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53. 예레미야서(Jeremiah)① - 예레미야서의 특징과 왕들, 예레미야서 내용
(1) 저자 - 예레미야
※ 바룩①이 - 받아 적음.(렘 36:32, 렘 43:6~7)
① 남유다 선지자 - 남유다 몰락과 멸망의 시기에 사역
② 성격이 - 내성적이고 연약했다.
※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 - 대담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.
③ 선포 내용 -
❶ 남유다의 죄를 지적함 - 우상 숭배, 여호와의 말씀에 불순종
❷ 예루살렘의 함락
❸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- 70년 바벨론 포로로 가라.
④ ‘눈물의 선지자’라고도 불림(렘 9:1, 렘 31:1, 애 31:16)
cf) 이유 - 이스라엘의 구원을 위해 많은 눈물을 흘리며
애통해하고 기도했기 때문.
※ 렘 9:1 - 어찌하면 - 내 머리는 물이 되고
내 눈은 눈물 근원이 될꼬?
※ 죽임을 당한 딸 내 백성을 위하여 - 주야로 울리로다
렘 31:16 -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
네 울음 소리와 네 눈물을 - 멈추어라!.
네 일에 - 삯을 받을 것인즉 -
⇒ 그들이 - 그의 대적의 땅에서 돌아오리라
※ 여호와의 말씀이니라
애 3:48 - 딸 내 백성의 파멸로 말미암아 -
⇒ 내 눈에는 - 눈물이 시내처럼 흐르도다
(2) 기록 연대
① 활동 시기 - 약 40년간 활동 - 요시야 ~ 그다랴①까지(유다 총독)
cf) 왕하 22~25장, 대하 34~36장에 해당됨.(BC 626~BC 587년)
※ 예루살렘 멸망 과정
❶ 요시야 ❷ 여호아하스② ❸ 여호야김( = 엘리아김)
❹ 여호야긴( = 여고냐 = 고니야 = 여고니야) ❺ 시드기야①( = 맛다니야)
❻ 그다랴(유다 총독) - 바벨론 느부갓네살 2세가 유다 총독으로 임명
② 선지자로 부름 받음 - 요시야 13년에(BC 627년)(렘 1:2~6, 렘 25:3)
※ 예레미야 약 20세.
③ 동시대 선지자들
ⅰ) 동시대 초기 사역시 선지자들 - ❶ 나훔 ❷ 스바냐(Z)① ❸ 하박국
ⅱ) 동시대 후기 사역시 선지자들 - ❶ 다니엘① ❷ 에스겔
(3) 특징
① 구약의 선지서( = 예언서) 중 - 1권.
cf) 선지서( = 예언서) - 총 16개
ⅰ) 대선지서 - 4개 - ❶ 이사야서 ❷ 예레미야서 ❸ 에스겔서 ❹ 다니엘서
ⅱ) 소선지서 - 12개 - ❶ 호세아서 ❷ 요엘서 ❸ 아모스서 ❹ 오바댜서
❺ 요나서 ❻ 미가서 ❽ 나훔서 ❽ 하박국서
❾ 스바냐서 ❿ 학개서 ⓫ 스가랴서 ⓬ 말라기서
② 예레미야서는 - 주제별로 기록됨.
※ 시간의 흐름에 따라 - 기록되지 않음.
cf) 왕하 22~25장, 대하 34~36장에 해당됨.
※ 렘 25장 - 예레미야서의 총정리 장.
ⅰ) 요시야 - 렘 1~20장(렘 12:7~13:27 제외 - 여호야김)
ⅱ) 여호야김 - 렘 12:7~13:27, 렘 22~23, 렘 25~26장, 렘 33장, 렘 35~36장, 렘 45장,
ⅲ) 여호야긴 - 렘 13:18~19, 렘 20:24~30, 렘 52:31~34
ⅳ) 시드기야① - 렘 21장, 렘 24장, 렘 27장~29장, 렘 51:59, 렘 60장(경고들),
렘 30~33장(약속들), 렘 34장, 렘 37~39장(예루살렘 포위)
ⅴ) 예루살렘 함락이후에 관한 예언들 - 렘 40~44장
ⅵ) 민족들의 멸망에 대한 예언들 - 렘 46~51장
ⅶ) 역사적 내용 요약 - 렘 52장
③ 예레미야의 이름이 - 남유다의 예언에는 - 1인칭으로,
- 전기적 부분에는 - 3인칭으로 기록됨.
