●11왕조 인테프 2세 Intef Ⅱ(창 12:10~20)
※ 사라를 - 부인으로 삼으려 했음.
⇒ 사라가 - 바로의 부인이 되었다가 나오게 됨.(창 12:11~19)
ⅰ) 그가 - 애굽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에 -
⇒ 그의 아내 사래에게 말하되(창 12:11a)
※ 아브라함 - “내가 알기에 - 그대는 아리따운 여인이라(창 12:11b)
애굽 사람이 - 그대를 볼 때에 이르기를 -
※ “이는 - 그의 아내라!.”
하여
⇒ 나는 - 죽이고
그대는 - 살리리니(창 12:12)
원하건대 그대는 - 나의 누이라 하라!.
⇒ 그러면 내가 - 그대로 말미암아 안전하고
내 목숨이 - 그대로 말미암아 보존되리라.”
(창 12:13)
ⅱ) 바로의 고관들도 - 그를 보고 - 바로 앞에서 칭찬하므로 -
⇒ 그 여인을 - 바로의 궁으로 이끌어들인지라(창 12:15)
ⅲ) 여호와께서 - 아브람의 아내 사래의 일로 -
⇒ 바로와 그 집에 - 큰 재앙을 내리신지라(창 12:17)
※ 바로 - “네가 어찌하여 - 나에게 이렇게 행하였느냐?
네가 어찌하여 - 그를 네 아내라고 - 내게 말하지 아니하였느냐?(창 12:18)
네가 어찌 - 그를 누이라 하여 -
⇒ 내가 - 그를 데려다가 - 아내를 삼게 하였느냐?
※ 네 아내가 여기 있으니 - 이제 데려가라!.”(창 12:19)
② 요셉①과 관계있는 바로(파라오)
❶ 12 왕조 아메넴헤트 2세 Ⅱ (Amenemhat Ⅱ)(BC 1929년 ~ BC 1895년)
❷ 12 왕조 세소스트리스 2세(Sesostris Ⅱ)(창 37:36)(BC 1899년)
❸ 12왕조 세소스트리스 3세( = 세누스레트 3세 Senuseret Ⅲ)
❹ 12왕조 아메넴헤트 3세 Amenemhet Ⅲ(창 49:33~50:14, 창 50:2~3, 창 50:26)
ⅰ) ●아메넴헤트 2세 Ⅱ (Amenemhat Ⅱ)때(BC 1929년 ~ BC 1895년)
Ⓐ 요셉①의 형제들이 - 요셉①을 죽이려함.
Ⓑ 요셉①이 - 미디안 상인들에게 팔려 - 애굽으로 가게 됨. (창 37:13~30)
ⅱ) ●세소스트리스 2세(Sesostris Ⅱ)때(창 37:36)(BC 1899년)
Ⓐ 요셉①이 - 애굽으로 내려가 - 시위대장 보디발에게 팔림.(17세)
※ 창 37:36 - 그 미디안 사람들은
그를 - 애굽에서 바로의 신하 친위대장 보디발에게 - 팔았더라
Ⓑ 바로의 꿈 - 요셉①이 바로의 꿈을 해석함(창 41:1~36)
※ 7년 풍년 뒤 - 7년 기근(창 41:1~36)
Ⓒ 요셉①이 애굽의 총리가 됨 - 30세(창 41:37~57)
Ⓓ 요셉①의 애굽식 이름을 지어줌 - ‘사브낫바네아’(창 41:45)
※ 창 41:45a - 그가 요셉①의 이름을 -
※ ‘사브낫바네아’라 하고
Ⓔ 요셉①을 결혼시킴 - 애굽 온의 제사장의 딸 아스낫과.(창 41:45b) cf)
❶ 요셉①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서 - 바로가 결혼시킴.
❷ 탈무드 - 보디발과 보디베라(온 제사장)를 같은 인물로 본다.
※ 요셉①의 무죄가 밝혀지자 - 자신의 딸을 줌으로써 -
⇒ 요셉①의 강간죄를 - 공식적으로 무마함.
(창 39:1~20, 창 41:45)
ⅲ) ●세소스트리스 3세( = 세누스레트 3세 Senuseret Ⅲ)
Ⓐ 애굽과 가나안에 - 큰 기근이 생김.(창 41:53~57, 창 42:3)
Ⓑ 요셉의 형제들이 - 애굽으로 양식을 구하러 옴.(창 42:3~6)
Ⓒ 요셉①의 가족에게 - 고센 땅을 내어 줌.(창 45:17~20)
Ⓓ 야곱과 모든 가족들이 - 입(入)애굽(창 46:5~28)
※ 창 46:7 - 이와 같이 야곱이
그 아들들과 손자들과 딸들과 손녀들 -
※ 곧 그의 모든 자손을 데리고 -
⇒ 애굽으로 갔더라
ⅳ) ●아메넴헤트 3세 Amenemhet Ⅲ(창 49:33~50:14, 창 50:2~3, 창 50:26)
Ⓐ 아버지 야곱이 - 애굽에서 죽음.
⇒ 애굽에서 - 시신을 처리하고 - 70일 동안 애곡함.(창 50:2~3)
Ⓑ 야곱이 장사됨 - 가나안 땅 헤브론 마므레 앞 막벨라 밭 굴(가족묘)(창 50:13)
Ⓒ 요셉①이 - 애굽에서 죽음(110세)
ⓐ 요셉①도 - 미리아가 됨.(창 50:26)
※ 창 50:26 - 요셉①이 110세에 – 죽으매 -
※ 그들이 - 그의 몸에 향 재료를 넣고 -
⇒ 애굽에서 - 입관하였더라
ⓑ 유언 – “출애굽 때 - 내 해골을 애굽에서 가지고 나가
세겜에 묻으라!”.(창 50:24~26)
cf) 아버지 야곱의 유언을 기억함(창 48:21)
③ 모세, 출애굽시대 -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을 억압한 바로.(출 1~15장)
※ 요셉을 알지 못하는 왕(출 1:8)
cf) 힉소스 왕조가 - 이미 붕괴되었고
외국인들은 - 노예로 전락된 상태였다.
