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. 드로아(Troas) - 소아시아 북쪽 항구 도시, 바울이 마게도냐 환상을 봄
① 소아시아 북서쪽의 중요한 항구 도시 - 인공적으로 만든 항구.
② 위치 - 무시아의 에게해 안쪽에 에 위치.
❶ 육로로 로마에 가려면 - 마게도냐의 네압볼리로 건너가는 항구였음.
❷ 전략적 요충지 - 로마가 아시아를 정복하기 위한 연결 통로
로마로 가기 위한 연결 통로
③ 로마의 지배 받음(BC 133년)
⇒ 북서 아시아에서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됨.
④ 바울과 드로아 – 바울 2차, 3차 여행 때 들름.
ⅰ) 바울 2차 여행 때 – 환상을 봄(행 16:9~10)
⇒ 잠시 머물고 - 곧바로 마게도냐(빌립보)로 떠남.(행 16:10)
Ⓐ 무시아를 지나 - 드로아로 내려갔는데(행 16:8)
Ⓑ 밤에 - 환상이 바울에게 보이니 -
※ 마게도냐 사람 하나가 서서 - 그에게 청하여 이르되 -
⇒ “마게도냐로 건너와서 - 우리를 도우라!.”
하거늘(행 16:9)
Ⓒ 바울이 그 환상을 보았을 때 -
❶ 우리가 곧 - 마게도냐로 떠나기를 힘쓰니
❷ 이는 - 하나님이 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라고 -
⇒ 우리를 부르신 줄로 - 인정함이러라(행 16:10)
Ⓓ 바울의 안타까움 - 디도를 만나지 못하고 마게도냐로 떠나기 때문.(고후 2:12~13)
ⓐ 디도가 고린도에 – 바울의 고린도 전서 이전의 편지를 전달하러 간 후
아직 결과를 가지고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
❶ 디도가 - 고린도 전서 이전 편지를 가지고 가서(고전 5:9)
cf) 바울의 3차 선교 여행 중 에베소에서 보냈음.
※ 고전 5:9 - 내가 너희에게 쓴 것에 -
※ “음행하는 자들을 - 사귀지 말라!.”
하였거니와
❷ 마게도냐(마케도니아)로 - 눈물의 편지(고후 2:4)에 대한
답신을 가지고 옴.
※ 바울의 3차 선교여행 중 마게도냐에 있을 때 .
(고후 7:5~6, 고후 7:13~14)
ⓑ 고린도는 - 바울로부터 모두 4편의 편지를 받았다.
❶ 고린도 전서에 앞서 - 에베소에서 – 3차 여행 때(고전 5:9)
❷ 고린도 전서 - 에베소에서 - 3차 여행 때
※ 고린도에서 스데바나와 브드나도와 아가이고가 옴.
❸ 전서와 후서 사이 - 눈물의 편지 - 에베소에서 - 3차 여행 때 (고후 2:4)
※ 디도를 고린도로 보냄.
❹ 고린도 후서 - 마게도냐(빌립보)에서 - 3차 여행 때(55-56년경)
※ 디도가 - 고린도에서 답장을 가지고 - 마게도냐로 옴.
⇒ 바울이 - 고린도 후서로 답장을 함.
※ 고후 2:12 - 내가 그리스도의 복음을 위하여
드로아에 이르매 -
※ 주 안에서 - 문이 내게 열렸으되
고후 2:13 - 내가 내 형제 디도를 - 만나지 못하므로
내 심령이 - 편하지 못하여 그들을 작별하고 -
⇒ 마게도냐로 갔노라
Ⓔ 바울이 누가를 처음 만난 도시로 추측됨.(행 16:10)
※ 행 16:10 - 바울이 그 환상을 보았을 때 -
⇒ 우리가 - 곧 마게도냐로 떠나기를 힘쓰니
※ 이는 - 하나님이 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라고
우리를 부르신 줄로
인정함이러라
cf) ‘우리’ – 누가를 포함한 바울과 디모데(행 16:1~5)
ⅱ) 제 3차 선교 여행 때 이곳에 들름 - 머물며 전도할 수 있었다.(고후 2:12~13, 행 20:1~12)
Ⓐ 가보의 집이 이곳에 있었음 - 바울이 겉옷과 책을 놓고 온 집.(딤후 4:13)
※ 딤후 4:13 - 네가 올 때에
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 -
❶ 겉옷을 가지고 오고
❷ 또 책은 -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을 가져오라!.
Ⓑ 위치상 - 당시에 자주 발생한 북풍을 피하기에 좋은 피난처였음.
ⅲ) 드로아에서 말씀을 전함.(행 20:7)
※ 행 20:7 - 그 주간의 첫날에
우리가 -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
바울이 - 이튿날 떠나고자 하여 -
⇒ 그들에게 – 강론할새 -
※ 말을 밤중까지 계속하매
'3. 다곤 ~ 디오드레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. 드보라(Deborah) - 선지자이자 사사, 바락과 함께 가나안 시스라를 물리침 (0) | 2022.11.30 |
---|---|
201. 드루실라(Drusilla) - 유대 여자, 벨릭스 총독의 아내 (0) | 2022.11.30 |
199. 드다(Theudas) - 반로마 반란을 일으킴, 스스로 메시야라 부름 (0) | 2022.11.29 |
198. 두아디라(Thyatira) - 자색 옷감 장사 루디아의 고향, 두아디라 교회 (0) | 2022.11.29 |
197. 두발가인(Tubal cain) - 라멕①의 아들, 구리와 쇠로 기구를 만드는 자 (0) | 2022.11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