④ 대필자 - 바룩①
※ 바룩①이 - 받아 적음.(렘 36:32, 렘 43:6~7)
⑤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- 70년 바벨론 포로로 가기를 선포함.
⇒ 친애굽하는 왕들과 백성들의 - 반박과 목숨의 위협을 받음.
(4) 교훈 - 하나님과의 관계,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해야 함.
❶ 여호와의 경외하지 않고 명령을 지키지 않아 - 바벨론 포로가 됨.
❷ 회개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- 여호와께 돌아와야 한다.
❸ 이스라엘을 여전히 사랑하시는 하나님 - 회복
※ 렘 23:5 - 의로운 가지 - 예수님
cf) 예수님은 종종 - 예레미야서에서 말씀을 인용하셨다.
(5) 배경
① 정치적 배경 - 고대 근동사에게 가장 중요한 - 격동의 시기였다.
❶ 앗수르의 쇠퇴기
❷ 바벨론이 - 신흥강국으로 떠오름.
❸ 바벨론과 애굽의 - 주도권 쟁탈전이 심했다.
② 영적 배경
ⅰ) 예레미야 - 경건한 제사장 가정에서 성장.
⇒ 이스라엘의 율법을 교육받음.(렘 1:1)
ⅱ) 남유다 - 왕과 제사장, 백성의 타락이 심함.
ⅲ) 히스기야의 종교개혁(왕하 18장)은 - 므낫세②의 배교로 무너짐.(왕하 21장)
③ 동시대 선지자들
ⅰ) 동시대 초기 사역시 선지자들 - ❶ 나훔 ❷ 스바냐(Z)① ❸ 하박국
※ 스바냐(Z)① - 스바냐서 기록
나훔 - 나훔서
하박국 - 하박국서
ⅱ) 동시대 후기 사역시 선지자들 - ❶ 다니엘① ❷ 에스겔
※ 다니엘① - 여호야김 시대 - 바벨론 1차 포로
에스겔 - 여호야긴 시대 - 바벨론 2차 포로
④ 예레미야 시기의 왕들 - 요시야, 여호아하스②, 여호야김, 여호야긴, 시드기야①
cf) 요시야의 가족들 -
※ 부인 - ❶ 하무달 - 요하난의어머니
시드기야①의 어머니(왕하 24:8)
여호아하스②의 어머니(왕하 23:31)
❷ 스비다 - 여호야김( = 엘리야김①)의 어머니(왕하 23:36)
아들(대상 3:15) - ❶ 요하난 ❷ 여호야김( = 엘리아김①)
❸ 시드기야①( = 맛다니야)
❹ 살룸④(여호아하스②)(대상 3:15)
손자 - 여호야긴( = 여고냐)(왕하 24:6, 대상 3:16)
※ 여호야김의 아들.
ⅰ) 요시야 - 종교개혁, 므깃도전투(1차 갈그미스 전투)(왕하 22~23장 대하 34:4이하)
★참고 - 287. 므깃도 전투
Ⓐ 체계적인 종교개혁을 시도했고
성전에서 율법책이 발견되자 - 개혁에 더욱 힘씀.(대하 34:4이하, 왕하 23장)
Ⓑ 렘 1~6장 - 2번째 종교개혁 이전임.
Ⓒ 예레미야가 - 요시야의 종교개혁를 격려했음을 알 수 있음.(렘 11:1~17)
Ⓓ 요시야가 - 므깃도에서 죽음.(므깃도 전투, 1차 갈그미스 전투)
⇒ 예레미야가 애가를 지음 - 예레미야 애가
ⅱ) 여호아하스②( = 살룸④)(렘 22:11, 대하 36:2~4, 왕하 23:31~35)
Ⓐ 요시야의 아들.
※ 애굽에 포로로 잡혀감.
Ⓑ 예레미야는 - 이 사건을 슬퍼함.(렘 22:11)
ⅲ) 여호야김( = 엘리아김) - 1차 바벨론 포로(렘 46장, 대하 36:5~8, 왕하 23:36~24:7)
★참고 - 1028. 여호야김
Ⓐ 2차 갈그미스 전투(BC 605)(렘 46장)
⇒ 애굽의 느고 2세( = 네코 2세) - 바벨론 느부갓네살 2세에게 패함.
