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6. 디도(Titus) - 헬라인, 바울의 동역자이자 참 아들, 디도서의 수신자
① 헬라인
② 누가의 동생.
⇒ 그래서 사도행전에 자세히 적혀 있지 않은 것으로 추측됨.
★ 참고 - 139번 - 누가
③ 사도 바울의 동역자 - 바울이 ‘참된 아들’로 부름(고후 8:23)
★ 참고 - 바울①~⑩
※ 고후 8:23 - 디도로 말하면 - 나의 동료요
- 너희를 위한 나의 동역자요
우리 형제들로 말하면 - 여러 교회의 사자들이요
- 그리스도의 영광이니라
※ 딛 1:4 - 같은 믿음을 따라 나의 참 아들 된
디도에게 편지하노니
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
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 지어다!.
④ 예루살렘 공의회 때 바울과 동행(갈 2:1~3)
cf) 예루살렘 공의회 - 이방인 선교의 논쟁을 결론지음.
⇒ 바울 자신의 선교가 헛된 것이 아님을 피력함.
★참고 - 바울④
바나바
❶ 이유 - ⒈"할례를 받지 않은 이방 헬라인인 디도가 - 지도자가 될 수 있는가?"의 의문을 해결
⒉이방인 개종자들에게 - 자신들도 지키지 못할 율법을 강요하는 문제를
해결하기 위해.
❷ 결과 - 디도는 바울과 바나바가 참석한 제1차 예루살렘회의에 참석.
※ 할례가 하나님의 구원과는 하등 상관이 없음을 규명.
⇒ 이후 그는 - 할례를 강요받지 않고
사역 할 수 있게 됨.
※ 갈 2:1 - 14년 후에 내가 -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
※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나니
갈 2:2 - 계시를 따라 올라가
내가 이방 가운데서 전파하는 복음을 - 그들에게 제시하되 -
※ 유력한 자들에게 사사로이 한 것은 -
⇒ 내가 달음질하는 것이나
달음질한 것이 - 헛되지 않게 하려함이라
⑤ 할례를 받지 않았다 - 이방인 선교를 위해
cf) 디모데 – 할례 받음 – 유대인 선교를 위해.
※ 어머니, 외할머니가 유대인
★ 참고 - 210번 - 디모데
ⅰ) 그러나 나와 함께 있는 - 헬라인 디도까지도 -
※ 억지로 할례를 받게 하지 - 아니하였으니(갈 2:3)
ⅱ) 이는 - 가만히 들어온 거짓 형제들 때문이라
Ⓐ 그들이 가만히 들어온 것은 -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가 가진 자유를 엿보고
⇒ 우리를 - 종으로 삼고자 함이로되(갈 2:4)
Ⓑ 그들에게 우리가 - 한시도 복종하지 아니하였으니
※ 이는 - 복음의 진리가
항상 너희 가운데 있게 하려 함이라(갈 2:5)
⑥ 고린도 전서 이전의 편지를 가지고 고린도에 감.(고전 5:9)
★ 참고 - 48. 고린도①②
ⅰ) 바울 2차 여행 때 – 환상을 봄(행 16:9~10)
⇒ 잠시 머물고 - 곧바로 마게도냐(빌립보)로 떠남.(행 16:10)
Ⓐ 무시아를 지나 - 드로아로 내려갔는데(행 16:8)
Ⓑ 밤에 - 환상이 바울에게 보이니 -
※ 마게도냐 사람 하나가 서서 - 그에게 청하여 이르되 -
⇒ “마게도냐로 건너와서 - 우리를 도우라!.”
