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57. 시오니즘(Zionism) - 흩어진 유대인들이 유대 민족 국가를 건설하려는 운동
① 의미 - 약 2,000여년 동안 세계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유대인이 -
※ 그들 조상의 땅인 팔레스타인(가나안, 이스라엘)에 - 자신들만의 유대 민족국가를 건설하려는
민족주의 운동.
⇒ 이스라엘의 독립으로 실현됨 - 1948년
② 시온 운동 = 시온주의 = 유대주의 = 유태주의
cf) 시온(Zion) - 본래 예루살렘 시내의 언덕 이름.
※ 상징적 표현으로 - 예루살렘, 또는 이스라엘인의 땅을 의미.
③ 유대인의 이러한 희망은 - AD 70년 예루살렘이 멸망한 이후 계속되어 왔음.
ⅰ) 많은 유대인들이 - 2,000여 년이 넘게 - 이 나라 저 나라 정처 없이 떠도는 유랑 생활을 함.
cf) 디아스포라
ⅱ) 이유 - ❶ 여호와를 버림 - 여호와를 미워함(슥 11:6~10)
❷ 이방인을 - 시기나게 함(롬 11:11~12)
Ⓐ 이스라엘 백성들이 - 여호와를 미워함.
⇒ 여호와를 - 경외하지 않음(슥 11:6~10)
※ 슥 11:6 - 여호와가 말하노라
내가 다시는 - 이 땅 주민을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고
- 그 사람들을 - 각각 그 이웃의 손과
임금의 손에 넘기리니
⇒ 그들이 이 땅을 칠지라도 -
※ 내가 - 그들의 손에서 - 건져내지 아니하리라.
하시기로
슥 11:7 - 내가 - 잡혀 죽을 양 떼를 - 먹이니 -
※ 참으로 가련한 양들이라
내가 - 막대기 2을 취하여 -
❶ 하나는 - ‘은총’이라 하며
❷ 하나는 - ‘연합’이라 하고
양떼를 먹일새
슥 11:8 - 1 달 동안에 - 내가 그 3 목자를 - 제거하였으니
※ 이는 - 내 마음에 - 그들을 싫어하였고
그들의 마음에도 - 나를 미워하였음이라
슥 11:9 - 내가 이르되 -
※ “내가 너희를 - 먹이지 아니하리라.
⇒ 죽는 자는 - 죽는 대로,
망하는 자는 - 망하는 대로,
나머지는 - 서로 살을 먹는 대로 두리라.”
하고
슥 11:10 - 이에 - ‘은총’이라 하는 막대기를 -
⇒ 취하여 - 꺾었으니
이는 - 모든 백성들과 세운 언약을 -
※ 폐하려 하였음이라
Ⓑ 이방인들로 시기 나게 함 - 이방인 전도를 위해(롬 11:11~12)
※ 바울 - “그러므로 내가 말하노니
그들이 넘어지기까지 - 실족하였느냐?
※ 그럴 수 없느니라.
❶ 그들이 넘어짐으로 -
⇒ 구원이 - 이방인에게 이르러
⇒ 이스라엘로 - 시기나게 함이니라(롬 11:11)
❷ 그들의 넘어짐이 - 세상의 풍성함이 되며
❸ 그들의 실패가 - 이방인의 풍성함이 되거든 -
※ 하물며 그들의 충만함이리요(롬 11:12)
④ 알리야(:עֲלִיָּה ,Aliyah)
ⅰ) 알리야(עלייה) 의미 - 이스라엘로 이주하는 것
Ⓐ 히브리어로 - ‘상승’을 의미
Ⓑ 유대인 디아스포라들이 - 유대인의 땅인 에레츠 이스라엘로
돌아오는 것을 의미.
Ⓒ 반대말 - ‘예리다’. - 이스라엘 땅에서 이주한 이스라엘 유대인
❶ 비유대인 이스라엘인의 이주는 - ‘예리다’라는 단어에
포함되지 않는다.
