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84. 앗수르바니팔(Assurbanipal) - 아슈르바니팔, 오스납발
① 의미 - ‘아슈르가 후계자를 냈다.’
② 다른 이름 - ❶ 아슈르바니팔
❷ 오스납발(스 4:10)
※ 스 4:10 - 그 밖에 백성 곧 존귀한 오스납발이
사마리아 성과 유브라데 강 건너편 다른 땅에 옮겨 둔 자들과
함께 고발한다.
하였더라
③ 앗수르( = 아시리아)의 마지막 왕.(BC 669 ~ BC 631 or BC 627)
★참고 - 880. 앗수르③
cf) 최후의 왕은 아니다 - 최후의 왕은 앗수르우발릿 2세(완전 멸망)
❶ 2 명의 아들이 - 공동 통치하며 - 형식적으로라도 왕권을 이어갔음.
⒈ 아슈르 에텔 일라니
⒉ 신샤르 이슈쿤
❷ 하란②의 귀족 앗수르우발릿2세가 - 남은 앗수르인들로 앗수르를 이어 갔기 때문.
④ 가족 -
cf) 산헤립 → 에살핫돈 → 앗수르바니팔( = 아슈르바니팔 = 오스납발) →
→ 아슈르 에텔 일라니 - 신샤르이슈쿤 → 앗수르우발릿 2세
cf) 앗수르 우발릿 2세 – 하란의 귀족
ⅰ) 할아버지 - 산헤립(BC 704~681년 재위)
ⅱ) 삼촌들 - 아드람멜렉, 사례셀(왕하 19:37, 대하 32:21, 사 37:37~38)
※ 아버지 산헤립을 죽이고 도망감
ⅲ) 아버지 - 에살핫돈(BC 681~668년 재위)
ⅳ) 어머니 - 죽임당함(BC 672년)
ⅴ) 형제 - 죽임당함(BC 672년)
ⅵ) 이복형 - 샤마시 슘 우킨
ⅶ) 아들 - ❶ 아슈르 에텔 일라니
❷ 신샤르 이슈쿤
⑤ 에살핫돈이 - 앗수르바니팔( = 아슈르바니팔)을 - 미리 앗수르 왕자로 선포.(BC 672년 5월)
cf) 아버지 에살핫돈의 왕비 즉 어머니와 큰형이 - 죽었다.(BC 672년)
ⅰ) 아버지 에살핫돈은 - 왕실 내분을 피하기 위해 -
⇒ ❶ 앗수르바니팔을 - 앗수르의 황태자로 지명한다.
❷ 같은 서열의 이복형 샤마시 슘 우킨을 - 바벨론의 황태자로 지명함.
⇒ 그의 사후 누구도 이에 반역하지 않을 것을 - 맹세하게 함.
ⅱ) 식민지 국가들의 반란을 미리 막기 위해 - 그들과 조약을 맺음.
ⅲ) 그리고 그들의 신인 앗수르①( = 아슈르)에게 - 영원히 충성을 맹세하게 함.
★참고 - 878. 앗수르①
⑥ 지혜와 지식이 뛰어났다.
ⅰ) 뛰어난 지략과 능력을 발휘하고 - 사제들의 지식에 능통했다.
ⅱ) 수메르, 아카드의 어려운 문자를 - 해독할 수 있었고
ⅲ) 사냥, 궁술, 승마에 뛰어남.
⇒ 아버지 엣살핫돈의 신임을 받았다.
ⅳ) 예술 특히 문학을 사랑했다.
ⅴ) 니느웨( = 니네베) 대도서관을 지음 - 앗수르바니팔 도서관
❶ 학문을 사랑하는 자로 - 설형문자 토판을 수집하고
⇒ 니느웨의 대도서관에 - 보존시킴.(22,000개 이상)
❷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바벨론과 앗수르 문학이 - 소장 됨.
❸ 이곳에서 발견된 약 2만 여점의 토판은 - 신화, 문화, 역사 등이 기록됨.
⇒ 앗수르( = 아시리아)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됨.
⑦ 그러나 - 앗수르바니팔( = 오스납발)의 왕위계승에 불만을 품은 -
※ 이복 형 샤마시 슘 우킨과 - 전쟁을 하게 됨.
⇒ 국력이 많이 약해짐.
⑧ 구스③( = 쿠시) 왕이자 애굽( = 이집트)의 왕인 디르하가( = 타하르카)가 -
※ 이집트에서 - 반란을 일으킴.(BC 667년)
★참고 - 209. 디르하가
cf) 당시 구스③ 왕조(= 쿠시 왕조)가 - 이집트를 지배하고 영향력을 발휘했음.
※ 이집트 제 3 중간기 25 왕조 - 구스③ 왕조 (BC 747년 ~ BC 656년)
(구스③ = 누비아 = 에디오피아 = 수단 왕조)
ⅰ) 앗수르바니팔은 - 앗수르 군대를 보내어 –
⇒ 멤피스( = 놉②)에서 - 곧 진압함.
