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10. 악갓 ~ 언약궤

880. 앗수르 제국(Assyria)③-1 - 아시리아 제국, 앗수르 제국의 역사와 왕들

880. 앗수르 제국(Assyria)③-1 - 아시리아 제국, 앗수르 제국의 역사와 왕들

① 앗수르 제국( = 아시리아 제국 = 앗시리아 제국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나라 이름 - 앗수르( = 아시리아 = 앗시리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수도 이름 - 앗수르( = 아슈르, 앗슈르)

 

 

 

https://enterthebible.org/map/ancient-near-east/ot-6_ancient_neareast

 

 

 

 

② 다른 이름 - ❶ 아시리아    ❷ 앗시리아

 

③ 창 2:14에 처음 등장 - 에덴동산의 위치를 나타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창 2:10 - 강이 - 에덴에서 흘러 나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동산을 적시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거기서부터 갈라져 - 4 근원이 되었으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창 2:11 - 1째의 이름은- 비손이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창 2:12 - 그 땅의 금은 - 순금이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 곳에는 - 베델리엄과 호마노도 있으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창 2:13 - 2째 강의 이름은 - 기혼이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구스② 온 땅을 둘렀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창 2:14 - 3째 강의 이름은 - 힛데겔이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앗수르③ 동쪽으로 흘렀으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힛데겔 – 티그리스 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4째 강은 - 유브라데더라

 

 

 

https://lh3.googleusercontent.com/proxy/62XhTgwlfwINnChX21g-_HnguB_xPupRaEHExneQVxoDDJhjZC6Cb8FNG62ng9PeeHwyuMYFfejvEtQDI_wGL8rVobUnUIPrB9O3XsXQQNjUwP8B

 

 

 

 ④ 위치

       ⅰ) 비옥한 초승달 지역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가장 비옥하고 인구가 밀집된 지역 - 티그리스강 동편.

       ⅱ) ‘앗수르③( = 아시리아)’ - 티그리스 강 상류 지역 고대도시 앗수르((Assur)에서 유래함.

 

 

 

https://www.shorthistory.org/images/mesopotamia-map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ⅲ) 북부 메소포타미아 평원 지역의 고대 왕국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남쪽으로 - 바벨론 제국( = 바빌론 = 바빌로니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북쪽으로는 - 아람( = 수리아 = 시리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동쪽으로는 - 바사( = 페르시아)와 접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훗날 바벨론과 앗수르는 - 혼합 문화를 이루었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오늘날 이라크가 됨.

       ⅳ) 앗수르③인의 고향은 - 티그리스 강에서 아르메니아까지의 산악 지방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‘아슈르의 산(Mountains of Ashur)’이라고 부르기도 함.

       ⅴ) 앗수르③ 본토는 - 메소포타미아 북부 전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남부는 - 바벨론( = 바빌로니아) ⅵ) 수도 - 니느웨

 

(1) 종교

          ❶ 앗수르①( = 아슈르) 

          ❷ 아스다롯

① 앗수르①( = 아시리아)의 종교는 – 바벨론( = 바빌론 = 바빌로니아)에서 유래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래서 바벨론과 - 큰 차이가 없다.

 

② 국가신 - 앗수르①( = 아시리아 = 앗시리아)의 주신 - 수호신이자 최고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앗수르③( = 아시리아)의 도시인 앗수르가 - 신격화되어 형성된 신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다른 이름 – 아슈르, 앗슈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전쟁의 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상징하는 행성 - 태양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모습 - 날개 달린 태양의 형상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⒈ 팽팽하게 활 시위를 당기고 있으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⒉ 날개를 가지고 있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⒊ 커다란 원반이 있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앗수르③( = 아시리아)의 샴시아다드 1세 이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  엔닐 신과 합쳐져 - 최고신이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에샬라 신전에 모셔짐.

 

 

https://i.pinimg.com/736x/51/96/a4/5196a43cecc5439dcbd5dd9ff0985a85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❺ 바벨론( = 바빌론 = 바빌로니아)의 마르둑과 같은 위치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마르둑 = 므로닥 = 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❻ 신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⒈ 아슈르( = 앗수르①)신전 - 중심 신전은 수도인 앗수르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다른 도시에도 - 각각 수호신들이 있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⒉ 신들의 배우자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러 하급 신들을 위한 거처들도 - 주요 신전들에 있었다.

 

③ 아스다롯 - ❶ 사랑과 전쟁의 여신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니느웨의 주신

④ 앗수르③ 제국의 왕은 - 신격화 되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 국가 신인 앗수르①의 대리자로서 통치했음.

 

(2) 문화

① 많은 고문서들이 - 마리와 누지 등 여러 지역에서 발굴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군사적 정복, 건설, 신탁, 법 등에 대해 씌여 있다. 