※ 고대 근동의 패권이 - 바벨론에게 넘어감.(렘 25:15이하)
Ⓑ BC 604년 - 느부갓네살 2세가 아스글론을 침략함.(렘 47:5이하)
ⓐ 남유다에 - 금식이 선포됨.(렘 36:9이하)
ⓑ 바룩①이 가지고간 예레미야의 예언을 - 칼로 잘라서 불사름.(렘 36:23)
ⓒ 예레미야의 예언과 남유다 여호야김의 정책은 - 서로 달랐다.
(렘 22:13이하, 렘 26:20이하)
Ⓒ 여호야김이 - 친애굽, 반바벨론 정책을 함.
Ⓓ 예레미야가 -이것을 질책하다가 핍박을 받음.
(렘 11:18이하, 렘 12:6, 렘 15:15이하, 렘 20:2, 렘 26:10~11, 렘 36:27)
Ⓔ 그러나 예레미야는 - 자신의 사역을 계속함.
Ⓕ 여호야김이 - 죽임을 당함.(렘 22:18, 왕하 24:1)
※ 바벨론 1차 포로
ⅳ) 여호야긴( = 고니야 = 여고니야)(렘 33:24이하, 대하 36:9~10, 왕하 24:8~17)
★참고 - 1027. 여호야긴
Ⓐ 3 달 동안 통치함.
Ⓑ BC 597년 - 바벨론 2차 포로가 됨.(왕하 24:8)
cf) 예레미야가 예언했었음.(렘 22:24이하)
ⅴ) 시드기야① - 바밸론 3차 포로(대하 36:11~21, 왕하 24:18~25:21, 렘 52:1~3)
Ⓐ BC 597~587 - 느부갓네살 2세가 시드기야①를 왕으로 세움.
★참고 - 620. 시드기야①
Ⓑ 결단력이 약한 시드기야①가 - 애굽의 호브라와 결탁하여 -
⇒ 바벨론을 반역하고 - 친애굽 정책을 함.
Ⓒ 예레미야 - 반대함(렘 27~28장)
ⓐ 예레미야의 주장 - 바벨론 포로로 가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다.
※ 거짓 선지자들의 반박에도 불구하고 - 바벨론 포로로 갈 것을 주장.
(렘 28:1~17, 렘 34장, 렘 37:3이하)
ⓑ 예레미야가 투옥됨 -
cf) 죄명 - 탈주(렘 37:11이하), 반역(렘 38:1이하)
ⓒ 회복의 약속을 선포함.(렘 31~33장)
Ⓓ 느부갓네살 2세가 - 남유다를 정복함.(BC 587년)
★참고 - 147. 느부갓네살 2세①~④
❶ 3차 바벨론 포로
❷ 시드기야①와 그의 아들들 - 여리고 평지에서잡혀
⇒ 리블라로 끌려감(렘 39:5, 렘 52:8)
❸ 예레미야에게 - 친절하게 대함.
⇒ 부하 느부사라단에게 - 예레미야를 풀어 주라 함.
⇒ 예레미야가 미스바②에 있는 그다랴①에 가서 머뭄.
(렘 40:1)
Ⓔ 그러나 반역자들이 - 유다 총독 그다랴①를 살해 후 -
⇒ 예레미야와 남은 백성들을 - 강제로 애굽에 끌고 감.(렘 42~44장)
⑤ 바벨론 포로 주장 - 70년 포로 후 회복을 약속하셨다.
❶ 친애굽을 - 반대하고
※ 바벨론 포로를 - 선포하고 주장함.
※ 렘 29:10 -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
※ “바벨론에서 - 70년이 차면 -
⇒ 내가 - 너희를 돌보고
나의 선한 말을 너희에게 성취하여
※ 너희를 - 이곳으로 돌아오게 하리라.”
❷ 바벨론 포로는 - 하나님의 뜻.(왕하 24:12~16, 대하 36:17~21)
⒈ 70년 뒤 포로귀환 함.(렘 25:12~13)
⒉ 예레미야의 편지는 - 포로 된 백성들,
특히 다니엘①에게 - 큰 위로가 됨.(단 9:2, 렘 51:61)
※ 렘 51:61 - 스라야에게 말하기를 -
※ “너는 - 바벨론에 이르거든 -
⇒ 삼가 - 이 모든 말씀을 읽고
※ 단 9:2 - 곧 그 통치 원년에
나 다니엘①이 - 책을 통해 -
⇒ 여호와께서 말씀으로 -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알려 주신 -
※ 그 연수를 깨달았나니
곧 - “예루살렘의 황폐함이 - 70년 만에 그치리라.”
