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45. 로마제국② - 로마의 정치 기관, 로마의 군대 조직, 로마 교회
(3) 로마의 정치기관
① 로마의 정치기관은 혼합정부 형태임.
ⅰ) 혼합 정치 - 왕정, 귀족정, 민주정의 통합.
ⅱ) 마키아벨리 - “로마 혼합정부는 -
❶ 귀족에게 권위를 주기 위해 -
⇒ 왕으로부터 - 모든 권위를 빼앗는 법도 없고,
❷ 인민에게 권위를 주기 위해 -
⇒ 귀족들로부터 - 권위를 전적으로 박탈하는 일도 없다.”고 함.
② 왕정(집정관)
ⅰ) 왕을 대신하기 위한 - 군사와 국정의 최고 권력자.
Ⓐ 공화정 시기 - 로마의 시민, 즉 관리가 차지할 수 있는
실제상 가장 높은 자리.
Ⓑ 제정 시기 - 명목상 황제 다음 가는 자리였음.
⇒ 황제가 없는 체제에서의 - 대통령,
황제가 있는 체제에서의 - 총리를 의미.
ⅱ) 임기 - 1년의 선출직.
ⅲ) 선출방법
Ⓐ 집정관 - 2명
※ 매년 민회의 투표를 거쳐 - 2명이 선출된다.
Ⓑ ‘직권집정관(Consules ordinarii)’ - 정식으로 1월 1일날 선출된 집정관.
※ 로마의 햇수는 - 이 집정관들의 이름을 붙여서 세어진다.
Ⓒ 보좌집정관(Consules suffecti) - 집정관이 임기를 마치지 못하는 경우나
- ‘전직 집정관’ 자격을 가진 속주 총독이 급히 필요할 경우 -
⇒ 보좌집정관(Consules suffecti)이 선출됨.
ⅳ) 권한
Ⓐ 선출된 집정관은 - 로마법(lex Licinia Sextia)에 따라
⇒ 로마의 통치권을 - 대표단(comitia centeriata)으로부터 부여받음.
Ⓑ 로마의 최고통치자로서 - 법적으로 인정.
Ⓒ 군사, 행정, 법, 원로원 임원을 - 임명 및 추천.
Ⓓ 원로원과 민회를 - 필요에 따라 소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갖음.
ⅴ) 집정관이 임기를 마치면 - 전직 집정관(Proconsul)이 된다.
③ 귀족정(원로원)
ⅰ) 씨족의 장로로 구성.
ⅱ) 왕에 대한 자문기구.
ⅲ) 왕정이 폐지되자 로마의 가장 중요한 권력기관이 되었다.
④ 민주정(호민관)
ⅰ) 선출 방법
Ⓐ 민회에서 선출됨.
Ⓑ 자격 - 오직 평민만이 선출될 수 있음 - 평민 계급을 대표함.
Ⓒ 1 번의 선거에서 - 10명이 선출됨.
ⅱ) 목적
Ⓐ 로마 귀족의 입장 -
❶ 자신들의 횡포로 인해 - 민중들이 자신에게 저항하여 반란을 일으킬까봐 -
⇒ 평민들에게 허락한 안전장치.
❷ 귀족들(집정관과 원로원)이 - 자신들의 모든 것을 잃지 않기 위함.
Ⓑ 평민들의 입장 - 백성들의 권리를 지키고 보호함.
ⅲ) 특권
Ⓐ 신체에 대한 - ‘신성 불가침권’을 가짐.
Ⓑ 민회를 통해 - 법률을 제정할 수 있음.
Ⓒ 원로원의 결의에 - 거부권을 짐.
Ⓓ 호민관으로 선출되면 - 다음에 원로원 의원 후보 자격을 가지게 됨.
Ⓔ 법무관 선거에 출마할 - 자격을 얻게 됨.
cf) 호민관 바로 위의 법무관 때부터 - 총독의 직무가 주어졌고
- 때때로 군사 지휘권도 행사할 수 있었음.
※ 호민관의 직위는 - 상당히 높은 자리였다.
(4) 로마군대
① 백부장(Centurion) - 100명의 부하를 거느린 지휘관.