⒈이스라엘에서 온 이민자 - ‘요르딤’(이스라엘에서 내려오는 자들)
⒉이스라엘로 이주하는 사람들 - ‘올림 olim’(이스라엘으로 올라가는 자들)
❷ 유대법전 할라카 - 굶주림이 심할 경우에만 - 해외로 이민과 재정착이 허용됨.
❸ 시온주의자들은 - 예리다의 행위에 대해 - 비판적이며, 경멸적임.
cf) 이민의 일반적인 이유는 - 이스라엘 정치, 경제, 문화, 종교 등에
대한 불만, 직업적 갈망
아랍-이스라엘 갈등의 불안정성 . . .
Ⓓ 디아스포라 후 - 유대인들이 유월절(Passover)과 대속죄일(욤 키푸르)를 지킬 때 -
※ “다음 해에는 - 예루살렘에서!.”라는 말로 - 기도를 마쳤다.
Ⓔ 1860년 - 예루살렘 성곽밖에 최초의 유대인 마을 (미슈케노트 샤나님) 건설.
Ⓕ 알리야 과정
❶ 1차 알리야 - 1881년 ~ 1903년
주로 러시아와 예멘에서 옴.
약 25,000 ~ 35,000명의 유대인이 이주했음.
⇒ 그러나 정착민의 거의 절반이 - 정착하지 못하고 떠남.
※ 이유 - 경제적인 문제와 질병등의 문제
❷ 2차 알리야 - 1904 ~ 1914년
주로 러시아와 폴란드에서
❸ 3차 알리야 - 1919 - 1923
주로 러시아에서
❹ 4차 알리야 - 1924 - 1932
주로 폴란드에서
❺ 5차 알리야 - 1933 - 1939년
주로 독일에서
❻ 1948 ~ 1952 - 유럽 및 아랍 여러에서 대규모 이민
❼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.
ⅱ) 할라카와 613가지 율법은 - 알리야를 명예로운 행위으로 여겼다.
※ 유대인들이 - 이스라엘로 돌아가야 하는 것은 - 굉장히 중요하다.
⑤ 시오니즘의 기원과 정치적 운동으로 확대
ⅰ) 시오니즘의 기원
Ⓐ 나폴레옹의 제안(1799년) - “팔레스타인 지역에 - 유대인들을 위한 나라를 건국하자!.”
Ⓑ 빅토리아(영국 여왕), 우드로 윌슨(미국 대통령), 존 아담스(미국 대통령)도
※ 시온주의를 지지했음.
ⅱ) 시오니즘이 정치적 운동으로 확대됨.
※ 19세기 후반 - 유대인 배척운동이 유럽 각국에서 일어나던 때임.
Ⓐ 프랑스 드레퓌스 사건 - 유대인들에게 충격을 줌.(1894년)
ⓐ 드레퓌스 - 유대인 프랑스 사관
독일 대사관에 군사정보를 팔았다는 혐의 받음.
※ 유대인이란 이유로 - 더 혐의를 강하게 받음.
⇒ 진범이 잡혔음에도 불구하고 - 이 사실을 지속적으로 은폐함.
⇒ 이후 최고 재판소로부터 - 무죄판결받음(1906년)
ⓑ 유대계 오스트리아인 기자 테오도르 헤르츨이 - 이 문제에 주시함.
cf) 본래 시온주의를 반대했으나 -
※ 이 사건 후 - 시온주의를 옹호하게 됨.
⇒ 테오도어 헤르츨이 제창해 - 국제시오니즘협회가 창설됨.
Ⓑ 19세기에 – 팔레스타인에는 - 오스만 제국(이슬람)이 지배하고 있었다.
cf) 국민들 50만 명 중 - 유대인들은 2만 명
Ⓒ 러시아에서 - 포그롬이 일어남.
cf) ‘포그롬’ 의미 - 반유대주의 대학살
※ 1821에 시작하여 - 1918년과 1920에 극심해짐.
⇒ 소수의 유대계 러시아인들이 - 이스라엘로 귀화하면서 -
※ 첫 알리야가 시작됨.
ⅲ) 1896년 - 테오도르 헤르쩰(헤르쯔르) - 최초의 주창자,
- 오스트리아 비인의 신문기자
※ 'The Juden staat'라는 소책자를 통해 - 자치국 수립의 구체안을 주장함.