❶ 투트모세 1세 - 모세가 아기였을 때, 핱셉수트 공주의 아버지(출 2:5)
❷ 투트모세 2세 - 핱셉수트 공주의 남편, 핱셉수트의 이복 남매
- 궁녀 사이에서 아들이 있었다.
※ 투트모세 3세.
❸ 핱셉수트 - 투트모세 1세의 딸, 모세의 양어머
❹ 투트모세 3세 - 투트모세 2세와 궁녀가 낳은 아들.
- 모세 40세까지의 왕.
- 모세와 늘 경쟁 관계에 있었다.
⇒ 모세를 죽이려함.
❺ 아멘호텝 2세 - 모세 출애굽 때 왕, 홓해에서 익사
❻ 투트모세 4세 - 모세 광야 시대와 여호수아① 가나안 정복 시작 시기의 왕
ⅰ) 모세 출생 시대 - ❶ 투트모세 1세 ❷ 투트모세 2세 ❸ 핱셉수트 ❹ 투트모세 3세
★참고 - 모세①
Ⓐ 모세가 - 바로의 딸 핱셉수트의 - 양아들이 됨.
⇒ 모세가 이집트의 왕자가 됨.
⇒ 이집트 궁전 안에서 왕자로서의 - 다양한 교육을 받게 됨.
⇒ 출애굽시 광야에서 인도할 수 있는 - 지도력을 갖추게 됨.
Ⓑ 핱셉수트 - 투트모세 1세의 딸,
- 투트모세 2세의 이복 누이이자 아내,
- 모세의 양어머니(출 2:5)
※ 출 2:5 - 바로의 딸이 - 목욕하러 나일 강으로 내려오고
시녀들은 - 나일 강 가를 거닐 때에
그가 - 갈대 사이의 상자를 보고 -
⇒ 시녀를 보내어 가져다가
※ 출 2:9 - 바로의 딸이 - 그에게 이르되 -
※ “이 아기를 데려다가 - 나를 위하여 젖을 먹이라!.
⇒ 내가 - 그 삯을 주리라.”
여인이 - 아기를 데려다가 - 젖을 먹이더니
출 2:10 - 그 아기가 자라매 - 바로의 딸에게로 데려가니 -
⇒ ❶ 그가 - 그의 아들이 되니라
❷ 그가 - 그의 이름을 - ‘모세’라 하여
이르되 -
※ “이는 - “내가 그를 - 물에서 건져내었음이라.”
하였더라
ⅱ) 모세가 살인 후 미디안으로 도망감 - ●투트모세 3세 때.(출 2:15)
★참고 - 모세②
cf) 투트모세 3세 - 투트모세 2세와 궁녀가 낳은 아들.
※ 핱셉수트가 낳은 아들이 아님.
※ 출 2:15 - 바로가 - 이 일을 듣고 -
⇒ 모세를 - 죽이고자 하여 찾는지라
모세가 - 바로의 낯을 피하여 - 미디안 땅에 머물며 -
※ 하루는 - 우물 곁에 앉았더라
ⅲ) 출애굽시대 - ●아멘호텝 2세(출 12:29)
★참고 - 모세②③④
Ⓐ 아버지 - 투트모세 3세
Ⓑ 아들 - ❶ 위벤세누 ❷ 투트모세 4세
cf) 위벤세누 - 아멘호텝 2세의 장자
⇒ 10 재앙 중 장자의 재앙때 - 죽임 당함(출 12:29)
※ 출 12:29 - 밤중에
여호와께서 -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-
※ 곧 왕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
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
가축의 처음 난 것을 -
⇒ 다 치시매
Ⓓ 바다에 빠져 죽음 - 출애굽하는 이스라엘을 뒤쫓다가 홍해에서(출 15:4)
※ 출 15:4 - 그가 - 바로의 병거와
그의 군대를 - 바다에 던지시니 -
⇒ 최고의 지휘관들이 - 홍해에 잠겼고
Ⓔ ●투트모세 4세가 - 아멘호텝 2세의 뒤를 이어 왕이됨.
❶ 아버지 아멘호텝 2세는 - 홍해에서 익사
❷ 형 위벤세누는 - 장자의 재앙 때 죽었기 때문에
④ 여호수아① 가나안 정복기 시대 - ●투트모세 4세
❶ 요단 서편 땅 분할 (수 14~17장),
❷ 실로에 회막 세움 (수 18:1)
❸ 여호수아① 사망 (수 24:29)
⑥ 솔로몬 시대 - ●시삭(세숀크 1세)(왕상 3:1, 왕상 9:16~24, 왕상 11:1)
ⅰ) 리비아 왕조의 창시자.
Ⓐ 그의 왕조는 - 약 200년 동안 지속됨.
Ⓑ 통치하는 동안 - 끊임없는 반란, 경제 침체, 무능한 정치력 등으로-
⇒ 견고한 왕조는 되지 못함.
ⅱ) 시삭(세숀크 1세)과 여로보암①
Ⓐ 시삭의 통치 초기에 - 여로보암①이 솔로몬의 노를 피하여
애굽으로 피신했음.
cf) 여로보암①이 - 왕이 되기 위해 반역을 계획하다 걸렸음.