하거늘(행 16:9)
Ⓒ 바울이 그 환상을 보았을 때 -
❶ 우리가 곧 - 마게도냐로 떠나기를 힘쓰니
❷ 이는 - 하나님이 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라고 -
⇒ 우리를 부르신 줄로 - 인정함이러라(행 16:10)
Ⓓ 바울의 안타까움 - 디도를 만나지 못하고 마게도냐로 떠나기 때문.(고후 2:12~13)
※ 고후 2:12 - 내가 그리스도의 복음을 위하여
드로아에 이르매 -
※ 주 안에서 - 문이 내게 열렸으되
고후 2:13 - 내가 내 형제 디도를 - 만나지 못하므로 -
⇒ 내 심령이 - 편하지 못하여
그들을 작별하고
⇒ 마게도냐로 갔노라
ⓐ 디도가 고린도에 – 바울의 고린도 전서 이전의 편지를 전달하러 간 후
아직 결과를 가지고 도착하지 않았다.
❶ 디도가 - 고린도 전서 이전 편지를 가지고 가서(고전 5:9)
cf) 바울의 3차 선교 여행 중 에베소에서 보냈음.
※ 고전 5:9 - 내가 너희에게 쓴 것에 -
※ “음행하는 자들을 - 사귀지 말라!.”
하였거니와
❷ 마게도냐(마케도니아)로 - 눈물의 편지(고후 2:4)에 대한
답신을 가지고 옴.
※ 바울의 3차 선교여행 중 마게도냐에 있을 때 .
(고후 7:5~6, 고후 7:13~14)
ⓑ 고린도는 - 바울로부터 모두 4편의 편지를 받았다.
❶ 고린도 전서에 앞서 - 에베소에서 – 3차 여행 때(고전 5:9)
❷ 고린도 전서 - 에베소에서 - 3차 여행 때
※ 고린도에서 스데바나와 브드나도와 아가이고가 옴.
❸ 전서와 후서 사이 - 눈물의 편지 - 에베소에서 - 3차 여행 때 (고후 2:4)
※ 디도를 고린도로 보냄.
❹ 고린도 후서 – 마게도냐(빌립보)에서 - 3차 여행 때(55-56년경)
※ 디도가 - 고린도에서 답장을 가지고 - 마게도냐로 옴.
⇒ 바울이 - 고린도 후서로 답장을 함.
ⅱ) 마게도냐(빌립보)로 눈물의 편지(고후 2:4)에 대한 답신을 가지고 옴.
※ 바울의 3차 선교여행 중 - 마게도냐(빌립보)에 있을 때 돌아옴.
(고후 7:5~6, 고후 7:13~14)
Ⓐ 우리가 마게도냐에 이르렀을 때에도 -
※ 우리 육체가 편치 못하고 - 사방으로 환난을 당하여 -
⇒ 밖으로는 - 다툼이요
안으로는 - 두려움이라(고후 7:5)
Ⓑ 그러나 비천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-
※ 디도의 옴으로 - 우리를 위로하셨으니(고후 7:6)
ⓐ 이로 인하여 - 우리가 위로를 받았고
ⓑ 우리의 받은 위로 위에 - 디도의 기쁨으로
우리가 더욱 많이 기뻐함은 -
※ 그의 마음이 - 너희 무리를 인하여
안심함을 얻었음이니라(고후 7:13)
⑦ 고린도 교회에 대하여 - 기쁨을 얻었다.(고후 7:13~15)
※ 고후 7:13 - 이로 인하여 - 우리가 위로를 받았고
우리의 받은 위로 위에 - 디도의 기쁨으로
우리가 더욱 많이 기뻐함은 -
※ 그의 마음이 - 너희 무리를 인하여 -
⇒ 안심함을 얻었음이니라
고후 7:14 - 내가 그에게 - 너희를 위하여 자랑한 것이 있더라도
부끄럽지 아니하니
※ 우리가 너희에게 이른 말이 - 다 참된 것 같이
디도 앞에서 우리의 자랑한 것도 - 참되게 되었도다
⑧ 고린도 교회에서 사역 – 바울이 파송 – 바울의 3차 선교여행 시(고후 8:6, 고후 8:16~22)
cf) 예루살렘 교회를 구제하기 위한 헌금을 권면하러 감.
ⅰ) 그러므로 우리가 - 디도를 권하여
⇒ 그가 이미 - 너희 가운데서 시작하였은즉 -
※ “이 은혜를 - 그대로 성취하게 하라!.”