하신 것이니라
❸ 바벨론은 - 반드시 멸망할 것임.
ⅰ) 친애굽 관리들과 백성들의 - 미움과 박해를 받고
생명의 위협을 당하면서도 -
※ 끝까지 하나님과 백성을 사랑하는 - 눈물의 선지자였다.(렘 9:1, 렘 13:17)
ⅱ) 바벨론 포로가 된 이유 2가지.
❶ 출애굽한 이스라엘은 - 가나안 정착 이후 남유다의 시드기야① 때까지
여호와의 명령과 율법, 안식일과 안식년과 희년 등을
제대로 지키지 않고 살아왔다.
(레 25:2~5, 레 25:8~12, 레 26:14, 레 26:34~35, 대하 36:20~21)
❷ 우상을 섬김.
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.
제사장, 선지자, 왕, 백성들의 - 타락.
ex) 배역, 간음, 완악함, 거짓 . . .
(렘 1:26, 렘 2:8, 렘 5:2~3, 렘 5:28, 렘 6:13~15, 렘 7:13,
렘 7:23~26, 렘 7:31, 렘 14:14, . . . )
ⅲ) 왜 70년인가?
Ⓐ 하나님께서 - 날 수를 모두 계수하시고 - 70년간 땅을 안식하겠다함.
Ⓑ 70년이란? - 2 가지 견해
❶ 1차 포로시기(BC 605) ~ 고레스② 칙령(BC 535년)
※ 여호야김 ~ 고레스② 2세의 포로 귀환 명령 시기
❷ 예루살렘 멸망(BC 587) ~ 스룹바벨 성전 완성(BC 516)
Ⓒ 다니엘①은 - 예레미야의 책을 통해서
⇒ 바밸론 포로기간이 70년임을 - 알고 있었다.(단 9:2, 렘 51:61)
※ 렘 51:61 - 스라야에게 말하기를 -
※ “너는 - 바벨론에 이르거든 -
⇒ 삼가 - 이 모든 말씀을 읽고
※ 단 9:2 - 곧 그 통치 원년에
나 다니엘①이 - 책을 통해 -
⇒ 여호와께서 말씀으로 -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알려 주신 -
※ 그 연수를 깨달았나니
곧 - “예루살렘의 황폐함이 - 70년 만에 그치리라.”
하신 것이니라
ⅳ) 결과 - 70년을 지냄 -
Ⓐ 예레미야의 예언이 이루어짐.(대하 36:21, 렘 25:1~11, 렘 25:13, 렘 29:10, 단 9:2)
cf) 바벨론(느부갓네살 2세) → 메대(다리오①) → 바사(고레스② 2세)
※ 대하 36:21 - 이에 토지가 황폐하여 땅이 안식년을 누림같이 -
⇒ 안식하여 - 70년을 지냈으니
여호와께서 예레미야의 입으로 하신 말씀이 -
⇒ 이루어 졌더라(레 25:4~5)
Ⓑ 바벨론 포로 - 바벨론 유수 - 느부갓네살 2세
❶ 1차 바벨론 포로(BC605년) - 여호야김 - 다니엘①과 세 친구(왕하24:1)
❷ 2차 바벨론 포로(BC597년) - 여호야긴 - 에스겔(왕하 24:10~17)
❸ 3차 바벨론 포로(BC586년) - 시드기야① - 유다 완전 멸망(왕하 25장)
(6) 구조
1) 유다 심판의 예언(1~45장)
① 예레미야를 선지자로 부르심(렘 1장)
② 유다가 멸망하기 전에 주어진 메시지(렘 2~38장)
③ 예루살렘과 유다의 멸망 - 예레미야의 석방
(39장, 왕하 25:1~12, 렘 52:4~16, 렘 39:11~14, 렘 40:1~6)
※ 바벨론 느부갓네살 2세를 사용하심.