Ⓑ 시삭은 여로보암①에게 - 피신처를 제공해 줌(왕상 11:40)
※ 왕상 11:40 - 이러므로 솔로몬이 - 여로보암①을 죽이려 하매 -
⇒ 여로보암①이 일어나 - 애굽으로 도망하여 -
※ 애굽 왕 시삭에게 이르러 -
⇒ 솔로몬이 죽기까지 - 애굽에 있으니라
Ⓒ 여로보암①이 북왕국을 건설했을 때 - 시삭은 이를 좋게 받아들임.
ⅲ) 부분적으로 남유다와 북이스라엘을 모두 공격함.
⇒ 이 전쟁 때문에 - 예루살렘이 많은 피해를 입었고
- 성전 기물들을 - 약탈당함.(왕상 14:25~26, 대하 12:1~9)
Ⓐ 르호보암 왕 제 5년에
★참고 - 263. 르호보암
Ⓑ 애굽의 왕 시삭이 올라와서 - 예루살렘을 치고(왕상 14:25)
⇒ 여호와의 성전의 보물과 왕궁의 보물을 - 모두 빼앗고
또 솔로몬이 만든 금 방패를 - 다 빼앗은지라(왕상 14:26)
⑦ 히스기야시대 - ●디르하가(티르하가, 타하르카)(왕하 18:21, 사 36:6)
★참고 - 209. 디르하가
※ 앗수르의 에살핫돈에게 - 멸망당함.
cf) 에살핫돈 - 산헤립의 아들
ⅰ) 이집트를 지배한 에티오피아인 통치자(흑인 바로의 마지막 바로)
※ 이집트의 구스③ 왕조의 - 마지막 왕이 됨.
★참고 - 67. 구스③
ⅱ) 유다 왕 히스기야와 앗수르왕 산헤립의 통치 기간 중에 이집트를 통치.
ⅲ) 히스기야를 도우러 갔었다. -
⇒ 앗수르 왕 산헤립이 - 남유다 공격을 잠시 멈춤.(왕하 19:8~10)
Ⓐ 앗수르 왕은 - 구스 왕 디르하가가 당신과 싸우고자 나왔다 함을 - 듣고(왕하 19:8a)
Ⓑ 다시 히스기야에게 - 사자를 보내며 이르되(왕하 19:8b)
※ 산헤립 - “너희는 - 유다의 왕 히스기야에게 이같이 말하여 이르기를 -
※ “네가 믿는 네 하나님이 -
※ “예루살렘을 - 앗수르 왕의 손에 넘기지
아니하겠다.” 하는 말에 -
※ 속지 말라!.”(왕하 19:10)
ⅳ) 앗수르 산헤립과 그의 아들 에살핫돈에게 공격당함.
⇒ 이집트가 앗수르의 식민지가 됨.
※ 디르하가는 이집트의 구스 왕조의 마지막 왕이 됨.
Ⓐ 이사야의 예언이 성취됨.(사 19:4)
❶ 이집트가 - 잔인한 군주의 손에 - 넘겨질 것이며,
❷ 포학한 왕이 - 이집트 사람들을 다스릴 것이다.
※ 사 19:1 - 애굽에 관한 경고라
보라!. 여호와께서- 빠른 구름을 타고 애굽에 임하시리니
⇒ 애굽의 우상들이 - 그 앞에서 떨겠고
애굽인의 마음이 - 그 속에서 녹으리로다
사 19:4 - 내가 애굽인을 - 잔인한 주인의 손에 붙이리니 -
⇒ 포학한 왕이 - 그들을 다스리리라
주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
Ⓑ 앗수르 산헤립 자신의 연대기의 기록에 의하면 -
※ “짐이 직접 . . . 에티오피아 왕의 병거 모는 자들을
사로잡았다.”
Ⓒ 에살핫돈은 이집트 정복을 뽐내면서 -
cf) 에살핫돈 – 산헤립의 아들
※ “짐은 - 그 왕, 디르하가에게 활을 쏘아 -
⇒ ❶ 5 차례나 부상을 입혔으며
❷ 그의 나라 전체를 다스렸다.”고 함.
⑧ 요시야 시대 - ●바로 느고 2세(BC 609 ~ BC 594)(왕하 23:29~35)
★참고 - 141. 느고 2세
므깃도
ⅰ) 므깃도 전투 – 남유다 요시야 전사함.(BC 610)
Ⓐ 앗수르를 도와 - 바벨론과 대전하기 위해 진군하다가 -
⇒ 므깃도에서 - 요시야에 의해 지연됨.(대하 35:21~22)
Ⓑ 느고가 - 요시야에게 사신을 보내어 이르되 -
※ 느고 2세 - “유다 왕이여!. 내가 그대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?
내가 오늘 - 그대를 치려는 것이 아니요
- 나와 더불어 싸우는 족속을 치려는 것이라.
하나님이 나에게 명령하사 - 속히 하라 하셨은즉
⇒ 하나님이 - 나와 함께 계시니
※ 그대는 - 하나님을 거스르지 말라!.