ⅳ) 1897년 - 유대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쳐 -
⇒ 다음 해 스위스 바젤에서 - 제 1회 시오니스트(시온주의)
총회가 열림.
ⅴ) 1909년 - 최초의 키부츠인 - 데가니아와
최초의 근대적인 유대인 도시- 텔아비브 건설
ⅵ) 1917년 - 영국이 오스만 제국의 팔레스타인 지배를 종식 .
ⅶ) 1919년 - 영국이 벨푸어 선언통해 -
※ “팔레스타인에 - 유대인의 민족적 조국 건설을 보장 한다.”고 약속
ⅷ) 1918 ~ 1948 - 영국이 통치
⑥ 1차 세계대전 당시
ⅰ) 영국의 이중 약속
※ 제1차 세계대전 당시 - 팔레스타인을 지배하고 있던 오스만제국을 멸망시키기 위해 -
⇒ 아랍민족과 유대인 모두에게 - 독립국을 세워주겠다는
‘이중 약속’을 함.
ⅱ) 그러나 제 1차 대전 후 -
❶ 팔레스타인은 - 영국의 위임 통치가 되고
❷ 공약은 무시되어 - 다시 운동이 가열됨.
⑦ 2차 세계 대전 당시 - 히틀러 나치의 반유대주의 - 홀로코스트(Holocaust) (1939 - 1945년)
cf) 히틀러 - 독일 나치 정권의 수장.
※ 유럽의 유대인에 대한 대학살
ⅰ) 독일인들은 계속하여 - 모든 중-서부 유럽의 유대인들을 괴롭혔다.
⇒ 유대인들의 시오니즘에 대한 열망이 더욱 강하게 됨.
ⅱ) 홀로코스트(Holocaust) vs 쇼아(Shoah)
Ⓐ 그리스어 ‘Holokauston(홀로카우스톤)’에서 유래 - 번제
※ 번제 - 신을 위해 짐승을 불태워 제물로 바치는 것.
⇒ 유대인 대학살 = 유대인을 번제로 하나님께 드린다
cf) 아우슈비츠 수용소
Ⓑ 유대인들은 - ‘대재앙’이라는 뜻의 -
※ 히브리어 ‘쇼아 Shoah’라는 표현을 사용함.
ⅲ) 아우슈비츠 수용소
Ⓐ 강제 수용소 - 나치 독일이 유태인을 학살하기 위하여 만들었음.
Ⓑ 독일인들은 - 길가나 집에서 발견되는 유대인들을
닥치는 대로 체포하여 -
⇒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보냄.
❶ 베를린에서는 - 수십만의 유대인들이 정처 없이 떠났으며,
❷ 프랑스에서는 - 13,000명의 유대인들을 체포하여 -
⇒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보냄.
❸ 네덜란드, 슬로바키아, 그리스의 살로니카에서도 -
⇒ 수많은 유대인들이 학살 당함.
❹ 특히, 헝가리 내에 살던 유대인은 - 가장 큰 멸종의 위기를 당함.
※ 당시 유럽에 살고 있던 - 약 1,100여 만 명의 유대인들 가운데 -
⇒ 50%가 넘는 - 600여 만 명의 유대인들이 학살됨.
⑧ 2차 세계 대전 후
ⅰ) 영국은 - 팔레스타인 문제를 - 유엔에 이관했다.
ⅱ) 유엔은 - 팔레스타인 지역을 - 아랍인 구역과
유대인 구역으로 - 분할시키는 안을 채택함.
⇒ 유대인들은 - 수락
아랍 측은 - 거부.
❶ 유대인 디아스포라들이 - 팔레스타인으로 몰려들면서 -
⇒ 이 지역에 거주하던 아랍인들과 - 충돌이 빚어짐
❷ 이후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-
※ 땅을 잃고 - 과거 유대인처럼 고향에서 쫓겨났다.