④ 남은 유다인에게 주어진 메시지(렘 42~45장)
2) 이방 나라들에 대한 예언(46~51장)
3) 부록 - 예루살렘의 멸망 - 유다의 멸망을 돌아봄(52:1~34)
(7) 내용
1) 유다 심판의 예언 - 유다가 멸망하기 전에 주어진 메시지(렘 1~38장)
① 예레미야의 소명(렘 1:4~19)
ⅰ) 여호와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다(렘 1:4~10)
ⅱ) 살구나무와 가지와 끓는 가마 환상(렘 1:11~19)
②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저버리다(렘 2:1~37)
ⅰ) 여호와께서 기억하시다(렘 2:1~3)
ⅱ) 조상들이 여호와를 멀리하였다(렘 2:4~8)
ⅲ) 백성이 행한 악(렘 2:9~13)
ⅳ) 이스라엘의 악과 반역(렘 2:14~19)
ⅴ) 이방 신을 따라 가는 이스라엘(렘 2:20~25)
ⅵ) 유다를 심판하리라(렘 2:26~37)
③ 유다의 음란과 행악 - 이방신에게 절함 - 영적 간음(렘 3:1~18)
ⅰ) 유다의 음란과 행악(렘 3:1~5)
ⅱ) 배역한 이스라엘과 반역한 유다(렘 3:6~18)
ⅲ) 이스라엘의 배역 - 배역한 자식, 간음한 아내(렘 3:19~22a)
ⅳ) 진실한 회개(렘 3:22b~25)
④ 돌아오라고 하시다 - “내게로 돌아오라!. 묵은 땅을 갈라!.”(렘 4:1~4)
⑤ 나라들을 멸하는 자가 나아오다 - 예레미야의 탄식(렘 4:5~22)
ⅰ) 나라들을 멸하는 자가 나아오다(렘 4:5~10)
ⅱ) 백성에게 심판을 행하리라 - 북방으로부터 닥칠 재앙(렘 4:11~18)
ⅲ) 예레미야의 탄식(렘 4:19~22)
ⅳ) 혼돈의 환상 - 딸 시온의 고통소리 - 멸망당하고 황폐해지고 죽임 당함.(렘 4:23~31)
⑥ 예루살렘의 허물과 반역(렘 5:1~19)
ⅰ) 올바른 자가 하나도 없도다.(렘 5:1~9)
ⅱ) 여호와께서 백성을 버리시다(렘 5:10~19)
⑦ 여호와께서 백성에게 이르시다 - 백성과 선지자 제사장들의 죄(렘 5:20~31)
⑧ 포위공격 받을 예루살렘(렘 6:1~30)
ⅰ) 벌 받을 성 예루살렘(렘 6:1~8)
ⅱ) 벌 받을 백성(렘 6:9~15)
ⅲ) 선한 길로 가지 아니하다(렘 6:16~22)
ⅳ) 북방에서 쳐들어올 것임.(렘 6:22~30)
⑨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 - 우상숭배하는 이스라엘 백성들(렘 7:1~8:3)
ⅰ)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(렘 7:1~15)
ⅱ) 여호와께 순종하지 아니하는 백성(렘 7:16~28)
ⅲ) 살육의 골짜기 - 도벳 사당을 건축(렘 7:29~8:3)
⑩ 죄와 벌 - 예레미야의 번뇌(렘 8:4~9:26)
ⅰ) 죄와 벌(렘 8:4~17)
ⅱ) 선지자의(예레미야)의 번뇌(렘 8:18~9:16)
ⅲ) 사랑과 정의와 공의를 행하시는 여호와(렘 9:17~26)
⑪ 하나님과 우상들(렘 10:1~16)
ⅰ) 우상의 가르침과 참 하나님 여호와(렘 10:1~11)
ⅱ) 만물의 조성자 만군의 여호와(렘 10:12~16)
⑫ 다가오는 멸망(렘 10:17~25)
ⅰ) 백성의 탄식(렘 10:17~22)
ⅱ) 예레미야의 기도 - 백성의 탄식(렘 10:23~25)
⑬ 언약이 깨뜨려지다 - 여호와께서 이르신 언약의 말(렘 11:1~17)
⑭ 예레미야를 해하려는 음모 - 아나돗 사람들이 예레미야를 죽이려고 꾀하다 (렘 11:18~23)
⑮ 예레미야의 불평과 하나님의 대답(렘 12:1~17)
ⅰ) 예레미야의 질문(렘 12:1~6)