그대를 멸하실까 하노라.” 하나 (대하 35:21)
ⓐ 요시야가 - ❶ 몸을 돌이켜 떠나기를 - 싫어하고
❷ 오히려 변장하고 - 그와 싸우고자 하여 -
⇒ 하나님의 입에서 나온 - 느고의 말을 - 듣지 아니하고
ⓑ 므깃도 골짜기에 이르러 - 싸울 때에(대하 35:22)
Ⓒ 므깃도 전투에서 - 요시야가 전사함.(대하 35:23~24)
❶ 예레미야가 - ‘예레미야애가’를 지음.(대하 35:25)
※ 대하 35:25 - 예레미야는 - 그를 위하여 - 애가를 지었으며
모든 노래하는 남자들과 여자들은 - 요시야를 슬피
노래하니
⇒ 이스라엘에 규례가 되어 - 오늘까지 이르렀으며
그 가사는 - 애가 중에 기록되었더라
❷ 백성들이 - 여호아하스②를 왕으로 세움.
cf) 여호아하스② - 반애굽파
ⅱ) 여호아하스②를 퇴위시키고 - 그의 형제 여호야김(엘리야김)을 왕으로 임명.
(왕하 23:29~37, 대하 36:1~36:4)
※ 왕하 23:34 - 바로 느고가 -
❶ 요시야의 아들 엘리아김을 -
⇒ 그의 아버지 요시야를 대신하여 - 왕으로 삼고
❷ 그의 이름을 고쳐 - 여호야김이라 하고
❸ 여호아하스②는 - 애굽으로 잡아갔더니
⇒ 그가 - 거기서 죽으니라
ⅲ) 갈그미스 전투에서 - 바벨론 느부갓네살 2세에게 패함.(BC 605년)(왕하 24:7, 렘 46:2)
⇒ 다니엘과 세 친구가 - 바벨론으로 1차 포로로 잡혀감.(단 1:1~7)
※ 왕하 24:7 - 애굽 왕이 - 다시는 그 나라에서 나오지 못하였으니
※ 이는 - 바벨론 왕이 - 애굽 강에서부터 유브라데 강까지
애굽 왕에게 속한 땅을 -
⇒ 다 점령하였음이더라
ⅳ) BC 601년 - 느부갓네살 2세와 다시 싸움.
⇒ 양측에 큰 손실 입음.
ⅴ) 나일강에서 홍해에 이르는 운하를 파기 시작했으나 - 다 마치지 못하고 죽음.
⇒ 바사(페르시아)의 다리오②(다리우스) 1세가 - 이를 완성함.
ⅶ) 아프리카를 최초로 항해한 페니키아 배와 선원들이 일할 수 있게 함.
⑨ 예레미야, 여호야긴, 시드기야① 시대
❶ 바로 느고 2세(BC 609 ~ BC 594)(왕하 23:29~35)
※ 남유다 1,2,차 바벨론 포로
❷ 바로 프삼틱(프삼메티쿠스) 2세(BC 593 ~ BC 588)
❸ 바로 호브라( = 호프라)(BC 589 ~ BC 570)(겔 29:2~3, 렘 44:30)
⒈ 남유다 3차 바벨론 유수 - 느부갓네살 2세에 의해(BC 586년)
⒉ 이유 -시드기야①가 바벨론을 반역하고 친애굽(호브라) 했기 때문.
ⅰ) 애굽 왕들 - 느고 2세(남유다 1,2,차 바벨론 포로) → 프삼티크 2세 →
→ 호브라(남유다 3차 바벨론 포로)
ⅱ) ●호브라는 - 시리아에서 바벨론에 저항하다 실패함.
⇒ 군대를 - 이집트로 되돌림.
Ⓐ 이집트 호브라와 남유다 시드기야①가 - 동맹관계였다.(겔 17:15)
Ⓑ 시드기야①가 - 예레미야의 예언을 듣지 않음(왕하 24:20, 렘 27:12~13, 렘 37:2)
ⓐ 시드기야①는 - ‘바벨론에게 항복하라’는 - 예레미야 선지자의 권면을 듣지 않음.
(겔 27:12)
※ 예레미야 - “왕과 백성은 - 바벨론 왕의 멍에를 목에 메고
※ 그와 그의 백성을 - 섬기소서!.
⇒ 그리하면 - 사시리라.”(렘 27:12)
※ 예레미야 - “애굽으로 가지 말고 - 70년 동안만
바벨로의 포로로 가라!.”
ⓑ 친애굽-반바벨론 정책을 고집.(왕하 24:20, 렘 27:12~13, 렘 37:2, 겔 17:15)
Ⓒ 시드기야①가 - 바벨론을 반역하고 친애굽함. - 하나님의 진노를 삼 (겔 17:15, 렘 44:30)
❶ 남유다 - 바벨론 느브갓네살 2세에게 멸망
⒈ 바벨론 3차 포로로(유수)잡아감.(BC 586년)
(왕하 24:20, 렘 27:12~13, 렘 37:2, 겔 17:15)
⒉ 예루살렘 멸망(BC 586년) - 70년간
(왕하 25:1~3, 대하 36:17~21, 렘 39:1~2, 렘 52:4~6)
※ 겔 17:15 - 그가 - 사절을 애굽에 보내 - 말과 군대를 구함으로 -
※ 바벨론 왕을 – 배반하였으니 - 형통하겠느냐?
이런 일을 행한 자가 - 피하겠느냐?
언약을 배반하고야 – 피하겠느냐?
❷ 이집트 - 바벨론 느부갓네살 2세에게 멸망.
※ 렘 44:30 - 보라!.
내가 - 유다의 시드기야① 왕을 -
⇒ 그의 원수곧 그의 생명을 찾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의
손에 넘긴 것 같이
애굽의 바로 호브라 왕을 -
⇒ 그의 원수들 곧 그의 생명을 찾는 자들의 손에
넘겨 주리라
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셨느니라
(2) 바사(페르시아) 점령기 - 페르시아의 왕이 애굽(이집트)의 왕이 됨.