⑨ 독립 - 영국으로부터 - 1948년 5월 14일 - ‘이스라엘 독립 선언’
⇒ ❶ 이스라엘 건국 선포
❷ 영국의 통치 종료
ⅰ) 영국의 팔레스타인 지배가 끝난 날 - 1948년 5월 14일(유대력 5708년 이야르월)
ⅱ) 팔레스타인 지구를 - 이스라엘의 새로운 유태인의 영토이자
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을 계승한 국가로 선포됨.
⇒ 이스라엘 유대인 국가가 수립됨으로써 - 오랜 숙원을 이룸.
ⅲ) 이후 아랍연합 제국과의 전쟁에서 - 승리하여 독립을 지키므로 기념함.
❶ 이스라엘 - 매년 독립기념일(욤 하츠마우트 יום העצמאות)로 기념함.
❷ 팔레스타인들 - 매년 5월 15일을 ‘재앙의 날’(나크바의 날)
※ 아랍어 ‘욤 알나크바 يوم النكبة ’라 부르며 ‘나크바의 날’로 기념함.
ⅳ) 독립선언서 - 히브리어: הכרזת העצמאות 하크라자트 하츠마우트
또는, 히브리어: מגילת העצמאות 메길라트 하츠마우트
Ⓐ 이스라엘 초대 수상 - 다비드 벤구리온이 - 낭독함
※ “이스라엘 땅은 - 유대인이 태어난 곳이다.
여기서 유대인은 - 나라를 세웠고
그들의 영적인, 종교적인, 그리고 정치적인 정체성을 확립했다.
이곳에서 그들은 - 처음으로 나라를 만들었으며
- 세계적으로 가치 드높은 문화를 만들었고
- 이 세상에 성경을 전했다 . . .
※ 우리는 이제 - 이 땅에 - 이스라엘이라는
유대인의 국가를 세운다.”
Ⓑ 이스라엘의 독립 선언문 마지막에 낭독한 성경 구절 - 암 9:14~15 말씀.
※ 암 9:14 - 내가 - 내 백성 이스라엘의 사로잡힌 것을 - 돌이키리니
⇒ 저희가 - 황무한 성읍을 건축하고 - 거하며
- 포도원을 심고 - 그 포도주를 마시며
- 과원들을 만들고 - 그 과실을 먹으리라
암 9:15 - 내가 저희를 - 그 본토에 심으리니 -
⇒ 저희가 - 나의 준 땅에서 - 다시 뽑히지 아니하리라
이는 -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.
ⅴ) 이스라엘 국기(National flag)
Ⓐ 1948년 10월 28일에 제정됨.
Ⓑ 하얀색 바탕에 - 위아래에는 - 파란색 가로 줄무늬가 그려져 있으며,
- 파란색 가로 줄무늬 사이에 - 파란색 다윗의 별이 그려져 있다.
❶ 파랑과 흰색 - 유대교를 의미
❷ 별 - 다윗의 별 - 다윗왕의 방패를 상징
★참고 - 174. 다윗①~⑥
ⅵ) 이스라엘 국가(National anthem) - 하티크바(Hatikvah)
※ ‘희망’(The Hope, 히: הַתִּקְוָה 하티크바, 아: الأمل 알 아말)
Ⓐ 작사자 - 나프탈리 헤르즈 임베르
Ⓑ 작곡자 - 사무엘 코엔
❶ 히브리어
※ Kol od ba’le’vav p’nima,Nefesh yehudi ho’miyah.
U’lefa-atei mizrach kadimah, Ayin le’Tziyyon tzofiyah.
Od lo avda tikva-teinu, Ha’tikvah bat sh’not al-payim
Lih-yot am chofshi b’ar-tzeinu Eretz Tziyyon v’Yerushalayim.
❷ 영어
※ As long as within our hearts The Jewish soul sings,
As long as forward to the East To Zion,
looks the eye – Our hope is not yet lost, It is two thousand years old,
To be a free people in our land The land of Zion and Jerusalem.