ⅱ) 황무지의 슬픔과 여호와의 분노(렘 12:7~13)
ⅲ) 여호와의 악한 이웃에 대하여(렘 12:14~17)
⑯ 베 띠 - 허리 띠(렘 13:1~11)
⑰ 포도주 병 - 포도주 가죽 부대(렘 13:12~14)
⑱ 포로에 대한 위협 - 교만에 대한 경고(렘 13:15~27)
⑲ 가뭄, 기근, 칼 - 백성이 주께 간구하다(렘 14:1~22)
⑳ 4가지로 백성들을 벌하리라 - 예레미야의 기도와 여호와의 말씀(렘 15:1~21)
ⅰ) 4가지로 백성들을 벌하리라(렘 15:1~9)
ⅱ) 예레미야의 기도와 여호와의 말씀(렘 15:10~21)
㉑ 재앙의 날 - 백성에게 할 말(렘 16:1~17:18)
ⅰ) 백성에게 할 말(렘 16:1~13)
ⅱ) 포로의 귀환(렘 16:14~15)
ⅲ) 악과 죄를 배나 갚을 것이라(렘 16:16~18)
ⅳ) 예레미야의 기도(렘 16:19~21)
㉒ 유다의 죄와 벌 - 예레미야의 간구(렘 17:1~18)
ⅰ) 유다의 죄와 벌(렘 17:1~11)
ⅱ) 예레미야의 간구(렘 17:12~18)
㉓ 안식일을 거룩하게 하라 - 위의 예레미야의 간구에 대한 답변(렘 17:19~27)
㉔ 토기장이의 비유 - 파상된(터진) 그릇(렘 18:1~23)
ⅰ) 터진 그릇(렘 18:1~12)
ⅱ) 이스라엘이 가증한 일을 행하다(렘 18:13~17)
ⅲ) 예레미야를 죽이려하다 - 구덩이를 팜(렘 18:18~23)
㉕ 깨진 옹기(렘 19:1~15)
㉖ 예레미야와 바스홀 - 예레미야가 여호와께 사정을 아뢰다(렘 20:1~18)
ⅰ) 예레미야와 바스홀(렘 20:1~6)
ⅱ) 예레미야가 여호와께 사정을 아뢰다 - 예레미야의 불평(렘 20:7~18)
㉗ 여호와께서 두신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 - 시드기야①의 요청이 거부되다 (렘 21:1~10)
㉘ 유다 왕의 집에 선언하다 - 악한 왕들에 대한 심판(렘 21:11~30)
ⅰ) 유다 왕의 집에 내린 벌(렘 21:11~14)
ⅱ) 유다 왕의 집에 선언하다(렘 22:1~9)
ⅲ) 살룸④ 왕( = 여호아하스②에 대하여 말하다(렘 22:10~12)
ⅳ) 여호야김 왕에 대하여 말하다(렘 22:13~19)
ⅴ) 예루살렘에 대한 탄식(렘 22:20~23)
ⅵ) 여호와께서 고니야( = 여호야긴 = 여고니야) 왕을 심판하시다(렘 22:24~30)
㉙ 의로운 가지 – 미래의 왕 메시아(렘 23:1~8)
㉚ 거짓말하는 선지자들 – 선지자들에 대한 말씀(렘 23:9~32)
㉛ 여호와의 엄중한 말씀(렘 23:33~40)
㉜ 좋은 무화과 나쁜 무화과 - 여호와의 전 앞에 놓인 2개의 무화과 광주리 (렘 24:1~10)
㉝ 70년 동안 바벨론 왕을 섬기리라 - 70년 동안의 포로 생활.(렘 25:1~14, 대하 36:17~21)
cf) 25장 - 예레미야서의 총정리
㉞ 하나님의 진노의 잔 - 모든 나라에 내리는 진노(렘 25:15~38)
㉟ 여호와의 성전 뜰에서 말씀을 전하다(렘 26:1~24)
※ 예레미야가 죽음의 협박을 당하다 - 여호와김 즉위 초에.(렘 26:1~24)
㊱ 거짓 선지자들과 싸우는 예레미야(렘 27:1~22)
㊲ 예레미야와 하나냐① - 거짓 선지자 하나냐①(렘 28:1~17)
㊳ 포로에게 보낸 예레미야의 편지(렘 29:1~23)
㊴ 스마야에게 보낸 편지와 여호와의 말씀 - 스마야에게 이르라(렘 29:24~32)
㊵ 이스라엘의 회복 (렘 30:1~31:40)
ⅰ) 포로를 돌아오게 할 것이라(렘 30:1~24)
ⅱ) 이스라엘을 다시 세우고 지키시리라(렘 31:1~14)
ⅲ) 라헬의 애곡과 여호와의 위로(렘 31:15~22)
ⅳ) 사로잡힌 자를 돌아오게 할 때(렘 31:23~30)