❶ 제1차 페르시아 점령기 = 아케메네스(Achemenes) 왕조 (BC 525 ~ BC 404)
❷ 이집트가 바사(페르시아)의 속국이 됨 - 2차 아케메네스 왕조
⇒ 바사(페르시아)출신 파라오가 다스리게 됨.
※ 캄비세스 2세( = 아닥사스다① Cambyses II) - 이집트 정복(BC 530 ~ BC 521)
cf) 고레스(키루스) 2세의 아들
❸ 바사(페르시아) 왕들은 - 예루살렘 성전 재건과 성벽 재건에 관계가 깊다.
① 프삼티크 3세 - 이집트 왕조
※ 캄비세스 2세( = 아닥사스다①)에게 정복당함.
⇒ 이집트 왕조가 페르시아 왕조로 바뀌게 됨.
② ●캄비세스 2세( = 아닥사스다① Cambyses II) - 페르시아 왕조 시작 (BC 530 ~ BC 521)
ⅰ) 고레스 2세( = 키루스 2세)의 아들
★참고 - 47. 고레스 2세
ⅱ) 이집트 정복 - 즉위 4년에 -
※ 대규모 원정군을 일으켜 -
❶ 이집트 파라오 프삼티크 3세를 - 격파하고
❷ 이집트를 정복했다.
⇒ 이집트 내에 - 페르시아 왕조 시작
ⅲ) 이스라엘의 르훔(방백)과 심새(서기관)로부터 - 투서 받음(스 4:124)(BC 534)
❶ 성전 공사 중단(방해)
❷ 다리오② 1세 2년까지 중단됨. (스 4:24)
③ ●다리오② 1세( = 다리우스 1세 Darius I)(BC 521 ~ BC 486)
★참고 - 163. 다리오② 1세
ⅰ) 아하수에로(크세르크세스 1세)②의 아버지 - 에스더 왕비의 시아버지
ⅱ) 가장 위대한 왕 - 제국을 재조직하고 영토를 확장시킴.
ⅲ) 마라톤 경기의 원조가 된 그리이스와의 마라톤 전투에서 - 패배한 왕
ⅳ) 이스라엘 - 예루살렘 성전 재건 완성(스 6:13)
❶ 고레스 조서 확인(스 5:17~6:14)BC 520
❷ 성전 공사 재개(스5:2, 학1:1)
❸ 선지자 - 학개, 스가랴①(스 5:1~2)
❹ 성전 완공.(스 6:14~16)
※ 20년 걸림.BC 536년 2월 ~ BC 516년 12월 3일까지
④ ●아하수에로②( = 크세르크세스 1세 Xerxes Ⅰ)(BC 486 ~ BC 465)
ⅰ) 다리오②1세( = 다리우스 1세)의 아들 - 에스더의 남편 (에 1:1)
※ 에 1:1 - 이 일은 - 아하수에로 왕 때에 있었던 일이니
※ 아하수에로②는 - 인도로부터 구스까지 -
⇒ 127 지방을 다스리는 왕이라
ⅱ) 살라미스해전(Battle of Salamis BC 479)에서 참패함.
ⅲ) 이스라엘 – 에스더가 왕비가 됨.
모르드개①가 고위 관직에 오름.
★참고 - 모르드개①
ⅳ) 피살 됨.
⑤ ●아닥사스다② 1세( = 롱기마누스)(BC 464 ~ BC 424)
ⅰ) 아하수에로②( = 크세르 크세스 1세)의 아들
cf) 별명 - ‘롱기마누스(긴 팔)’
※ 오른팔이 왼팔보다 길어서.
아닥사스다② 왕의 의붓 어머니 - 에스더.
ⅱ) 이스라엘
Ⓐ 2차 귀환 -
❶ 인도자 - 에스라(BC 457)(스 7:9)
❷ 아닥사스다② 조서(스7: 11~26)
Ⓑ 3차 귀환 -
❶ 인도자 - 느헤미야 BC 444(느 2:9~12)
❷ 성벽 재건 - 성벽봉헌 (느 12:27)
※ 52일만에 완성(느 6:15)
★참고 - 148. 느헤미야
⑥ 크세르크세스 2세(Xerxes II) BC 424 ~ BC 423
⑦ 소그디아누스(Sogdianus) BC 424 ~ BC 423
⑧ 다리오③( = 다리우스③) 2세(Darius II) BC 424 ~ BC 404
★참고 - 164. 다리오③
(3) 성경 침묵기① - 이집트 독립 - 바사(페르시아) 다리오③(다리우스③) 2세가 죽은 후.
① 제 28왕조 - 아미르타이오스(Amyrtaeus) BC 404 ~ BC 398 - 제 26왕조의 후예
② 제 29왕조(BC 398 ~ BC 380)
ⅰ) 네페리테스 1세(Neferithes I) BC 398 ~ BC 393
ⅱ) 프사무테스(Psammuthes) BC 393
ⅲ) 하코르(Hakor)[아코리스(Achoris)] BC 393 ~ BC 380
ⅳ) 네페리테스 2세(Neferithes II) BC 380
③ 제30왕조(BC 380 ~ BC 343)
ⅰ) 넥타네보 1세(Nectanebo I)(BC 380 ~ BC 362)
Ⓐ BC 4세기에 활동한 이집트 제 30 왕조의 1 번째 왕.
Ⓑ BC 373년 - 이집트를 재통치 하려는 페르시아를 물리침.
ⅱ) 테오스(Teos)(BC 362 ~ BC 360)
ⅲ) 넥타네보 2세(Nectanebo II)(BC 360 ~ BC 341) - 에티오피아로 망명
※ 바사(페르시아) 아닥사스 3세에게 패함.
Ⓐ 이집트인에 의한 - 고대 이집트 왕조의 - 마지막 파라오.
