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55. 마사다(Masada) - 헤롯 대왕의 왕궁이자 요새, 마사다에서 유대인 항쟁
① 의미 - ‘요새’
② 위치 - 사해의 서쪽 해변에 위치.
③ 하스몬가의 독립운동 주둔지.(BC 2세기)
❶ 때 - 하스몬 가문의 왕자들이 - 유대의 독립 쟁취를 위해
⇒ 셀류코스(셀레우코스) 왕국의 지배에 맞서 싸울 때
❷ 마사다를 - 수비대의 주둔지로 삼음.
⇒ 요새로 만들어지기 시작함.
④ 이스라엘 왕 헤롯(헤로데) 대왕이 건축함(BC 37년 ~ BC 31년)
cf) 헤롯 대왕 = 대헤롯
※ 마리아①가 예수를 잉태하고 낳았을 때의 왕
❶ 헤롯 대왕의 왕궁 및 요새로 사용함.
※ 헤롯 대왕이 반란에 대비하여 마사다를 요새화했다
❷ 유대인들이 로마에 대항했던 - 유대전쟁의 최후의 비극적 격전지가 됨.
ⅰ) 특징
Ⓐ 로마의 고전주의 스타일.
Ⓑ 유대 사막의 깎아지른 절벽 위에 있다.
※ 지형적으로는 악조건이나 - 화려하고 정교했다.
Ⓒ 실내를 잘 활용함 - 뜨거운 햇볕을 피해 시원할 수 있도록 건설됨.
Ⓓ 냉수와 온수를 번갈아 쓸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짐.
Ⓔ 유대 광야 중 우뚝 솟아있어 - 적의 침투를 쉽게 파악할 수있다.
ⅱ) 건축물 구조
Ⓐ 마사다의 높이 - 해발 40m.
❶ 동쪽의 사해가 - 해수면보다 400m 낮다.
⇒ 실제 요새의 높이는 - 440m 정도이다.
❷ 서쪽 절벽 - 약 90m
⇒ 매우 가파른 천혜의 절벽요새가 됨.
Ⓑ 방호벽 – 요새를 둘러싼 방호벽은 - 감시를 위해 망루들이 있다.
❶ 길이 - 1.3km
❷ 평균 높이는 - 3.7m
Ⓒ 내부 - 창고, 병영, 병기고, 궁정, 저수조 등이 있다.
Ⓓ 수도시설 - 관개수로가 치밀한 계획하에 이루어짐.
⇒ 단 하루 동안 내린 빗물을 모으면 -
※ 2~3년 동안 - 1,000명에게 식수를 제공 할 수 있음.
⇒ 이 때문에 - 황폐하고 건조한 요새가 -
※ 안전한 요새와 휴식처가 될 수 있었다.
ⅲ) 건축 목적 -
Ⓐ 반란을 대비한 피난처
❶ 이두메 출신(에돔 족속) 헤롯 대왕이 - 포악한 정치를 펼침.
⇒ 자기에 대한 반란이 일어날 것에 대비해 - 피난처로 왕궁을 세움
❷ 그러나 대헤롯은 - 이곳을 사용하지 못하고 죽었다.
Ⓑ 결국 - 유대 저항군의 - 마지막 피난처가 됨.
ⓐ 이스라엘이 - 로마의 속주가 된 뒤 -
⇒ 생존한 유대 저항군이 이 마사다로 파난하며
끝가지 버티는 요새가 됨.
ⓑ 로마군의 침입에 대비해 - 성벽과 탑을 만듦
cf) 성벽 - 약 5m
탑 – 38개
⑤ 요세프스(요셉⑦)이 - 마사다 전쟁(Battle of Masada)에 대해 기록함.
cf) 요세푸스(요셉⑦)(AD 37~100)
❶ 유대인 지도자 - 예루살렘에서 태어남.(AD 37년)
- 제사장의 아들로 태어남.
- 유대교 민족주의 세력인 열심당
⇒ 하스몬 왕조의 역사적 상황을 잘 알아 -
※ ‘유대 전쟁사’ 를 기록할 수 있었다.
❷ 로마 황제 베스파시아누스를 - 도움 (AD 69년 – 79년)
⇒ 티투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(Titus Flavius Josephus)란
이름을 얻음.
★ 참고 - 245. 로마제국①②
❸ AD 70년 유대 전쟁시 - 로마를 지지함.
※ 예루살렘 멸망 - 헤롯 아그립바② 2세 때
❹ 여러 역사서를 기록함
⒈ 유대 전쟁사 - 마카베오(마카비) 전쟁부터
로마의 예루살렘 대성전 파괴까지를 기록.
