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13. 역대상하 ~ 영지주의

1047. 열심당(zealot) - 로마 제국의 통치에 과격하게 반항했던 유대 민족주의 자들

1047. 열심당(zealot) - 로마 제국의 통치에 과격하게 반항했던 유대 민족주의 자들

① 의미 - ‘시기하다’

② 다른 이름 - ❶ 셀롯      질롯

 

③ 열심당 - 로마 제국의 통치를 매우 과격하고 호전적으로 반항했던 자들을 지칭함.

 

 

 

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ig4cdQvDbPeXW_xuP8Anx7NKvNdGfWwdZUp1MTHtq5gmmUUmPEWqEALAfPq-07y3fiUVH8niR1jFLaIYcytBjKHhzresIDV-FcA7ZLdZDrg0nIkWAuhez-3Gg9vsJRFLeIblZfdgA7hQQ/s1600/6.png

 

 

 

 

④ 신약 시대에 존재했던 여러 집단들 중 하나

                ❶  바리새파       ❷ 사두개파        ❸ 에세네파      ❹ 열심당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43. 바리새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475. 사두개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943. 에세네파

 

⑤ 주요 활동 - 마카비 전쟁과 유대 반란. 

 

⑥ 기원 - ‘신과 율법에 열성이 있는 자’라는 이름에서 유래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‘질투하는 신’을 믿는 자.(출 20:5, 신 5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출 20:5 - 그것들에게 - 절하지 말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것들을 - 섬기지 말라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나 네 하나님 여호와는 - 질투하는 하나님인즉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나를 미워하는 자의 죄를 갚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로 - 삼사 대까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르게 하거니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출 20:6 - 나를 사랑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1,000 대까지 - 은혜를 베푸느니라

            비느하스① - 여호와에 대한 열성으로 바알 숭배자들을 철저히 살해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민 25:7~13, 민 31:6, 시 106:28~3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453. 비느하스①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- 회막 문에서 울 때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스라엘 자손 한 사람이 - 모세와 온 회중의 눈앞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미디안의 한 여인을 데리고 - 그의 형제에게로 온지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민 25: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제사장 아론의 손자 엘르아살①의 아들 비느하스①가 - 보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회중 가운데에서 일어나 - 손에 창을 들고(민 25: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 이스라엘 남자를 따라 - 그의 막사에 들어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스라엘 남자와 그 여인의 배를 꿰뚫어서 - 2 사람을 죽이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염병이 - 이스라엘 자손에게서 그쳤더라(민 25:8)

             엘리야 - 여호와에 대한 특심.(왕상 19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993. 엘리야①②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엘리야 - “내가 -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 열심이 유별하오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는 - 이스라엘 자손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주의 언약을 - 버리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주의 제단을 - 헐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칼로 주의 선지자들을- 죽였음이오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오직 나만 남았거늘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그들이 - 내 생명을 찾아 빼앗으려 하나이다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왕상 19:10)

 

(1) 열심당의 종류.

① 시카리(Sicarii)

       ⅰ) 의미 - ‘자객’

       ⅱ) 유다④의 후계자들이 - 새로운 형태의 폭동을 일으켰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❶ 트리포(Trypho) 장군은 - 로마에 협조하는 대제사장 요나단⑥을 암살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요나단⑥ - 맛다디아의 막내 아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동료들의 석방을 위해 - 중요한 사람들을 납치하였다(유대전쟁사, 고대사)

       ⅲ) 지도자 - 메나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갈릴리의 유다④의 손자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‘선생’이라 불렸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다른 혁명가에 의해 살해됨.(유대전쟁사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를 따르던 자들은 - 사해 남서쪽에 위치한 마사다 요새로 피신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엘리에제르 벤 야이르의 지휘로 - 끝까지 로마에 저항 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모두 자결함.

 

② 열심당(Zealot)

       ⅰ) 하급 제사장들과 예루살렘 반란자들이 연대하여 - 유대 반란을 일으킴.

       ⅱ) 목표 - 로마로부터 정치적 독립을 쟁취하는 것.