ⅴ) 새 언약(렘 31:31~40)
㊶ 예레미야가 밭을 사다 – 영원한 언약(렘 32:1~44)
ⅰ) 여호와의 말씀대로 아나돗의 밭을 사다(렘 32:1~15)
ⅱ) 예레미야의 기도(렘 32:16~35)
ⅲ) 영원한 언약(렘 32:36~44)
㊷ 회복의 약속 - 이스라엘과 유다의 회복에 대한 언약(렘 33:1~26)
㊸ 시드기야① 왕에 대한 경고 - 시드기야① 왕에 대한 말씀(렘 34:1~7)
㊹ 여호와 앞에서 맺은 계약을 어기다 - 노비들의 자유(렘 34:8~22, 레 25:39~46)
㊺ 레갑② 사람들 – 예레미야와 레갑② 사람들(렘 35:1~19, 왕하 10:15~27)
㊻ 불살라지는 예레미야의 두루마리 책 - 여호야김이 불태움(렘 36:1~32)
ⅰ) 바룩①이 여호와의 성전에서 두루마리를 낭독하다(렘 36:1~10)
ⅱ) 바룩①이 고관 앞에서 두루마리를 낭독하다(렘 36:11~19)
ⅲ) 왕이 두루마리를 태우다(렘 36:20~26)
ⅳ) 예레미야가 말씀을 다시 쓰다(렘 36:27~32)
㊼ 느부갓네살이 시드기야①를 유다 왕으로 삼다(렘 37:1~10)
㊽ 감옥에 갇힌 예레미야 - 예레미야를 붙잡아 가두다(렘 37:11~21)
㊾ 예레미야가 구덩이에 갇히다 - 감옥 뜰에 있는 말기야의 구덩이(렘 38:1~28)
㊿ 시드기야①가 예레미야에게 묻다 - 시드기야①가 예레미야에게 재차 묻다 (렘 38:14~28)
2) 예루살렘과 유다의 멸망 - 예레미야의 석방(39장, 왕하 25:1~12, 렘 52:4~16, 렘 39:11~14, 렘 40:1~6)
cf) 바벨론 느부갓네살 2세를 사용하심.
① 예루살렘이 함락되다(렘 39:1~10, 왕하 25:1~12, 렘 52:4~16)
② 예레미야가 석방되다 - 바벨론으로 옮기던 중 라마①에서(렘 39:11~14, 렘 40:1~6)
cf) 렘 39:11~14과 렘 40:1~6은 - 섞어서 동시에 읽어야 함.
※ 예레미야도 결박되어 있었음.
③ 여호와께서 에벳멜렉에게 구원을 약속하시다(렘 39:15~18)
④ 유다 총독 그다랴① - 그다랴①가 유다 총독이 됨 (렘 40:1~12, 왕하 25:22~24, 렘 39:14)
❶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예레미야를 풀어줌 – 느부사라단도 하나님을 인정함.(렘 40:2~6)
❷ 바벨론 왕이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①를 유다 총독으로 세움(렘 40:7)
❸ 유다로 옮기지 아니한 빈민을 맡김.(왕하 25:12, 왕하 25:22)
⑤ 그다랴① 총독을 죽이다 - 그다랴① 총독이 살해됨 - 이스마엘②의 반역
(렘 40:13~41:18, 왕하 25:25~26)
3) 남은 유다인에게 주어진 메시지(렘 42~45장)
① 백성이 예레미야에게 기도를 간구하다.(렘 42:1~6)
② 여호와의 말씀(렘 42:7~22)
③ 예레미야가 애굽으로 가다 - 불순종한 남은 백성들(렘 43:1~7)
※ 가레아의 아들 요하난①이 끌고 감
④ 애굽에서의 사역 - 다바네스(렘 43:8~45:5)
※ 느고 2세(여호야김, 여호야긴 - 남유다 1,2,차 바벨론 포로) →
→ 애굽 프삼티크 2세 →
→ 애굽 호브라(시드기야① - 남유다 3차 바벨론 포로)
ⅰ) 애굽 땅에 다바네스에서 여호와의 말씀(렘 43:8~13)
ⅱ) 애굽의 유다 사람에게 하신 말씀 - 재앙은 우상숭배 때문이다(렘 44:1~30)
※ 다바네스, 놉②( = 멤피스), 바드로스( = 믹돌)
⑤ 여호와께서 바룩에게 구원을 약속하시다 - 바룩에게 주어진 메시지(렘 45:1~5)
4) 이방 나라들에 대한 예언(46~51장)
① 애굽에 관한 여호와의 말씀(렘 46:1~12)