❸ 한국어
※ 오랜 세월 속에 - 유대인의 영혼은 갈망하리
그리고 동방의 끝에서 - 모두의 시선이 시온을 향하리
2천 년 동안의 희망이 있기에 - 우리는 희망을 잃지 않으리
우리의 땅에서 자유롭게 살기 위해 - 사람들은 시온과 예루살렘의 땅으로 가리”
ⅶ) 국목(National tree) - 올리브 나무(Olive tree)
cf) 성경에 번역된 감람나무는 - 올리브 나무와 전혀 다른 종류다.
⇒ 감람나무가 아닌 - 올리브 나무로 번역되어야 맞다.
ⅷ) 국화(National flower) - 아네모네 코로나리아(Anemone coronaria)
⑩ 아랍 5 개국 - 이스라엘 침공 (5월 15일)
❶ 독립전쟁 (1948년 5월 - 1949년 7월)
❷ 이스라엘 방위군 (IDF) 조직
⑪ 1949년 - ❶ 휴전 협정 - 이집트, 요르단, 시리아, 레바논
※ 이라크는 - 제외
❷ 초대 크네세트 ( 의회 ) 선출 ,
❸ 이스라엘 - 국제연합의 5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.
⑫ 하나님께서는 - 특별한 역할을 위해 - 유대민족을 택하셨다.
⇒ 주님의 날엔 - 유대의 남은 자들이 회개하고
주님께 돌아오게 될 것임.(슥 12:10, 사 9:6~7, 행 3:19)
※ 슥 12:10 - 내가 - 다윗의 집과 예루살렘 주민에게 -
※ 은총과 간구하는 심령을 - 부어 주리니
⇒ 그들이 - 그 찌른 바 그를 바라보고
※ 그를 위하여 애통하기를 - 독자를 위하여 애통하듯 하며
그를 위하여 통곡하기를 - 장자를 위하여 통곡하듯 하리로다
※ 사 9:6 - 이는 - 한 아기가 - 우리에게 났고
- 한 아들을 -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
※ 그의 어깨에는 - 정사를 메었고
그의 이름은 - 기묘자라,
모사라,
전능하신 하나님이라,
영존하시는 아버지라,
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
사 9:7 -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- 무궁하며
또 다윗의 왕좌와 그의 나라에 - 군림하여
⇒ 그 나라를 - 굳게 세우고
지금 이후로 - 영원히 정의와 공의로
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
만군의 여호와의 열심히 - 이를 이루시리라
※ 행 3:19 - 그러므로 너희가 - 회개하고 돌이켜 -
⇒ 너희 죄 없이 함을 받으라!.
이같이 하면 - 새롭게 되는 날이
주 앞으로부터 이를 것이요
⑬ 배리 호너 박사(Dr. Barry Horner) - “초대교회는 - 유대인의 교회였다.”
ⅰ) 유대인들은 종말론에 있어서 - 회복주의자들이었다.
ⅱ) 또한 유대민족이 수치를 당한 후에 - 유대인의 회심과 참여가 있을 것이다.
ⅲ) ‘마침내 그들이 - 높임을 받으리라’는 - 반전의 역할에 대한 예언적 계시
ⅳ) 메시아의 왕국이 도래할 것이다.(사 60:14, 슥 8:22~23, 슥 14:1)
※ 사 60:14 - 너를 괴롭히던 자의 자손이 - 몸을 굽혀 네게 나아오며
너를 멸시하던 모든 자가 - 네 발 아래에 엎드려 -
※ 너를 일컬어 - ❶ “여호와의 성읍이라”
❷ “이스라엘의 거룩한 이의 시온이라”
하리라
※ 슥 8:22 - 많은 백성과 강대한 나라들이 - 예루살렘으로 와서
⇒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-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리라
슥 8:23 - 만군의 여호와가 이와 같이 말하노라
그날에는 - 말이 다른 이방 백성 10명이 -
※ 유다 사람 하나의 옷자락을 잡을 것이라
곧 잡고 말하기를 -
※ “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하심을 - 들었나니
⇒ 우리가 - 너희와 함께 가려 하노라.”
하리라 하시니라
※ 슥 14:16 - 예루살렘을 치러 왔던 - 이방 나라들 중에 -
※ 남은 자가 - 해마다 올라와서 -
⇒ ❶ 그 왕 만군의 여호와께 - 경배하며
❷ 초막절을 지킬 것이라
ⅴ)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은 -
※ 장자 이스라엘을 - 질투하거나 반발하지 말고
기쁘게 받아들여야 한다.