ⅰ) 가버나움의 백부장(눅 7:1~10, 마 8:5~13)
Ⓐ 자신이 사랑하는 종의 병을 고쳐 주길 - 예수님께 부탁함.(눅 7:2~3)
Ⓑ 믿음이 좋아서 - 예수님의 인정을 받음(눅 7:9)
※ 눅 7:9 - 예수께서 들으시고 -
⇒ 저를 기이히 여겨 돌이키사 -
좇는 무리에게 이르시되 -
※ “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
이스라엘 중에서도 - 이만한 믿음은
만나보지 못하였노라.”
하시더라
Ⓒ 이스라엘 민족을 사랑하고 회당도 지음(눅 7:5)
※ 눅 7:5 - “저가 - 우리 민족을 사랑하고
- 또한 우리를 위하여 - 회당을 지었나이다.”
하니
Ⓓ 겸손한 자였다(눅 7:6~7)
※ 백부장 - “주여!. 수고하시지 마옵소서!.
내 집에 들어오심을 - 나는 감당치 못하겠나이다.
그러므로 내가 주께 나아가기도 - 감당치 못할 줄을 알았나이다
⇒ 말씀만 하사 - 내 하인을 낫게 하소서!.”
Ⓔ 하인의 병이 나음(눅 7:10)
※ 눅 7:10 - 보내었던 사람들이 - 집으로 돌아가 보매 -
⇒ 종이 - 이미 강건하여졌더라
ⅱ) 예수님 부활 때 백부장(마 27:53~54)
※ 마 27:53 - 예수의 부활 후에
그들이 - 무덤에서 나와서 -
⇒ 거룩한 성에 들어가- 많은 사람에게 보이니라
마 27:54 - 백부장과 및 함께 - 예수를 지키던 자들이 -
⇒ 지진과 그 일어난 일들을 보고 - 심히 두려워하여 이르되 -
※ “이는 -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!.”
하더라
ⅲ) 고넬료 - 가이샤랴의 백부장.(행 10:1~48)
Ⓐ 경건하여 - 온 집으로 더불어 하나님을 경외함.(행 10:2)
※ 그가 경건하여 - ❶온 집으로 더불어 하나님을 경외하며
❷ 백성을 - 많이 구제하고
❸ 하나님께 - 항상 기도하더니(행 10:2)
⇒ 천사가 가로되 - "네 기도와 구제가 - 하나님 앞에 상달하여 -
※ 기억하신 바가 되었으니(행 10:4)
Ⓑ 성령이 임함 – 이방인 오순절 사건.(행 10:44~46)
ⓐ 베드로가 이 말 할 때에 -
※ 성령이 - 말씀 듣는 모든 사람에게 - 내려오시니(행 10:44)
ⓑ 베드로와 함께 온 할례 받은 신자들이 -
⇒ 이방인들에게도 성령 부어 주심을 인하여 – 놀라니(행 10:45)
※ 이는 - 방언을 말하며
- 하나님 높임을 들음이러라(행 10:46)
Ⓒ 베드로의 고백(행 10:34~36)
ⓐ “내가 참으로 하나님은 -
❶ 사람의 외모를 - 취하지 아니하시고”(행 10:34)
❷ “각 나라 중 - 하나님을 경외하며
- 의를 행하는 사람은 -
⇒ 하나님이 받으시는 줄 – 깨달았도다.”(해 10:35)
ⓑ “이 사람들이 - 우리와 같이 성령을 받았으니 -
⇒ 누가 능히 - 물로 세례 줌을 - 금하리요”(행 10:47)
ⅳ) 율리오- 바울과 죄수들을 로마로 후송.((행 27:1~43)
Ⓐ 아구사도대의 백부장(행 27:1)
cf) 아구사도대 - 로마 황제의 직속 부대로
※ 그 일부가 - 가이샤라에 주둔해 있었다.
Ⓑ 죄수 호송 중 풍랑을 만났을 때 - 바울을 구하고자 함(행 27:43)
ⓐ 군사들은 - 죄수가 헤엄쳐서 도망할까 하여 -
⇒ “저희를 죽이는 것이 좋다!.”하였으나(행 27:42)
ⓑ 백부장이 - 바울을 구원하려 하여 -
⇒ 저희의 뜻을 막고
헤엄칠 줄 아는 사람들을 명하여 -
※ 물에 뛰어내려 - 먼저 육지에 나가게 하고
(행 27:43)
ⅴ) 바울 옆에 서 있던 백부장(행 22:25~26)
※ 행 22:25 - 가죽 줄로 바울을 매니 -
⇒ 바울이 - 곁에 서 있는 - 백부장더러 이르되 -
※ “너희가 - 로마 시민 된 자를 -
죄도 정하지 아니하고 - 채찍질할 수 있느냐?”