② 느부갓네살이 애굽을 치리라(렘 46:13~26)`
③ 이스라엘을 구원하리라(렘 46:27~28)
④ 블레셋에 관한 여호와의 말씀 - 블레셋 사람을 유린하시는 날(렘 47:1~7)
⑤ 모압에 관한 여호와의 말씀(렘 48:1~47)
ⅰ) 모압의 멸망(렘 48:1~10)
ⅱ) 모압이 황폐하였다(렘 48:11~25)
ⅲ) 모압이 조롱거리가 되리라(렘 48:26~35)
ⅳ) 모압이 벌 받을 해(렘 48:36~47)
⑥ 암몬이 받을 심판(렘 49:1~6)
⑦ 에돔이 받을 심판(렘 49:7~22)
⑧ 다메섹이 받을 심판(렘 49:23~27)
⑨ 게달과 하솔이 받을 심판(렘 49:28~33)
⑩ 엘람이 받을 심판(렘 49:34~39)
⑪ 바벨론에 관한 메시지(렘 50:1~51:64)
ⅰ) 바벨론이 받을 심판(렘 50:1~5)
ⅱ) 바벨론에서 도망하라 - 갈대아 땅에서 나오라(렘 50:6~10)
ⅲ) 바벨론의 멸망(렘 50:11~16)
ⅳ) 이스라엘을 돌아오게 하리라(렘 50:17~20)
ⅴ) 여호와께서 바벨론을 심판하시다(렘 50:21~46)
ⅵ) 바벨론을 멸하시는 여호와(렘 51:1~14)
ⅶ) 여호와를 찬양하다(렘 51:15~19)
ⅷ) 바벨론은 여호와의 철퇴(렘 51:20~24)
ⅸ) 바벨론이 황무지가 되리라(렘 51:25~32)
ⅹ)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보복하시다(렘 51:33~40)
ⅺ) 바벨론의 파멸을 노래하다(렘 51:41~49)
ⅻ) 여호와께서 바벨론에 보복하시다(렘 51:50~53)
xiii) 바벨론이 황폐하리라(렘 51:54~58)
xiv) 예레미야가 바벨론에 예언을 전하다(렘 51:59~64)
⑫ 예레미야의 말이 이에 끝나니라(렘 51:64)
※ 예레미야서의 실질적인 마지막임.
5) 부록 - 예루살렘의 멸망 - 유다의 멸망의 원인과 과정을 다시 한번 돌아봄(52:1~34)
① 시드기야의 배반과 죽음(렘 52:1~11, 왕하 24:18~25:7)
② 여호와의 성전이 헐리다(렘 52:12~23, 왕하 25:8~17)
③ 성전기물을 뺏기다(렘 52:17~23)
④ 유다 백성이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가다(렘 52:24~34, 렘 52:15~16, 왕하 25:18~21, 왕하 25:27~31)
ⅰ) 1차 바벨론 유수 - 느부갓네살 제 7년 - 유다인이 3,023명(렘 52:28)
ⅱ) 2차 바벨론 유수 - 느부갓네살 제18 년 - 832명(렘 52:29)
ⅲ) 3차 바벨론 유수 - 느부갓네살 제 23년 - 745명(렘 52:30)
ⅳ) 유다 왕 여호야긴이 풀려나다(렘 52:31~34)
'14. 예레미야 ~ 예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53. 예레미야서(Jeremiah)⑤ - 유다의 죄와 벌, 토기장이 비유, 힌놈의 골짜기 (0) | 2025.05.03 |
---|---|
1053. 예레미야서(Jeremiah)④ - 이 백성을 위해 기도하지 말라, 예레미야의 탄식 (0) | 2025.05.01 |
1053. 예레미야서(Jeremiah)③ - 우상의 특징, 우상을 섬기는 이스라엘 백성들 (0) | 2025.04.29 |
1053. 예레미야서(Jeremiah)②- 예레미야를 선지자로 부르심, 유다의 음란한 죄 (0) | 2025.04.29 |
1052. 예레미야(Jeremiah) - 남유다 시드기야① 시대 선지자, 눈물의 선지자 (0) | 2025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