하였노라(고후 8:6)
ⅱ) 너희를 위하여 - 같은 간절함을
디도의 마음에도 주시는 하나님께 - 감사하노니(고후 8:16)
Ⓐ 그가 - 권함을 받고 -
⇒ 더욱 간절함으로 자원하여 - 너희에게 나아갔고(고후 8:17)
Ⓑ 또 그와 함께 - 그 형제를 보내었으니 -
cf) 형제 – 누가
※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
❶ 이 사람은 – 복음으로써
모든 교회에서 칭찬을 받는 자요(고후 8:17)
❷ 이뿐 아니라 그는 - 동일한 주의 영광과
우리의 원을 나타내기 위하여 -
※ 여러 교회의 택함을 받아 -
⇒ 우리가 맡은 은혜의 일로 - 우리와 동행하는 자라
(고후 8:19)
⑨ 디모데보다 성격과 리더쉽이 더 강함.(고후 7:15)
★ 참고 - 210. 디모데
※ 고후 7:15 - 그가 - 너희 모든 사람들이 -
※ 두려움과 떪으로 - 자기를 영접하여 순종한 것을
생각하고 -
⇒ 너희를 향하여 - 그의 심정이 더욱 깊었으니
⑩ 아주 성실하고 진실하게 사역함.(고후 12:18)
※ 고후 12:18 - 내가 - 디도를 권하고
- 함께 한 형제를 보내었으니 -
⇒ 디도가 - 너희의 이득을 취하더냐?
우리가 - 동일한 성령으로 행하지 아니하더냐?
동일한 보조로 하지 아니하더냐?
⑪ 그레데( = 크레타)에서 사역함 - 바울의 청을 받고(딛 1:5)
cf) 남겨진 시기가 기록되지 않았음.
⇒ 시기를 2가지로 추측
★참고 - 추가1. 그레데
※ 추측 - ❶ 바울이 로마로 가다가 풍랑을 만났을 때(행 27:7~8)
❷ 로마 1차 구금이 해제되고 4차 선교 여행시
※ 딛 1:5 - 내가 너를 그레데에 남겨 둔 이유는 -
⒈ 남은 일을 - 정리하고
⒉ 내가 명한 대로 - 각 성에 장로들을
세우게 하려 함이니
⑫ 바울에게서 디도서를 받음 - ‘참아들’로 불림.(AD 64~65년)(딛 1:4)
★ - 참고 - 207 - 디도서
※ 딛 1:4 - 같은 믿음을 따라
나의 참 아들 된 -
※ 디도에게 편지하노니
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
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
ⅰ) 바울의 4차 선교 여행 중 – 마게도냐에서 씀.
ⅱ) 목회서신서 – ❶ 디모데 전서 ❷ 디모데 후서 ❸ 디도서
⑬ 동유럽의 달마디아 교회까지 사역 - 바울의 2차 로마 구금 시(딤후 4:10)
cf) 달마디아 - 구 유고슬라비아,
현 크로아티아
※ 딤후 4:10 - 데마는 - 이 세상을 사랑하여 -
⇒ 나를 버리고 - 데살로니가로 갔고
그레스게는 - 갈라디아로,
디도는 - 달마디아로 갔고
'3. 다곤 ~ 디오드레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8. 디르사(Tirzah) - 북이스라엘의 수도, 실로의 북쪽에 위치 (0) | 2022.12.03 |
---|---|
207. 디도서 - 바울이 그레데에 있는 디도에게 보내는 편지, 목회 서신서 (0) | 2022.12.02 |
205. 디나(Dinah) - 야곱과 레아의 딸, 세겜②에게 강간 당함 (0) | 2022.12.01 |
204. 디글랏 빌레셀 3세 - 앗수르 왕, 아람의 다메섹 점령, 앗수르 유수 (0) | 2022.11.30 |
203. 들릴라(Delilah) - 블레셋 여인, 삼손의 머리털을 자르고 블레셋에 넘겨 (0) | 2022.1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