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33. 시몬(Simon)⑦ - 예수님의 열 두 제자 중 열심당(Zealot), 가나나인 시몬
① 의미 - ‘하나님이 응답하셨다.’
② 사도 - 예수님의 12 사도 중 한 .(마 10:2~4, 행 1:13)
❶ 시몬① 베드로 ❷ 야고보①(큰 야고보, 세대배의 아들)
❸ 요한②(세대배의 아들) ❹ 안드레(베드로와 형제) ❺ 빌립①
❻ 바돌로매(나다나엘) ❼ 마태(레위) ❽ 도마(디두모)
❾ 알패오②의 아들 야고보②(작은 야고보) ❿ 다대오(유다③ - 야고보④의 아들)
⓫ 시몬⑦(가나안 사람)
⓬ 유다②(가룟)
※ 후에 가룟 유다① 대신 - 맛디아가 들어감.(행 1:26)
※ 마 10:2 - 12 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니 -
※ 베드로라 하는 시몬①을 비롯하여 그의 형제 안드레와
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형제 요한,
마 10:3 - 빌립과 바돌로매, 도마와 세리 마태,
알패오②의 아들 야고보②와 다대오,
마 10:4 - 가나나인 시몬⑦
및 가룟 유다② 곧 - 예수를 판 자라
③ 가나나인(Kananaios, Cananaean)(마 10:4)
※ 마 10:4 - 가나나인 시몬⑦ 및
가룟 유다② 곧 - 예수를 판 자라
cf) 가나나 - ‘가나’나 ‘가나안’과 연관이 없다.
❶ 아람어 ‘카난’에서 나옴.
❷ 이 말을 - 누가는 - 헬라어 ‘셀롯 Zealot’을 사용(눅 6:15, 행 1:13).
마태, 마가는 - 아람어 ‘가나나 qan'ana’로 사용.
⇒ 모두 - ‘열심당원’을 의미함.
④ 셀롯 = 젤롯(the zealot) = 열심당(눅 6:15, 행 1:13)
ⅰ) 셀롯(열심당)의 기원 -
※ 갈릴리 사람 유다④가 - 로마를 대항해 만든 과격당(AD 6년)
Ⓐ BC 167년 - 안티오커스 에피파네스 4세에게 반기를 들고 일어났던
제사장 맛다디아와 5명의 아들
★참고 - 267. 맛다디아
258. 마카비
Ⓑ 5명의 아들들은 - 유대의 종교적, 정치적인 독립을 쟁취하려는 싸움에서
아버지 맛다디아를 도움.
Ⓒ 그 후 유다⑦ 마카비( = 마카베오)가 - 지도자로 계승.
Ⓓ 로마군의 정복으로 마카비 시대는 막을 내렸다.
ⅱ) 로마제국시대(헤롯 왕)
Ⓐ 유혈폭동이 일어남.
ⓐ 외교적인 방법으로 준평화 상태를 유지했으나 -
※ 헤롯이 죽자 - 팔레스타인은 혼란 상태가 됨.
ⓑ 갈릴리 태생 유다④가 - 궁궐을 습격하고
- 병기고를 부수고
- 자기를 따르는 자들을 무장시켜 -
⇒ 유혈폭동을 일으킴.
Ⓑ 유대 총독 퀴리노가 - 인구조사를 하겠다고 하자 -
⇒ 다시 유다④에 의해 – 전국적인 폭동이 일어남.
Ⓒ 끊임없이 계속되는 유혈참극 속에서 유다④는 - 살해됨.
Ⓓ 이러한 배경에서 - 셀롯( = 젤롯 the zealot)이라고 알려진 파가 생겨남.
⑤ 예수님 시대에는 - 바리새파, 사두개파, 에세네파, 셀롯(열심당) 등 여러 파가 있었다.
⑥ 시몬⑦은 - ‘열광적’을 의미하는 ‘카나나이오스(Kananaios)’이었음.
ⅰ) ‘카나나이오스 Kananaios’ - 열심당에 대한 아람어 - 정치적인 의미.
⇒ 누가가 고쳐서 ‘시몬⑦’이라함. (눅 6:15).
ⅱ) ‘가나안인 Cananaean’이라고 쓰여진 것은 - ‘지리적’인 의미,
⑦ 시몬⑦은 - 유대의 극단적이며 과격한 열심당이다.
ⅰ) 유대가 로마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일함.
ⅱ) 철저한 반로마주의자들 - 로마 사람들을 아주 싫어함.
ⅲ) 무력 투쟁을 통해서라도 - 민족을 회복시키려 했던 - 과격한 민족주의자들.
ⅳ) 로마에 세금 내는 것을 - 거부했음.
ⅴ) 극단의 폭력과 테러를 통해 - 로마인이나 친로마적인 유대인들을 살해하기도 했음.
ⅵ) 열심 당원 중 씨카리(Sicarii)는 -
※ 검을 - 옷 속에 감추고 다니다가
로마 사람들이나 로마에 관련하는 사람들을 만나면 -
⇒ 얘기하는 척하면서 - 찌르고 도망가기도 했음.