하니
행 22:26 - 백부장이 듣고 가서 -
⇒ 천부장에게 전하여 이르되
※ “어찌하려 하느냐?,
이는 - 로마 시민이라.” 하니
ⅵ) 바울이 부탁하기 위해 불었던 백부장(행 23:16~17)
※ 행 23:16 - 바울의 생질이- “그들이 매복하여 있다.” 함을 듣고 와서 -
⇒ 영내에 들어가 - 바울에게 알린지라
행 23:17 - 바울이 - 한 백부장을 청하여 이르되 -
※ “이 청년을 - 천부장에게로 인도하라!.
그에게 무슨 할 말이 있다.” 하니
② 천부장(Tribune) - 1,000명의 부하를 거느린 지휘관.
ⅰ) 예수를 체포하여 결박한 장교.(요 18:12)
※ 행 18:12 - 이에 군대와 천부장과
유대인의 아랫사람들이 -
⇒ 예수를 잡아 결박하여
행 18:13 - 먼저 안나스에게로 - 끌고 가니
※ 안나스는 - 그 해의 대제사장인 가야바의 장인이라
ⅱ) 바울이 예루살렘을 방문했을 때 - 바울을 총독 벨리스에 무사히 보내려 노력함(행 21~25장)
Ⓐ 이에 천부장이 - 청년을 보내며 - 경계하되 -
※ “이 일을 내게 알렸다고 -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라!.”
하고(행 21:22)
Ⓑ 백부장 2을 불러 이르되 -
❶ ※ “밤 제 3 시에
가이사랴까지 갈 - 보병 200 명과
- 기병 70 명과
- 창병 200 명을 - 준비하라!.”
하고(행 21:23)
❷ 또 바울을 태워 - 총독 벨릭스에게로 무사히 보내기 위하여
※ “짐승을 준비하라!.”
명하며(행 21:24)
(5) 로마와 교회
★ 참고 - 244번 - 로마서①②③④⑤
① 계시록 - 로마를 -
❶ 타락한 권력과 물질적인 탐욕의 상징으로 기록함.
❷ 성도들을 극심하게 핍박함을 기록함.(계 17장)
② 로마교회의 기원 - 정확히 알 수 없다.
※ 바울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 않기 때문.
③ 로마 교회의 시작 -
❶ 오순절에 로마로부터 온 유대인이나
❷ 핍박을 피해 로마로 간 순례자들이 -
⇒ 교회를 전파했을 가능성이 높다.
④ 바울은 로마 시민이었다 - 유대인이면서 로마시민(행 22:25~29, 행 16:37~38)
ⅰ) 이 시대에는 - 로마 시민권을 - 돈으로 살 수 있었다.
ⅱ) 바울의 아버지 - 이미 유대인이면서 로마 시민권자였다.(행 22:28b)
cf) 천부장 – 많은 돈으로 삼.
바울 - 나면서부터 로마인.
Ⓐ 가죽 줄로 바울을 매니 -
※ 바울이 - 곁에 섰는 백부장더러 이르되 -
※ 바울 - “너희가 - 로마 사람 된 자를 -
※ 죄도 정치 아니하고 - 채찍질할 수 있느냐?”
(행 22:25b)
Ⓑ 백부장이 듣고 가서 - 천부장에게 전하여 가로되 -
※ 백부장 - “어찌하려 하느뇨?
이는 - 로마 사람이라.”(행 22:26)
천부장 - “네가 로마사람이냐? 내게 말하라!.”(행 22:2b)
바울 - “그러하다!.”(행 22:2c)
천부장 - “나는 - 돈을 많이 들여 - 이 시민권을 얻었노라.” (행 22:28a)
바울 - “나는 - 나면서부터로라.”(행 22:28b)
❶ 신문하려던 사람들이 - 곧 그에게서 물러가고 -
❷ 천부장도 - 그가 로마 사람인줄 알고 -
- 또는 그 결박한 것을 인하여 -
⇒ 두려워하니라(행 22:29)
⑤ 글라우디오 황제가 - 유대인을 추방했을 때 -
⇒ 로마에서 고린도로 피신한 -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를 통해 -
※ 로마를 접함.(행 18:2)
※ 행 18:2 - ‘아굴라’라 하는
본도에서 난 유대인 하나를 만나니 -
※ 글라우디오가 - 모든 유대인을 명하여 -
※ “로마에서 떠나라!.” 한고로
⇒ 그가 - 그 아내 브리스길라와 함께 -
※ 이달리야로부터 새로 온지라
⇒ 바울이 - 그들에게 가매
⑥ 바울은 - 로마를 서바나(- 달시스 = 스페인) 전도의 - 베이스캠프로 삼으려 했다.