       ⅲ) 일반적으로 - 성전을 중심으로 한 권력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기득권을 가진 상류층과도 - 싸웠다.

       ⅳ) 66년 - 엘리아살( = 엘리에제르)가 이끌던 열심 당원들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성전을 점령하여 -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❶ 비유대인의 영향을 - 제거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하급 제사장들에게 - 성전 예배를 장악하게 함.(유대전쟁사)

       ⅴ) 열심당의 기원 - 맛다디아와 그의 아들들.(BC 167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늙은 제사장 맛다디아에게 - 5명의 아들이 있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67. 맛다디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이들은 - 유대의 종교적, 정치적인 독립을 쟁취하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안티오커스 에피파네스( = 안티오쿠스 4세)에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반란을 일으켰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그 후 ‘대장장이’로 알려진 유다 마카비가 - 지도자로 계승되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전쟁을 일으킨 맛다디아는 - ‘비느하스②가 시므리에게 한 것처럼’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율법에 열정을 보여주었다.’(마카비상 2:19~2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Ⓔ 요세푸스( = 요셉⑦)의 견해.(유대전쟁사, 고대사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세금 부과를 목적으로 실시한 - 로마의 인구 조사에 반발해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갈릴리에서 일어난 폭동을 주도한 마카비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‘열심당의 창시자’라 불렀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마카비 전쟁과 유대 반란의 주역들과 어떤 관계가 인지는 - 확실치 않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신약 성서에서도 -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‘갈릴리 사람 유다④는 - 백성을 꾀어서 자기를 뒤따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반란을 일으키게 했다.’고 기록 됨(행 5:3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⒈ 그는 - 하나님께 속한 땅에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로마는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으며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따라서 세금을 거두어 가는 것을- 용납할 수 없다고 믿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⒉ 그와 그를 따르는 자들은 - ‘하나님만이 우리의 주요 왕이다.’라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고백하였다.(고대사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⒊ 로마에 대한 저항은 - 유대국가가 망할 때까지 끊임없이 이어졌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요세푸스는 마카비를 - 바리새파, 사두개파, 에세네파에 이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‘제4의 철학’을 이끄는 ‘선생’이라 불렀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그러나 로마군의 정복으로 - 마카비 시대는 막을 내렸다.

       ⅵ) 로마제국시대(헤롯 아켈라오) - AD 6년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외교적인 방법으로 - 준평화 상태를 유지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그러나 헤롯이 죽자 - 헤롯 아켈라오의 폭정에 대항하기 위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갈릴리 출신 유다④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바리새인과 사두개인과 협력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궁궐을 습격하고 병기고를 부수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자기를 따르는 자들을 무장시켜 - 유혈폭동을 일으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행 5:3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그 후 유대 총독으로 새로 임명된 퀴리노는 - 인구조사를 하겠다고 하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이를 계기로 - 다시 유다에 의해 전국적인 폭동이 일어났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끊임없이 계속되는 유혈사태 속에서 - 유다④는 살해되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Ⓔ 이러한 배경에서 - ‘셀롯’이라고 알려진 파가 생겨남.

 

③ 바라바

       ⅰ) 로마 세력에 강하게 저항하는 혁명주의자.

       ⅱ) 이 셀롯(열심당)은 - 자기들의 이상을 실천하기 위해 투쟁할 때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무모하고도 냉혹하게 자신들의 모든 이익을 포기해 버림.

       ⅲ) 예수님 대신 석방된 - 열심당원 바라바

       ⅳ) AD 70년 - 예루살렘이 포위 되었을 때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 열심당원들은 - 유화정책을 쓰는 사람이라고 지목한 사람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모두 살해하면서 내란을 일으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포위, 공격하는 로마군에게 - 장기간 대적하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들의 분노를 크게 일으킴.

 

④ 마사다의 열심당원들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마사다 - 사해의 서쪽 해변에 있는 난공불락의 요새.

       ⅰ) 마사다에는 천여 명의 열심당원들이 - 최후까지 로마군에 항쟁함.