Ⓑ 이집트는 페르시아에 합병되었고 - 누비아(에티오피아)로 망명.
Ⓒ 마케도니아에서 - 필립 왕의 아내 올림피아서와 정을 통해서
⇒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라는 소문도 있다.
(4) 성경 침묵기② - 제2차 아케메네스 왕조 - 바사(페르시아)가 다시 점령 (BC 343 ~ 332) - 31왕조
① 아닥사스다 3세(Artaxerxes III)(BC 358 ~ 338)
② 아닥사스다 4세 - 아르세스(Arses)(BC 338 ~ 336)
③ 다리우스④ 3세 코도만누스(Darius III Codomannus)(BC 336 ~ 330)
★참고 - 165. 다리오④
ⅰ) 아닥사스다④ 3세의 - 조카 손자
ⅱ) 페르시아(바사)제국의 마지막 왕.(BC 336~330)
❶ 헬라(그리스) 알렉산더 3세( = 알렉산더 대왕)에게 - 멸망함.(BC 330년)
※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이 - 이집트를 정복하면서 -
⇒ 페르시아의 파라오의 시대가 끝남.
❷ 이집트에 - 그리스 왕조 시대가 열림
(5) 성경 침묵기③ - 그리스인 알렉산더와 프톨레미 왕조 시작(Greek Dynastic Period)(BC 332 ~ AD 30)
❶ 마게도냐 혈통 - 그리스 왕조, 알렉산더 대왕과 그의 부하들이 다스림.
❷ 헬레니즘 문화를 꽃 피움.
★참고 - 78. 그리스 -①~③
① 알렉산더 대왕 - 마케도니아(BC 332 ~ BC 323)
ⅰ) 이집트를 정복
ⅱ)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- 새로운 수도를 건설
⇒ 알렉산드리아는 - 헬리니즘 문화의 중심지가 됨.
ⅲ) 헬레니즘 문명의 전파자.
ⅳ) 바벨론(바빌론)에서 급사.BC 323년 -
❶ 디아도코이 전쟁 - 대제국을 건설하자마자 - 바로 죽었기 때문에 -
⇒ 제국의 계승권을 놓고 부하들 간에 - 내전이 남.
❷ 알렉산더 대왕 사후(BC 323년)에 - 4명의 부하들에 의해 - 나라가 나뉘게 됨
② 프톨레미 장군이 - 알렉산드리아에서 이집트를 다스림.
cf) 프톨레미 장군 = 훗날 - 프톨레미 1세
❶ 카산드 장군 - 마케도니아, 그리스
❷ 리시마코스장군 - 소아시아, 트라키아
❸ 셀레우코스 리카토르 1세 - 메소포타미아, 시리아
❹ 프톨레미 장군 - 이집트와 팔레스타인
③ 필립 3세 - 아리다이오스(Philippos III Arrhidaeus)(BC 323 ~ BC 317)
ⅰ) 알렉산더 대왕의 - 이복동생
ⅱ) 알렉산더의 어머니 올림피아가 탄 독약으로 인해 - 죽지 않고 지적 장애자가 됨.
Ⓐ 천부장 페르디카스가 - 주도권을 잡음.
cf) 알렉산더 대왕이 급사할 때 - 그의 부인 록사네가 임신한 상태였음.
⇒ 알렉산더 대왕이 급사한 해에 - 알렉산더 아들이 태어남.
cf) 아들 – 알렉산더 4세
Ⓑ 이 아들이 태어나자 마자 -
⇒ 필립 3세와 알렉산더 4세는 - 공동정치를 하고
페르디카스는 - 제국의 섭정이 됨.
ⅲ) 알렉산더의 어머니 올림피아에게 - 처형당함.
※ 필립 3세의 부인 -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임.
④ 알렉산더 4세(Alexandros IV) (BC 323 ~ 310)
ⅰ) 알렉산더(알렉산드로스 3세) 대왕의 - 친아들.
ⅱ) 천부장 페르디카스와 섭정
ⅲ) 관료들 사이에 - 정권다툼과 내분이 일어남.
※ 알렉산더 4세가 자라자 - 더 이상 섭정을 원하지 않음.
ⅳ) 장군이자 고모부인 카산드에게 - 어머니 록사나와 함께 죽임당함.
(6) 성경 침묵기⑤ - 프톨레미 왕조(Ptolemaeos dynasty)(BC 305 ~ 30)
❶ 이집트를 다스리는 - 그리스(헬라) 왕조
❷ 수도 - 알렉산드리아
★참고 - 78. 그리스①~③
① 프톨레미 1세 소테르(Ptolemaios Ⅰ)(BC 305 ~ BC 285년)
cf) 알렉산더 대왕의 부하 4명이 - 제국을 나누어 통치하고 있음.
⇒ ❶ 카산드 장군 - 마케도니아, 그리스
❷ 리시마코스장군 - 소아시아, 트라키아
❸ 셀레우코스 리카토르 1세 - 메소포타미아, 시리아
❹ 프톨레미 1세 - 이집트와 팔레스타인
② 프톨레미 2세 필라델포스 Philadelphos(BC 285년 ~ BC 246년)
ⅰ)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-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세움.
※ 그 당시 세계 최대의 도서관.
ⅱ) 50 만권의 파피루스 도서를 가진 도서관.
Ⓐ 귀족들과 학자들이 주로 이용.
Ⓑ 그 당시 유명한 철학자들이 - 여기로 모여들었다.
ⅲ) 70인역과 외경인 ‘솔로몬 지혜서’가 이곳에서 집필되었다.
ⅳ) 가이사(카이사르 = 줄리어스 시저)때에 불타 없어짐.