⑭ 이방인의 사도 ‘바울’이 바라본 - 이스라엘 유대인
ⅰ) 기본 배경 - 이스라엘 유대인은 - 하나님의 장자(출 4:22)
※ 출 4:22 - 너는 바로에게 이르기를 -
※ “여호와의 말씀에 -
※ “이스라엘은 - 내 아들 내 장자라.””
ⅱ)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에게 - 유대인 전도에 대한 이 명령을 받아들이도록 촉구했다.
※ 바울 - “내가 복음을 -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,
※ 이 복음은 -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
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.
❶ 먼저는 - 유대인에게요,
❷ 그리고 – 헬라인에게로다.”(롬 1:16)
※ 예수님 - “오직 성령이 - 너희에게 임하시면 -
※ 너희가 - 권능을 받고 -
⇒ 예루살렘과
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-
※ 내 증인이 되리라.”
하시니라(행 1:8)
ⅲ) 로마서 11장에서 극대화 된다. - 유대인과 이방인을 대조함.(롬 11:16~24)
● 여호와 하나님
● 초기의 거룩한 유대인 족장들 - 아브라함, 이삭, 야곱 . . .
● 이방인 구원자
● 여호와를 버린 유대인들, 징계받는 유대인들
Ⓐ 제사하는 처음 익은 곡식 가루가 - 거룩한즉 -
⇒ 떡덩이도 그러하고(롬 11:16a)
cf) 처음 익은 곡식 -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초기의 거룩한 족장들
떡덩이 - 거룩한 유대인들의 거룩한 자손들
Ⓑ 뿌리가 거룩한즉 - 가지도 그러하니라(롬 11:16b)
Ⓒ 또한 가지 얼마가 - 꺾이었는데 -
⇒ 돌감람나무인 네가 - 그들 중에 접붙임이 되어 -
※ 참감람나무 뿌리의 진액을 - 함께 받는 자가 되었은즉(롬 11:17)
❶ 그 가지들을 향하여 - 자랑하지 말라!.
cf) 가지들 – 원가지에서 벗어난 유대인들
❷ 자랑할지라도 -
※ 네가 뿌리를 - 보전하는 것이 아니요
뿌리가 너를 - 보전하는 것이니라(롬 11:18)
Ⓓ 그러면 네 말이 - “가지들이 - 꺾인 것은 -
※ 나로 - 접붙임을 받게 하려 함이라.”
하리니(롬 11:19)
⇒ 옳도다!.
❶ 그들은 - 믿지 아니하므로 - 꺾이고
❷ 너는 - 믿으므로 - 섰느니라(롬 11:20a)
Ⓔ 높은 마음을 품지 말고 - 도리어 두려워하라!.(롬 11:20b)
※ 하나님이 - 원 가지들도 - 아끼지 아니하셨은즉 -
⇒ 너도 - 아끼지 아니하시리라(롬 11:21)
Ⓕ 그러므로 - 하나님의 - 인자하심과 준엄하심을 보라!.