★참고 - 138. 놉②
ⅱ) 디르하가가 - 구스③로 도망감.
ⅲ) 반란을 도왔던 이집트의 신하들은 - 모두 니느웨( = 니네베)로 붙잡아 왔다.
⑨ 바로 느고 1세( = 네코 1세)를 - 이집트의 왕으로 세움 -
⇒ 앗수르가 이집트를 지배함.
cf) 정복지에 - 그 지역 출신 왕을 세운다는 방침으로 -
⇒ 이집트에 바로 느고 1세를 왕으로 세움.
⑩ 구스③( = 쿠시)의 디르하가가 죽고 -
⇒ 조카인 타누타카가 - 다시 애굽을 침범해
테베를 점령함.(BC 664년)
ⅰ) 앗수르바니팔(아슈르바니팔)은 이번에도 - 애굽에 군사를 보내어 -
❶ 반란을 진압하고
❷ 타누타카를 구스( = 쿠시)로 쫓아보냈다.
ⅱ) 이집트의 느고 1세는 - 반란 진압 중에 죽었다.
ⅲ) 앗수르바니팔은 - 다시 느고 1세의 아들 프삼티크 1세를 ⇒ 이집트의 왕으로 세움.
cf) 훗날 - 앗수르 군대는 이집트에서 쫒겨 나지만
무역은 계속 유지함.
⑪ 혼혈정책 실시함(스 4:6, 스 4:10b)
cf) 오스납발( = 앗수르바니팔 2세)가 강제 이주시킨 자들이 -
⇒ 스룹바벨 성전 건축때 - 아하수에로② 1세에게 투서를 넣음.
※ 아하수에로② 1세 - 에스더 남편
※ 스 4:6 - 또 아하수에로②가 즉위할 때에 -
※ 그들이 글을 올려 -
⇒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을 - 고발하니라
※ 스 4:10 - 그 밖에 - 백성 곧 존귀한 오스납발이 사마리아 성과
유브라데 강 건너편 다른 땅에 옮겨 둔 자들과
함께 고발한다 하였더라
⑬ 앗수르( = 아시리아)는 - 앗수르바니팔(아슈르바니팔)이 죽은 이후 - 점점 쇠퇴해 감.
⑭ 아들 2명이 공동 통치 - ❶ 아슈르 에텔 일라니
❷ 신샤르 이슈쿤
※ 갈그미스 전투 시기의 - 힘없는 이름만 왕임..
ⅰ) 아버지 에살핫돈의 선례를 좇아 -
⇒ 2 명의 아들인 - 아슈르 에텔 일라니와
신샤르 이슈쿤에게 - 공평하게 권력을 나누어 -
※ 공동으로 통치하게 했다.
ⅱ) 그러나 앗수르는 - 20년 만에 - 완전히 멸망함.(BC 609년)
※ 앗수르우발릿 2세 때 - 바벨론의 나보폴라살에 의해.
cf) 에살핫돈 → 앗수르바니팔( = 오스납발) → 신샤르이슈쿤 → 앗수르우발릿 2세
※ 앗수르우발릿 2세( = 아슈르우발릿 2세) - 하란②의 귀족
⑮ 아들 신샤르이슈쿤 시대 - 바벨론 나보폴라살과 느부갓네살 2세가 -
※ 메대와 연합해 - 앗수르를 공격함.(BC 614년)
ⅰ) 나훔과 스바냐①의 예언이 - 성취됨.(나 1:1, 나 2:8~13, 나 3:7~19, 습 2:13~15)
ⅱ) 니느웨가 함락될 때 - 당시의 왕 신샤르이슈쿤이 - 불에 타 죽음.(BC 612년)
❶ 앗수르 제국은 - 바벨론에게 완전히 장악됨.
❷ 그러는 동안 - 서쪽의 식민지 도시들은 -
⇒ 서서히 앗수르 제국으로부터 벗어남.
cf) 유다의 요시야의 신명기 개혁이 가능했음.
※ 갈그미스 전투 직전임.
'10. 악갓 ~ 언약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86. 애굽(Egypt)① - 이집트 제국, 이집트(애굽)의 특징, 이집트(애굽)의 역사 (0) | 2024.11.13 |
---|---|
885. 앗수르 우발릿 2세( Asshur uballit Ⅱ) - 앗수르 마지막 왕, 앗수르 멸망 (0) | 2024.11.13 |
883. 앗수르단 3세(Ashur Dan Ⅲ) - 아슈르 단 3세 - 요나 외침에 금식하고 회개 (0) | 2024.11.12 |
882. 앗수르나시르팔 2세(Assurnasirpal Ⅱ) - 아슈르나시르팔 2세, 피의 군주 (0) | 2024.11.12 |
881. 앗수르(Asshurim)④ - 아슈림, 그두라의 자손 드단의 후예, 아랍 족속 (0) | 2024.11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