⒉ 유대 고대사 - 천지창조로부터의 이스라엘의 역사를 기록
⒊ 아피온 반박문
⒋ 자서전 등
⑥ 열심당원과 에세네파
ⅰ) 시카리(Sicarii), 또는 열심당(Zealots) 유대인 저항 집단이 -
※ 예루살렘에서 - 반란을 일으킴(AD 66년 네로시대)
cf) AD 66년 - 마사다 요새가 유대인과 로마의 전쟁 무대가 되기 시작함.
Ⓐ 이유 - 로마 제국의 식민 통치에 - 폭력 투쟁으로 맞섬.
※ 로마군의 유대영토 주둔에 - 반발하는 반란을 일으킴.
Ⓑ 이때 그들 가운데 일부는 - 예루살렘 성벽 밑을 지나는 땅굴을 통해 -
※ 아내와 자식들을 데리고 - 탈출함.
Ⓒ 마사다 요새로 피난하여 그곳을 - 저항의 근거지로 삼음.
※ 그들은 마사다에 도착하여 -
⇒ 거기에 주둔하고 있던 로마 수비대를 물리치고 – 거주함.
ⅱ) 이어서 에세네파 유대인들이 - 그 반란 집단에 합류함.
ⅲ) 마사다 요새에서 - 에세네파와 열심당원들은 -
※ 모두가 자유롭고 평등한 자주적 관리 공동체를 유지함.
⑦ 티투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- 마사다를 공격함.(AD 70년)
cf) 티투스(AD 79년~81년)
❶ 67년 -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와 유대인항쟁 진압을 위해 유대로 향함.
※ 왕자로서 군인의 신분으로 옴.
❷ 69년 - 예루살렘 공략의 사령관이 됨.
❸ 70년 - 예루살렘을 2년 동안의 전쟁 끝에 점령,
❹ 70~73년까지 - 마사다 요새를 제외한
대부분의 유대인의 반란을 평정.
ⅰ) 로마가 - ❶ 유대인들의 대반란을 - 진압하고
❷ 예루살렘을 - 함락함.
⇒ 예루살렘 멸망(AD 70년)
ⅱ) 마사다 요새를 - 반란자들의 소굴로 여기고 - 소탕 작전을 계획함.
※ 이유 - 유대 저항군의 - 로마 정착촌 급습이 빈번하게 일어나 -
⇒ 로마군의 피해가 커짐.
ⅲ) 로마 총독 루시우스 플라비우스 실바(Lucius Flavius Silva)는 -
cf) 로마의 유대 주둔군 사령관이기도 함.
※ 보병군단 10군단을 이끌고 -
⇒ 유대의 마지막 자유인들을 토벌하기 위해 옴.
⇒ 마사다 요새 주변에 - 8개의 진지를 구축한 뒤 공격을 시작함.
Ⓐ 에세네파와 열심당원 공동체는 - 3년 동안 로마군에 맞서 투쟁함.
※ 로마군 - 15,000명,
유대 저항군 - 960명
❶ 저항 유대인 지도자 - 엘리아자르 벤 야이르(Elazar ben Yair)
❷ 풍부한 물과 곡식이 - 저장되어 있었으므로 -
⇒ 로마군의 집요한 공격에 대응할 수 있었다.
Ⓑ 로마군은 - 요새를 포위하고 -
⇒ 투석기로 - 돌을 쏘아 올리고
공성탑과 공성퇴를 동원해 - 요새를 공격함.
Ⓒ 로마군은 - 방호벽을 파괴하는데 여러 차례 실패함.
⇒ 약 6천명의 유대인 노예를 동원하여 -
※ 서쪽 벽면에 - 공격을 위한 경사로 언덕을 세움.
❶ 토담 경사로 건설 완성 - 포위 2~3 달 만에.
❷ 동원된 노동자가 - 모두 같은 유대인이라 -
※ 동족을 죽일 수도 없었다.
ⅳ) 유대인들 - 항복을 거부하고 -
⇒ 집단 자결을 선택했다.
Ⓐ 이유 - 전쟁에서 살아남으면 -
⇒ 모두 로마의 노예가 되기 때문에.
Ⓑ AD 73년 – 로마군이 쌓은 누벽 완성 후 - 약 3개월간의 공격 함.
⇒ AD 73년 4월 16일 - 마사다 요새의 성벽이 무너짐.
Ⓒ 마사다 요새가 함락될 위기에 처하자 -
❶ 지도자 야이르는 – 적의 노예나 포로가 되지 말고 -
※ 자결할 것을 호소함.
❷ 이에 동의한 저항군은 - 죽음을 결심함.
cf) 방어군을 지휘하던 엘르아자르의 연설 내용.
※ “ . . . 그래야 -
❶ 우리의 여인들이 -
※ 치욕을 당하지 않고 - 죽을 수 있으며,
❷ 아이들도 - 노예가 되지 않을 것이다.
