912. 야훼(Yahewh) - YHWH 하나님의 이름 ‘여호와’를 다르게 음역한 표현
① 의미 - ‘여호와 Jehovah’, ‘하나님(God, The Lord)’
❶ 히브리어 - יהוה
❷ 야훼(Yahweh)는 - 하나님의 이름 ‘여호와’를
다르게 음역한 표현.
② 예수님과 사도들도 - ‘여호와’로 발음했으나 -
※ 하나님(God)으로 번역됨.
③ 사도들 사망 이후 - 오해와 오역이 생김.
ⅰ) 유대인들 사이에서 - “여호와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라”는 계명을 -
⇒ 이름 자체를 부르면 안 되는 것으로 - 잘못 해석.
ⅱ) 종교 지도자들의 주장 - “하나님의 이름은 - 신성하므로 -
※ 함부로 발음해서는 안된다!.”
⇒ 그래서 더 이상 정확한 이름을 발음하지 않고 - 문자로만 표기하였다.
※ 결국 - 본래의 정확한 발음이 잊혀짐.
④ 자음 표기만 있던 고대 본문에서 - 하느님의 이름을 알파벳으로 쓰면 -
⇒ ‘YHWH’가 됨.
※ 그러나 유대인들의 오해와 오역 때문에 - 원래 발음을 알 수는 없다.
⑤ 중세 유대인들은 - 통일된 발음의 성경이 필요하게 됨.
⇒ 마소라 본문을 편찬하며 - 모음을 기입함.
ⅰ) 그러나 여호와의 이름을 잘못 사용하지 말라는 말씀을 - 잘못 해석하여 -
※ ‘YHWH’에 대응되는 모음 대신 - ‘주’( = 아도나이 Adonai)에 해당하는
모음을 첨가하게 됨.
⇒ 야훼(Yahewh)
ⅱ) 그래서 마소라 본문을 읽는 자는 - 하느님의 이름이 적힌 곳을
⇒ ‘아도나이 Adonai( = 주)’로 읽게 됨.
cf) 히브리어: אֲדֹנָי 아도나이,
고대 그리스어: Κύριος 퀴리오스,
라틴어: Dominus 도미누스,
영어: Lord 로드
⑦ 현대 성경 편집자들은 이 전통을 이어 - 하느님의 이름이 적힌 많은 부분을
‘the LORD, 주님’이라 부름.
⑧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-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
중요성과 심각성을 깨닫고 -
※ 여호와(영어: Jehovah)라 발음하여 쓰고 있다.
⑨ 성경을 읽을 때 -
❶ 유대인들은 - 이를 ‘아도나이(나의 주님이란 뜻)’로 읽고,
❷ 천주교에서는 - ‘야훼’,
❸ 개신교에서는 - ‘여호와’라고 읽는다.
※ 구약 - 여호와, 하나님
신약 - 하나님
'10. 악갓 ~ 언약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14. 얍복 강(Jabbok river) - 하나님을 만나 씨름한 곳, 야곱이 이스라엘이 됨 (0) | 2024.12.02 |
---|---|
913. 얀네와 얌브레(Jannes and jambres) - 애굽(이집트) 요술사, 모세를 대적 (0) | 2024.12.02 |
911. 야하시엘(Jahaziel)⑤ - 에스라 때 사람, 삿두의 자손인가 스가냐 자손인가 (0) | 2024.11.28 |
910. 야하시엘(Jahaziel)④ - 여호사밧① 시대 선지자, 암몬 전쟁의 승리 예언 (0) | 2024.11.28 |
909. 야하시엘(Jahaziel)③ - 레위인, 다윗이 레위인 반차를 나눈 뒤 남은 사람 (0) | 2024.1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