③ 프톨레미 3세 에우르게테스 1세 Euergetes Ⅰ(BC 246년 ~ BC 221년)
④ 프톨레미 4세 필로파토르 Philopator (BC 221년 ~ BC 204년)
⑤ 프톨레미 5세 에피파네스(BC 204 ~ BC 180)
ⅰ) 로제타 스톤(BC 196년)의 주인공
ⅱ) 시리아의 클레오파트라 1세와 결혼 후 이집트가 안정을 찾음.
⑥ 프톨레미 6세 필로메토르 Philometor(BC 180 ~ BC 164년, BC 163 ~ BC 145년)
⑦ 프톨레미 7세 네오스 필로파토르 Neos Philopator
⑧ 프톨레미 8세 에우르게테스 2세 Euergetes Ⅱ(BC 170년 ~ BC 163년, BC 145년 ~ BC 116년)
⑨ 프톨레미 9세 소테르(BC 116년 ~ 107년, BC 88년 ~ BC 80년)
⑩ 프톨레미 10세 알렉산드로스(BC 107년 ~ BC 101년)
⑪ 프톨레미 11세 알렉산드로스(BC 80년)
⑫ 프톨레미 12세 네오스 디오니소스 아우레테스(BC 80년 ~ BC 51년)
⑬ 클레오파트라 7세(BC 69년 ~ BC 30년)
ⅰ) 프톨레미 왕조의 마지막 파라오
ⅱ) 프톨레미 12세의 딸.
ⅲ) 동생 프톨레미 13세와 공동 통치 - BC 51 ~ BC 30까지
※ 동생 프톨레미 13세에 의해 - 축출됨(BC 48년)
ⅳ) 22살 - 로마인 줄리어스 시저( = 가이사 = 가이사르)(53세)와 사랑에 빠짐.
※ 시저와 클레오파트라 사이의 아들 프톨레미 15세는 -
⇒ 옥타비아누스( = 아구스도 = 아우구스투스)에게 죽임을 당함.
★참고 - 10. 가이사
245. 로마제국
ⅴ) 30살 - 로마인 안토니우스(43세)와 사랑.
ⅵ) 39살 - 자살
Ⓐ 안토니우스가 매장했는데 - 그 위치는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음
Ⓑ 프톨레미 왕조가 막을 내림.
ⅶ) 업적 -
Ⓐ 국내적으로는 다양한 개혁이 시도됨.
Ⓑ 국제적으로는 주변국과의 정치 외교 관계도 훌륭했다고 인정됨.
Ⓒ BC 31년 - 악티움 해전
※ 옥타비아누스(아우구스투스 황제)가 그리스 악티움 앞바다에서
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연합군을 격파한 전쟁.
Ⓓ 그리스 피를 받아서 - 금발이었음
cf) 영화에서는 -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흑발로 연기함
⑭ 프톨레미 13세 (BC 51년 ~ BC 48년)
ⅰ) 프톨레미 12세의 아들
ⅱ) 클레오파트라 7세와 공동 통치(BC 51 ~ BC 30까지)
ⅲ) 누나 클레오파트라 7세를 쫓아냄.(BC 48년)
⑮ 프톨레미 14세 (BC 48년 ~ BC 44년)
※ 프톨레미 13세의 동생.
⑯ 프톨레미 15세 필로파트로 카이사르(카이사리온)(BC 44년 ~ BC 30년)
ⅰ) 클레오파트라 7세와 줄리어스 시저의 아들.
ⅱ) 옥타비아누스( = 아구스도 = 아우구스투스)에게 - 죽임 당함.
(7) 성경 침묵기⑥ ~ 신약시대 - 로마제국의 지배를 받음
※ 로마 제국/동로마 제국 시대(BC 30~AD 641년까지)
① ●아구스도 가이사 - 최초의 황제(BC 31~AD 14) - 예수님의 탄생과 소년시절
cf) 아구스도 = 아우구스투스 = 옥타비아누스
ⅰ) 호적을 명함(눅 2:1~5)
Ⓐ 옥타비아누스 - 예수님이 오시기 전과 탄생, 예수님의 어린 시절의 로마 황제.
※ 눅 2:1 - 그 때에 가이사 아구스도가 영을 내려 -
※ “천하로 다 - 호적하라!.”
하였으니
Ⓑ 호적의 목적
❶ 로마의 초대 황제 옥타비아누스가 - 자기가 다스리는 제국전체의 인구를
확인하길 원함.
❷ 정확한 호적으로 - 세금의 탈세가 없게 하려함.
Ⓒ 요셉②과 만삭의 마리아①는 - 갈릴리 나사렛에서 살다가 -
★참고 - 25. 갈릴리①②
117. 나사렛
174. 다윗①
⇒ 고향 베들레헴 다윗의 동네로 가야했다.(눅 2:4~6)
⇒ 아기 예수 탄생 - 방을 구하지 못해 할 수 없이
베들레헴 마굿간에서 예수님을 낳게 됨.
(눅 2:6~7, 미 5:2)
※ 눅 2:4 - 요셉①도 - 다윗의 집 족속이므로 -
⇒ 갈릴리 나사렛 동네에서 - 유대를 향하여 베들레헴이라
하는 다윗의 동네로
눅 2:5 - 그 약혼한 마리아①와 함께 - 호적하러 올라가니 -
※ 마리아①가 - 이미 잉태하였더라
★참고 - 마리아①
② ●디베료( = 티베리우스) 가이사(AD 14~37년)(눅 3:1, 눅 20:25, 눅 23:3, 요 19:12, 막 12:17)
★참고 - 214. 디베료
213. 디베랴
ⅰ) 옥타비아누스( = 아구스도 = 아우구스투스)의 양아들
ⅱ) 예수님의 소년시절과 공생애(십자가 죽음, 부활 승천)때의 시저
ⅲ) 세례요한①이 요단강에서 - 세례 줄 때의 시기.