⇒ 먼저 우리 손으로 - 이들의 목숨을 끊은 후에,
우리 자신도 - 서로에게 고귀한 죽음을 선사하여,
※ 자유를 - 우리의 가장 아름다운 수의로
삼기로 하자!” (유대전쟁사 6.334)
Ⓓ 집단 자살 방법
ⓐ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- 가족을 죽이고
ⓑ 다시 모여 - 10 사람씩 조를 짜 -
⇒ 제비뽑기를 통해 - 1 사람이 9 명을 – 죽임.
cf) 훗날 - 제비 뽑은 사람들의 이름이 적힌 토기가 발견됨.
ⓒ 최후의 1 사람은 - ❶ 전원이 죽은 것을 - 확인하고
❷ 성에 불을 지른 후 - 자결함.
Ⓔ 그들은 로마인이 올라오기 전에 - 모두 죽었다.
⇒ 결국 마사다 요새로 올라온 로마군은- 936구의 시신을 발견함.
Ⓕ 살아남은 사람은 - 지하 동굴에 숨어있던 -
※ 5명의 아이들과 2명의 여인뿐이었음.
⇒ 이들이 - 당시 상황을 증언하여 -
※ 마사다 항전의 이야기가 전해질 수 있었음.
ⅴ) 에세네파 일부가 - 비밀통로를 통해 탈출함.
Ⓐ 때 - 이 공동체가 비극적 종말을 맞이하기 직전에.
Ⓑ 사본을 - 쿰란동굴에 감춤 -
※ 그들은 - 이스라엘의 역사와 지식을 기록한 문서를 가져가 -
⇒ 사해 연안의 쿰란 지구에 있는 동굴에 감춤.
⇒ 1947년 - ‘쿰란의 사해사본 두루마리’들이 발견됨.
cf) 에세네파의 근거지 – 쿰란 공동체
Ⓐ 에세네파는 - 유대교가 타락했다고 여겨 -
⇒ 유대 광야, 특별히 사해 서북쪽에 있는 쿰란에서
고립된 생활을 했다.
Ⓑ 사해 사본으로 유명 -
❶ 양피지에 히브리어 성경을 기록한 사해 사본이 발견됨.
❷ 매우 건조한 지역이라 비교적 보관이 잘됨.
Ⓒ 이 문헌들에는 -
❶ 구약 성서들과 종교적 문서들
❷ 마사다 항쟁이 기록됨.
❸ 또한 에세네파의 일원이었던 - 예슈아 코헨의 생애에 관한 이야기도 기록됨.
cf) 예슈아 코헨 - 33세까지 에세네파의 교리를 전파 하다가
로마인들에게 십자가형을 당했다함.
Ⓓ 로마의 공격을 받아 - 관련 성소와 기록된 자료들이 소실됨.
⇒ 간접적인 자료와 약간의 문헌만이 전해져 왔었음.
Ⓕ 살아남은 에세네파는 - 대부분 기독교와 바리새파에 흡수되었다.
⑧ 마사다 발굴자 - 독일계 이스라엘인 고고학자 야딘(Yigael Yadin)(1965년~1963년)
❶ 요새 아래- 로마 군인들이 주둔했던 터와 막사의 자리가 남아있다.
❷ 요새 내부 - 저항의 흔적과 유골 및 머리카락 등이 있었음.
⑨ 현대 - 이스라엘의 역사적 교육 현장이 됨 - 이스라엘이 팔레스틴에 정착한 이후.
ⅰ) 로마에 굴복하지 않은 - 에세네파와 열심당원들의 용맹함과 그들의 정신을 기념하기 위해.
ⅱ) 모든 이스라엘 학생들은 - 마사다를 방문하여 -
※ 역사의 현장을 둘러 보고 강의를 들음.
⇒ 애국심을 길러주는 교육의 장이 됨.
ⅲ) 이곳에서 성인식을 치르기도 함.
ⅳ)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됨.(2001년)
.
'5. 마가 ~ 밀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57. 마아가(Maacah)② - 남유다 왕 르호보암의 부인, 우상을 섬겨 폐위 당함 (0) | 2023.02.23 |
---|---|
256. 마아가(Maacah)① - 그술 왕의 딸, 다윗의 부인, 다말②과 압살롬의 어머니 (0) | 2023.02.23 |
254. 마리아(Mary)⑥ - 로마 교회 성도, 바울이 로마서에서 문안인사 함 (0) | 2023.02.22 |
253. 마리아(Mary)⑤ - 마가의 어머니, 바나바의 누이, 마가의 다락방의 주인 (0) | 2023.02.22 |
252. 마리아(Mary)④ - 글로바②(알패오②)의 아내, 작은 야고보②의 어머니 (0) | 2023.0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