       ⅱ) 결국 로마군이 진격해 오자 - 남편은 아내와 자식들을 죽이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자신의 목숨도 끊었다.

 

(2) 예수님과 열심당.

① 셀롯(열심당) 시몬⑦ - 예수님의 제자.

       ⅰ) 시몬⑦은 - ‘열광적’을 의미하는 ‘카나나이오스(Kananaios)’라고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‘카나나이오스’ - 열심당에 대한 아람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677. 시몬⑦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누가가 고쳐서 - ‘시몬⑦’이라함. (눅 6:15)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눅 6:15 - 마태와 도마와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②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셀롯이라는 시몬⑦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이유 - 시몬① 베드로와 구별하기 위해 열심당 시몬⑦이라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가나안인이라고 쓰여진 것은 - 지리적인 의미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카나나이스라는 - ‘정치적인 명칭’이다.

       ⅱ) 예수님이 열심당이었거나 열심당에 우호적이라는 - 오해를 받는 이유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예수님의 파격적인 행동 – 죄인과 함께 식사, 여성 우대 . . 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제자 가운데에 - ‘시몬⑦’이라는 열심당원이 있었기 때문.(눅 6:1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눅 6:15 - 마태와 도마와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②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셀롯이라는 시몬⑦과

       ⅲ) 셀롯 열심당들 - 외국의 세금부과에 반대하여 투쟁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자신들의 의견을 고무하고 실현하기 위해 - 하나씩 하나씩 음모를 꾸미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종교적인 열성이란 이름을 빌어 - 아무런 제약도 받지 않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난폭한 테러를 자행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시몬⑦은 - 그와 똑같은 일을 행하는 사람이라고 기록됨

       ⅳ) 셀롯 시몬⑦은 - 5곳에4언급됨.(마 10:4, 막 3:18, 눅 6:15, 행 1:15)

       ⅴ) 셀롯 시몬⑦은 - 개인적인 기록이 없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12두 사도의 이름에만 기록됨.

 

② 예수님을 열심당으로 보는 이유.

       ⅰ) “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려고 온 줄로 아느냐? . . 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아니라 - 도리어 분쟁하게 하려 함이로라.”(눅 12:5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분쟁의 이유 - 성령을 받은 자와 받지 않은 자의 분쟁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성령을 받은 자들 - 서로 화평

       ⅱ) “검 없는 사람은 - 겉옷을 팔아서 사라!.”(눅 22:3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때 - 십자가 죽음을 앞둔 성만찬 때 하신 말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의미 - 자신을 방어하라는 의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율법은 - 겉옷을 저당잡지 말라고 금하고 있지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상황이 급박함을 의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지금 칼을 사야 할 만큼 - 곧 여러 어려움과 박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심지어 목숨이 위협 당하는 일까지 생길 것임을 의미.

       ⅲ) 예수님은 - 이 시대의 가치관을 거스리는 혁명적인 생각이나 행동을 했으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열심당의 폭력적 행동은 - 행하지 않았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로마의 황제에게 세금을 내라고 하심.과(막 12:15~1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예수님- “가이사의 것은 - 가이사에게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나님의 것은 - 하나님께 바치라!.”(막 12:17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“원수를 사랑하라!.”(마 5:44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마 5:44b - “너희 원수를 - 사랑하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- 기도하라!”

       ⅳ) 요세푸스에 따르면 - 60년 중엽 로마의 팔레스타인 지배가 강화되는 동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로마에 저항하기 시작한 여러 혁명 그룹들 가운데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시카리, 열심당, 기살라의 요한, 시몬 바르기오라, 이두메 사람 등이 있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유대전쟁사)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이들은 - 각기 다른 배경과 목표, 방법과 지도력을 가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다양한 집단임.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단체끼리 - 서로 화합이 잘되지 않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로마에 맞서 싸우는 일에서조차 - 서로 잘 협력하지 않았으며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종종 집단끼리 - 서로 갈등을 빚기도 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