⇒ 여행하는 도중에 - 로마를 방문할 것을 결심.(롬 15:23~24)
❶ 로마는 - 선교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.
❷ 그래서 바울은 로마서를 쓰게 된다.
❸ 바울이 로마서를 쓸 무렵
※ 로마교회는 - 이미 큰 규모와 튼튼한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.
※ 롬 15:23 - 또 여러 해 전부터
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-
⇒ 너희에게 가려는 원이 있었으니
롬 15:24 - 이는 - 지나가는 길에 너희를 보고 -
❶ 먼저 너희와 사귐으로 - 얼마간 기쁨을 가진 후에
❷ 너희가 - 그리로 보내주기를 - 바람이라
⑦ 바울이 몇몇의 안부를 - 로마의 가정교회에 전함(롬 16:5~15)
⑧ 바울 1치 로마 감옥 - 가택연금 2년간(행 28:30)
ⅰ) 바울은 - 죄수의 몸으로 로마에 도착 – 1차 로마 감옥.
※ 집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기거하며 -
⇒ 찾아오는 이에게 - 복음을 전함.
ⅱ) 바울이 - 온 이태(2년)를 -
※ 자기 셋집에 유하며 -
⇒ 자기에게 오는 사람을 - 다 영접하고(행 28:30)
❶ 담대히 하나님 나라를 - 전파하며
❷ 주 예수 그리스도께 관한 것을 - 가르치되 -
※ 금하는 사람이 없었더라(행 28:31)
⑨ 바울 2차 구금(딤후 1:16~17, 딤후 2:9), 순교(AD 67말 68년 초)
ⅰ) 네로의 박해시기에 - 로마에 2차 구금됨.(딤후 1:16~17, 딤후 2:9)
※ 딤후 1:16 - 원하건대 주께서
오네시보로의 집에 긍휼을 베푸시옵소서!.
그가 - 나를 자주 격려해 주고
- 내가 사슬에 매인 것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고
딤후 1:17 - 로마에 있을 때에 -
※ 나를 - 부지런히 찾아와 만났음이라
ⅱ) 디모데 후서 씀 - 죽음이 다가왔음을 알고 디모데에게 마지막으로 권면함.
ⅲ) 순교 - 네로에 의해 로마에서 처형됨.(AD 66말 ~ 67년)
❶ AD 68년 6월 29일에 죽었다고 전해지기도 함.
❷ 바울은 로마 시민권자라서 - 참수형에 처해진다.
⑩ 로마에서 사도들과 그리스도인의 행적
cf) 2세기의 클레멘트의 첫 서신에 의하면 -
ⅰ) 베드로 – 순교 - 네로 시대
❶ 네로 - 로마 내의 그리스도인을 핍박.
cf) 로마 안의 교회 공동체의 규모가 꽤 컷다.(AD 60년)
❷ 베드로 순교.(AD 2년)
※ 십자가에 거꾸로 못 박혔음.
ⅱ) 바울 – 순교 - 네로 시대
❶ 네로에 의해 로마에서 처형됨.(AD 66말 ~ 67년)
❷ 로마 시민권자라서 - 참수형에 처해진다.
'4. 라기스 ~ 리브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7. 롯(Lot) - 소돔의 멸망에서 구원받음, 암몬과 모압의 아버지 (0) | 2023.01.17 |
---|---|
246. 로이스(Lois) - 디모데의 외할머니, 거짓이 없는 믿음을 가짐 (0) | 2023.01.17 |
245. 로마제국① - 신약 시대의배경이 됨, 로마 황제들 (0) | 2023.01.15 |
244. 로마서⑤ - 산제물, 그리스도인의 생활, 사랑은 율법의 완성 (0) | 2023.01.13 |
244. 로마서④ -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, 접붙임을 받은 이방인의 구원 (0) | 2023.0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