ⅶ) 시몬⑦이 사도가 된 의의 -
❶ 아주 열광적인 사람도 -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유용할 수 있다.
❷ 시몬⑦의 열정은 - 사도들에게 적극적으로 드러나고
긍정적으로 자극했을 것임.
⑧ 시몬⑦은 - 예수님에 의해 배우며 깨닫고 변화 되어갔다.
ex) 예수님이 이루시려는 하나님의 나라에 대해 - 듣고
예수님의 기적과 치료를 - 보았고.(요 3:13)
ⅰ) 사도 가운데 - 열성당원이 있어 - 정치적으로 의심을 받는 예수님의 사역에
오점을 남길 수도 있었다.
※ 그러나 예수께서는 - 백성들의 여론에 좌지우지되지 않았다.
ⅱ) 예수께서 사도를 선택하실 때는 - 조용한 태도를 갖거나
피동적으로 순종하는 무리들만 선택하지 않으셨다.
⑨ 마태와 시몬⑦은 - 사도로서 어떻게 서로 협력할 수 있었을까?
❶ 마태 - 세리로서 로마제국의 이익을 위한 사람 - 매국노
❷ 시몬⑦ - 로마를 증오한 열심당 - 애국자
ⅰ) 예수께서는 두 사람 사이에 - 깊은 바다에 다리를 놓으셨다.
Ⓐ 증오심은 - 예수님에 대한 한결같은 사랑에 의하여 극복됨.
cf) 마태는 - 시몬⑦이 속한 열성당의
최고의 적 중의 하나였을 것임.
Ⓑ “원수를 사랑하라!.”는 가르침(눅 6:27~35)
※ 눅 6:27 - 그러나 너희 듣는 자에게
내가 이르노니 -
❶ 너희 원수를 - 사랑하며
❷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- 선대하며
눅 6:28 - ❶ 너희를 저주하는 자를 위하여 - 축복하며
❷ 너희를 모욕하는 자를 위하여 - 기도하라!.
Ⓒ 여러 사도들과 함께 동행하며 - 보고 배우고 깨달음.
❶ 예수님의 여러 사역 때에도
❷ 성만찬, 십자가의 죽음이 있을 때에도
❸ 예수님의 부활 때에 때에도
ⅱ) 예수님을 통해 -
⇒ 시몬⑦의 정치적인 야심이 - 예수님과 같은 소망으로 바뀜.
⑩ 오순절의 성령사건 후 - 시몬⑦은 열심히 전도하며 살아감.
⑪ 전도지역 - 소아시아, 북아프리카, 압하지야( = 그루지아 지역)과 페르시아 쉬라즈 등
⑫ 순교 - 2가지 전승
❶ 페르시야에서 순교
cf) 페르시아의 수아닐에 도착한지 3일째에 -
※ 폭도들에게 - 톱으로 허리를 잘려 살해당했다고 함.
cf) 수아닐 = 현재의 쉬라즈( = 쉐라즈)
Ⓐ 이집트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가 -
※ 유다③ 다대오( = 타데오) 사도와 함께 - 페르시아에 가서
복음을 전파함.
Ⓑ 페르시아에서 - 이교도의 사제들과 예언자들과 논쟁하다가 -
※ 그들의 성상을 무너뜨려서 - 처형을 당함.
❶ 유다 다대오 - 창에 찔려 죽었다함.
❷ 시몬⑦ - 톱으로 켜져 죽임당함.
cf) 그의 몸이 - 톱으로 켬을 당해 두 동강이 났다는
전승이 있음.
Ⓒ 시몬⑦의 상징 그림은 - 톱(saw)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자주 보임.
❷ 압하지야( = 현대 그루지아 지역)에서 순교
Ⓐ AD 55년에 - 사도 시몬⑦과 안드레가 -
※ 옛 가나안 헷족속의 후예로 압하지야 조상들이 머물던
현재의 압하지야에 이르러 - 복음을 전파함.
Ⓑ 압하지야인에 의해 살해됨 - 쁘씌르드즈하 강변에서.
⇒ 압하지야에 묻혔다 함.
Ⓒ 안드레는 - 이곳을 떠나서 사역을 계속 진행함.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35. 시몬(Simon)⑨ - 예수님의 육친의 형제들 중 한 명 (0) | 2024.02.27 |
---|---|
634. 시몬(Simon)⑧ - 예수님을 판 가룟 유다의 아버지 (0) | 2024.02.27 |
632. 시몬(Simon)⑥ - 욥바에 사는 무두장이(피장이), 베드로가 환상을 본 집 (0) | 2024.02.26 |
631. 시몬(Simon)⑤ - 사마리아의 마술사, 성령의 은사와 능력을 돈으로 사려함 (0) | 2024.02.26 |
630. 시몬(Simon)④ - 바리새인, 예수를 초청했고 이 집에서 기름부음이 있었음 (0) | 2024.0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