※ 넘어지는 자들에게는 - 준엄하심이 있으니
❶ 너희가 만일 - 하나님의 인자하심에 머물러 있으면 -
⇒ 그 인자가 - 너희에게 있으리라
❷ 그렇지 않으면 - 너도 찍히는 바 되리라(롬 11:22)
Ⓖ 그들도 - 믿지 아니하는 데 머무르지 아니하면 - 접붙임을 받으리니 -
※ 이는 - 그들을 접붙이실 능력이 - 하나님께 있음이라(롬 11:23)
Ⓗ 네가 - 원 돌감람나무에서 - 찍힘을 받고 -
⇒ 본성을 거슬러 - 좋은 감람나무에 접붙임을 받았으니 -
※ 원 가지인 이 사람들이야 - 얼마나 더
자기 감람나무에 접붙이심을 받으랴?(롬 11:24)
ⅳ) 유대 민족의 구원과 유대민족의 복음화가 - 우선시 되어야 함.(롬 1:16)
★참고 - 68. 구원①②
※ 롬 1:16 - 내가 복음을 -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
이 복음은 -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-
※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
❶ 먼저는 - 유대인에게요
❷ 그리고 - 헬라인에게로다
⑮ 이스라엘 민족을 불러 모으시는 말씀(신 30:3~5, 슥 8:7~13, 미 4:6~7, 사 5:26~27, 사 43:5~7,
사 60:21~22, 겔 39:25~29)
※ 신 30:3 -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- 마음을 돌이키시고 -
⇒ 너를 긍휼히 여기사 - 네 포로를 돌리시되
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-
⇒ 너를 흩으신 그 모든 백성 중에서 - 너를 모으시리니
신 30:4 - 너의 쫓겨난 자들이 - 하늘가에 있을지라도 -
※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- 거기서 너를 - 모으실 것이며
- 거기서부터 너를 - 이끄실 것이라
신 30:5 -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-
※ 너를 - 네 열조가 얻은 땅으로 - 돌아오게 하사
⇒ 너로 다시 - 그것을 얻게 하실 것이며
여호와께서 - 또 네게 선을 행하사 -
⇒ 너로 - 네 열조보다 - 더 번성케 하실 것이며
※ 슥 8:7 -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
내가 내 백성을 - 동방에서부터 서방에서부터 - 구원하여 내고
- 인도하여다가 -
⇒ 예루살렘 가운데 - 거하게 하리니
슥 8:8 - 그들은 - 내 백성이 되고
나는 - 성실과 정의로 - 그들의 하나님이 되리라
※ 슥 8:13 - 유다 족속아!. 이스라엘 족속아!.
너희가 - 이방 가운데서 - 저주가 되었었으나
※ 이제는 - 너희를 구원하여 -
⇒ 너희로 - 축복이 되게 하리니
두려워 말지니라!.
손을 견고히 할지니라!.
※ 미 4:6 -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-
※ “그날에는 내가 -
❶ 저는 자를 - 모으고
❷ 쫓겨난 자와 내가 환난 받게한 자를 - 모아
❸ 그 저는 자로 - 남은 백성이 되게 하며
미 4:7 - ❶ 멀리 쫓겨 갔던 자로 - 강한 나라가 되게 하고
❷ 나 여호와가 - 시온산에서 - 이제부터 영원까지 치리하리라.”
하셨나니
※ 사 60:21 - 네 백성이 다 - 의롭게 되어 - 영영히 땅을 차지하리니
그들은 - 나의 심은 가지요
- 나의 손으로 만든 것으로서 -
⇒ 나의 영광을 - 나타낼 것인즉
사 60:22 - 그 작은 자가 - 1,000을 이루겠고
그 약한 자가 - 강국을 이룰 것이라
※ 때가 되면 - 나 여호와가 속히 이루리라
※ 겔 39:25 -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
내가 이제 - 내 거룩한 이름을 위하여 - 열심을 내어 -
※ 야곱의 사로잡힌 자를 - 돌아오게 하며
이스라엘 온 족속에게 - 긍휼을 베풀찌라
겔 39:26 - 그들이 그 땅에 - 평안히 거하고
- 두렵게 할 자가 없게 될 때에 -
⇒ 부끄러움을 품고 - 내게 범한 죄를 뉘우치리니 -
곧 내가 그들을 - 만민 중에서 돌아오게 하고
- 적국 중에서 모아내어
※ 열국 목전에서 - 그들로 인하여 -
⇒ 나의 거룩함을 - 나타낼 때라
겔 39:27 - 전에는 내가 - 그들로 사로잡혀 - 열국에 이르게 하였거니와
후에는 내가 - 그들을 모아 - 고토로 돌아오게 하고
겔 39:28 - 그 한 사람도 - 이방에 남기지 아니하리니
⇒ 그들이 나를 - 여호와 자기들의 하나님인줄 - 알리라
겔 39:29 - 내가 다시는 - 내 얼굴을 - 그들에게 가리우지 아니하리니
※ 이는 - 내가 내 신을 - 이스라엘 족속에게 쏟았음이니라
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.