② 니느웨( = 니네베) 대도서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155. 니느웨

       ⅰ) 앗수르바니팔의 궁전에 - 약 10,000권의 책들이 있었다.

       ⅱ) 그 중 - 구약의 내용과 비슷한 것도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그러나 사상면에서 - 구약의 내용과 다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대홍수에 관한 - 바벨론식 설명이 기록된 책도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길가메시 서사시 - 대홍수에 관한 12권의 책들 중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영생을 추구한 영웅의 이야기.

                 사르곤① 대왕의 이야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사르곤 대왕 -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내용 - 출생 직후에 갈대 바구니 속에 감추어져 위기를 넘기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정원사에게 구출되어 나중에 왕이 된다는 이야기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바벨론 욥 - 부당한 고난을 당한 왕자와 그에게 말해주는 조언 등이 기록됨.

 

(3) 역사

① 셈의 아들 앗수르②의 후손들과 그의 나라.

       ⅰ) 앗수르(Asshur)② - 셈의 2째 아들(창 10:22, 대상 1: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창 10:22 - 셈의 아들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엘람과 앗수르②와 아르박삿과 룻과 아람이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536. 셈

 

 

 

https://bible-history.com/images/common/desc-shem-ham-japheth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ⅱ) 앗수르② 후손들의 이름은 - 성경에 기록되지 않았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❶ 점차 셈 공동체와 멀어졌음을 알 수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하지만 앗수르의 후손들은 - 앗수르 지역과 제국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엘람처럼 - 엘람도 아들들 기록은 없으나 엘람 나라가 존재했음.

 

 

 

https://enterthebible.org/map/ancient-near-east/ot-6_ancient_neareast

 

 

 

② 앗수르의 최초의 왕 - 그러나 함의 자손 니므롯( = 님로드)이 앗수르의 왕이 됨.(창 10:1~1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니므롯 - ❶ 셈의 아들 앗수르②를 죽이고 - 앗수르 흉내 내며 왕이 됨.(창 10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바벨탑을 세움 - 언어가 나뉘는 계기가 됨.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창 11:1~9, 창 10:8~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156. 니므롯

 

 

 

https://image2.slideserve.com/4396272/slide6-l.jpg

 

 

 

       ⅰ) 구스②가 - 또 니므롯을 낳았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는 - 세상에 첫 용사라(창 10: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그가 - 여호와 앞에서 용감한 사냥꾼이 되었으므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속담에 이르기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“아무는- 여호와 앞에 니므롯 같이 용감한 사냥꾼이로다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더라(창 10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그의 나라는 - 시날 땅의 바벨과 에렉과 악갓과 갈레에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시작되었으며(창 10:10)

       ⅱ) 니므롯이 - 셈의 아들 ‘앗수르②’ 왕을 - 죽이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 이름을 - 그대로 사용하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자신이 - ‘앗수르’ 왕으로 가장하여 - 세력을 펼쳐감.(창 10:2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도시들을 건설 - 니느웨와 레센 등 (창 10:11~12, 대상 1:10, 미 5: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창 10:22 - 셈의 아들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엘람과 앗수르②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아르박삿과 룻과 아람이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❶ 그가 - 그 땅에서 앗수르로 나아가(창 10:12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니느웨와 르호보딜과 갈라와(창 10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및 니느웨와 갈라 사이의 레센을  - 건설하였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는 - 큰 성읍이라(창 10:12b)

 

 

 

https://image2.slideserve.com/4396272/slide6-l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ⅲ) 미가① 선지자 - 앗수르를 가리켜 ‘니므롯의 땅’이라 함(미 5: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미 5:6 - 그들이 - 칼로 앗수르 땅을 - 황폐하게 하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니므롯 땅 어귀를 - 황폐하게 하리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앗수르 사람이 - 우리 땅에 들어와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우리 지경을 밟을 때에는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가 우리를 - 그에게서 건져내리라 

 

③ 고대 앗수르 제국 - 이미 여러 민족들이 어울려 살고 있었다.

       ⅰ) 함족 니므롯과 그 추종자들이 몰려 들어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함족의 바벨론 문화(니므롯 계열)와 셈족 문화(앗수르 계열)가 - 혼합된 형태를 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창 10:11~12)

       ⅱ) BC 2900년경 - 앗수르에 수메르인들이 살고 있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비셈족계열인 수바르족(Subarian)과 셈족인 수메르인(Sumerian)도 있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앗수르의 문화와 언어는 - 셈족 수메르의 영향을 받았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들은 언어와 풍습 신앙 등이 - 셈족화 됨.