ⅳ) 본디오 빌라도는 - 10년간 총독의 직임을 수행하였지만 -
※ 결국 유대인에 대하여 대단히 잔인하다는 이유로 -
⇒ 시저 티베리우스에 의하여 고울 지방으로 추방됨.
(AD 36년)
③ ●칼리큘라 가이사 - AD 37~41
ⅰ) 디베료( = 티베리우스)의 양자.
ⅱ) 헤롯 안티파스 - AD 39년에 왕위를 박탈당하고 지방으로 추방됨.
ⅲ) 헤롯 아그랍바 1세
Ⓐ 친구 칼리큘라의 후광으로 이스라엘 분봉왕이 됨.
Ⓑ 야고보①(사도)를 죽임.(행 12:1~2)
Ⓒ 베드로를 옥에 가둠(행 12:3~7)
④ ●글라우디오 가이사(AD 41~54년)(행 11:28, 행 17:7, 행 18:2)
★참고 - 86. 글라우디오
ⅰ) 선지자 아가보 - 예루살렘에서 안디옥으로 가서 천하에 큰 흉년이든다고 예언할 때임.(행 11:28)
ⅱ) ‘야손의 난’이 있었다.(행 17:7)
ⅲ) 모든 유대인을 로마에서 떠나라고 명령함(행18:2)
ⅳ) 헤롯 아그립바 1세 - 바울을 만날 때도 함께 있었다(행 25:23, 행 26:2~3, 행 26:28)
⑤ ●네로 가이사(AD 54~68년)(행 25:11~12, 빌 4:22)
★참고 - 132. 네로
ⅰ) 헤롯 아그립바 2세에게 - 갈릴리 주변의 땅을 추가로 줌.
ⅱ) 바울이 로마 감옥에 갇혀 있을 때의 시저.
Ⓐ 사도 바울이 베스도 앞에서 네로에게 호소함.(행 25:11~12)
Ⓑ 총독 베스도는 아그립바 2세와 바울에 대해 의논했다.(행 25:26)
Ⓒ 바울은 네로 치하의 관료, 특별히 전도한 호위군들에게 문안했다.(빌 4:22)
ⅲ) 베드로와 바울 순교
⑥ 갈바(AD 68년 ~ 69년)
⑦ 오토(AD 69년)
⑧ 비텔리우스(AD 69년)
⑨ 베스파시아누스(AD 69년 ~ 79년)
ⅰ) 예루살렘 공격 - AD 70년 5월~9월까지
※ 맏아들 티투스가 총 지휘를 맡음.
ⅱ) 예루살렘 멸망(AD 70년)
ⅲ) 헤롯 아그립바 2세 - AD 70년 유대 전쟁시 로마를 지지함.
⑩ 티투스(79년 ~ 81년)
ⅰ)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와 - 유대인항쟁진압을 위해 -
⇒ 팔레스타인으로 향함.(AD 67년)
ⅱ) 예루살렘 공략의 사령관이 됨.(AD 69년)
ⅲ) 예루살렘을 2년 동안의 전쟁 끝에 점령(AD 70년)
ⅳ) 마사다 요새를 제외한 - 대부분의 유대인의 반란을 - 평정.(AD 70~73년까지)
★참고 - 마사다
⑪ 도미티아누스(81년 – 96년)
★참고 - 191. 도미티아누스
ⅰ) 요한②을 - 밧모섬에 유배시킴.(계 1:9)
ⅱ) 기독교 박해 -
❶ 자신을 - ‘주님!.’, ‘하느님!.’이라고 부르게 하며
❷ 그리스도교 성도들을 박해함.
⇒ 심한 공격을 받음.
※ 이유 - 황제 숭배 반대, 비밀 모임, 성찬식, 사회와 부조화 등.
ⅲ) 살해됨.(AD 96년 9월 18일)
⇒ 도미티아누스는 - 기록말살형(Damnato Memoriae)에 처해져 -
※ 그의 모든 기록은 - 사라짐.
(8) 이슬람 시대(641~1798년)
① 통일 이슬람 제국 시대
② 파티마 왕조(963~1169)와 아이유브 왕조(1169~1252), 그리고 십자군 전쟁
③ 맘루크 왕조(1250~1517)
④ 오스만 제국 치하의 이집트
(9) 근대 이집트 ~ 현대 이집트
① 가말 압델 나세르의 시대(1952(1954)~1971)
② 안와르 사다트(1971~1981)와 호스니 무바라크의 시대(1981~2011)
③ 이집트 혁명, 그리고 현재
④ 현제 대통령 - 압둘팟타흐 시시 - 군인 출신 독재자
'6. 바나바 ~ 빌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40. 바룩(Baruch)② - 느헤미야① 때 예루살렘 성벽 재건 도움 (0) | 2023.05.24 |
---|---|
339. 바룩(Baruch)① - 예레미야의 친구, 예레미야가 불러주는 대로 기록 (0) | 2023.05.23 |
337. 바란(Paran) - 가데스바네아와 신(Zin)야가 연결된 광야, 크고 두려운 광야 (0) | 2023.05.22 |
336. 바락(Barak) - 여선지자 드보라의 군대장관, 하솔①의 시스라를 물리침 (0) | 2023.05.22 |
335. 바돌로매 - 사도 나다나엘,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느냐 (0) | 2023.05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