※ 사 5:26 - 또 그가 - 기치를 세우시고
- 먼 나라들을 불러 -
⇒ 땅 끝에서부터 - 자기에게로 오게 하실 것이라
보라!. 그들이 - 빨리 달려올 것이로되
사 5:27 - 그 중에 - 곤핍하여 넘어지는 자도 - 없을 것이며
- 조는 자나 자는 자도 - 없을 것이며
그들의 허리띠는 - 풀리지 아니하며
그들의 들메끈은 - 끊어지지 아니하며
※ 사 43:5 - 두려워하지 말라!.
내가 너와 함께 하여 -
⇒ 네 자손을 - 동쪽에서부터 - 오게 하며
- 서쪽에서부터 - 너를 모을 것이며
사 43:6 - 내가 - 북쪽에게 이르기를 - “내놓으라!.”
- 남쪽에게 이르기를 - “가두어 두지 말라!.”
※ 내 아들들을 - 먼 곳에서 이끌며
내 딸들을 - 땅 끝에서 오게 하며
사 43:7 - 무릇 내 이름으로 - 일컫는 자
곧 내가 내 영광을 위하여 - 창조한 자를 - 오게 하라!.
※ 그들을 - 내가 - 지었고
- 만들었느니라
⑯ 돌아온 이스라엘에 백성에 대한 - 축복의 말씀
※ 암 9:14 - 내가 - 내 백성 이스라엘의 사로잡힌 것을 - 돌이키리니
저희가 - 황무한 성읍을 건축하고 - 거하며
- 포도원을 심고 - 그 포도주를 마시며
- 과원들을 만들고 - 그 과실을 먹으리라
암 9:15 - 내가 저희를 - 그 본토에 심으리니 -
⇒ 저희가 - 나의 준 땅에서 - 다시 뽑히지 아니하리라
이는 -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.
※ 사 35:6 - 그 때에 - 저는 자는 - 사슴같이 뛸 것이며
- 벙어리의 혀는 - 노래하리니
※ 이는 - 광야에서 - 물이 솟겠고
사막에서 - 시내가 흐를 것임이라
사 35:7 - 뜨거운 사막이 변하여 - 못이 될 것이며
메마른 땅이 변하여 - 원천이 될 것이며
시랑의 눕던 곳에 - 풀과 갈대와 부들이 날 것이며
※ 겔 36:8 - 그러나 너희 이스라엘 산들아!.
너희는 - 가지를 내고
- 내 백성 이스라엘을 위하여 - 열매를 맺으리니
※ 그들이 올 때가 - 가까이 이르렀음이라
겔 36:9 - 내가 돌이켜 - 너희와 함께 하리니 -
⇒ 사람이 - 너희를 갈고 심을 것이며
겔 36:10 - 내가 또 사람을 - 너희 위에 많게 하리니 -
※ 이들은 - 이스라엘 온 족속이라
그들을 - 성읍들에 거주하게 하며
- 빈 땅에 건축하게 하리라
겔 36:11 - 내가 - 너희 위에 - 사람과 짐승을 많게 하되 -
⇒ 그들의 수가 - 많고 번성하게 할 것이라
너희 전 지위대로 - 사람이 거주하게 하여
⇒ 너희를 - 처음보다 낫게 대우하리니
※ 내가 여호와인 줄을 - 너희가 알리라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59. 시온(Shion)② - 잇사갈 지파의 땅에 있는 시온 (0) | 2024.03.06 |
---|---|
658. 시온(Zion)① - 여부스 족속의 산성, 다윗이 정복하고 다윗성이라 함 (0) | 2024.03.06 |
656. 시스라(Sisera) - 하솔① 왕 야빈②의 군대 장관, 야엘에게 죽임 당함 (0) | 2024.03.04 |
655. 시삭(Shishak) - 셰숑크 1세, 이집트 리비아 왕조 창시자, 예루살렘 침략 (0) | 2024.03.04 |
654. 시바(Ziba) - 사울①의 종, 므비보셋①을 모략하여 그의 땅을 차지함 (0) | 2024.03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