 

④ 최초의 부족( = 족장)국가 형성 - 악갓( = 아카드)인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★참고 - 842. 악갓

 

⑤ 도시 국가가 형성(BC 25세기경) - 좀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국가의 모습이 됨.

 

⑥ 앗수르 제국( = 아시리아 제국)이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북부 메소포타미아 전체, 이집트, 아나톨리아까지 지배하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대제국으로 성장.

 

⑦ 앗수르의 왕들은 - 3 차례에 걸쳐 역사상 의미 있는 대제국을 형성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앗수르는 - 하나님의 허락하에 강한 나라가 되었다.

       ⅰ) 고대 앗수르 제국

 

 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ⅱ) 중왕조 앗수르 제국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ⅲ) 신왕조 앗수르 제국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바벨론 함무라비 법전(BC 1670년경)에도 언급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성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때 - 신앗수르 제국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BC 934년~BC 609년 또는 BC 911년~BC 612년)

 

 

 

 

 

 

⑧ 앗수르 제국 왕들은 - 앗수르 제국 식민지 전체에 왕권을 행함.

       ⅰ) 복잡한 지역적 사법 처리는 - 관할 지역의 행정관들에게 위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리고 각 행정관들은 - 세금을 거두어 바쳤다.

       ⅱ) 군대는 - 잘 훈련되고 훌륭한 장비를 갖춘 정규군임.

       ⅲ) 피정복 국가들은 - 앗수르 신을 섬겨야 했음.

       ⅳ) 만약 반역을 하면 -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앗수르 제국의 군대의 침입으로 - 그 도시가 약탈과 파괴당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그 지도자들은 - 죽음을 당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기술자들은 - 노예로 잡혀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남은 백성들은 - 앗수르 제국에서 파괴된 행정관의 통제를 받았다.

 

⑨ BC 19세기에는 번영을 누렸으나 - BC 14세기부터는 점점 약해져감.

 

⑩ 앗수르는 - 바벨론과 자주 충돌하였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를 기회로 - 다윗과 솔로몬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수리아 쪽으로 세력을 확장시킴.

 

⑪ 아람과 북이스라엘과 남유다를 - 정복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❶ 1차 앗수르 유수 - 아하스 때(디글랏 빌레셀 3세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아람 사람들이 끌려감.(왕하 16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2차 앗수르 - 베가 때(디글랏 빌레셀 3세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스라엘 백성이 끌려감(왕하 15:2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❸ 3차 앗수르 유수 - 호세아① 때.(사르곤③ 2세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스라엘 백성이 끌려감.(왕하 17: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혼혈 - 혼합 정책

 

 

 

https://enterthebible.org/map/ancient-near-east/ot-6_ancient_neareast

 

 

 

 

⑫ 제국들에게 - 차례로 멸망당함.

       ⅰ) 바벨론( = 바빌론 = 바빌로니아)에 정복됨 - 갈그미스 전투 때 느부갓네살 2세에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44. 바벨론①~③

 

 

 

https://enterthebible.org/map/ancient-near-east/ot-6_ancient_neareast

 

 

 

https://i2.wp.com/www.jesuswalk.com/isaiah/maps/neo-babylonian-empire-1950x1360x300.jpg

 

 

 

 

ⅱ) 바사( = 페르시아)에게 정복됨 - 고레스② 2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46. 바사①②

 

 

https://2.bp.blogspot.com/-s7Nqr6g7toA/WPLFi69tBxI/AAAAAAAAE5s/mj6bqg7fMBgC3Kgk5SeqrPjMi_lDLLT2QCLcB/s1600/169.jpg

 

 

 

 

rnrhttps://1.bp.blogspot.com/-YqNyBOf3JIw/XiuhtGfOsLI/AAAAAAAAT0Q/tiFqHm5stjgd-qcLnLG3u6AyeHtPJFalgCLcBGAsYHQ/s1600/%25EC%2597%2590%25EC%258A%25A4%25EB%258D%2594%2B1%25EC%259E%25A5.jpg

 

 

 

 

 ⅲ) 그리스( = 헬라)에게 정복됨 - 알렉산더①에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861. 알렉산더①

 

 

 

https://cdn.britannica.com/54/64954-050-B51B177D/Alexander-the-Great-conquests-rule-menace-culture.jpg

 

 

 

 

 

ⅳ) 로마에게 정복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45. 로마제국①②

 

 

 

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Gpsdo/btqO0fuYewK/6EOhtms5YxknuunanUVa9k/img.png

 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ⅴ) 이슬람에게 정복됨 - 우야마드

 

 

 

https://www.worldhistory.org/uploads/images/8317.png

 

 

 

       ⅵ) 현재 - 이라크 - 이슬람 국가.

 

 

 

구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