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12. 여고냐 ~ 여호하난

1009. 여부스(Jebusite)② - 다윗 여부스 정복, 다윗 성, 솔로몬의 예루살렘 성전

1009. 여부스(Jebusite)② - 다윗 여부스 정복, 다윗 성, 솔로몬의 예루살렘 성전 

(5) 다윗 시대

① 여부스 사람들은 - 다윗이 예루살렘의 성을 빼앗기 전까지 - 여부스 성에 살았다.(대상 11:4)

                ※ 대상 11:4 - 다윗이 - 온 이스라엘과 더불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예루살렘 곧 여부스에 이르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여부스 땅의 주민들이 - 거기에 거주하였더라

 

② 다윗이 - 여부스 사람들의 성채인 시온①을 정복 - ‘다윗 성’이 됨.(BC 1003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삼하 5:6~9, 대상 11:4~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시온① 산성 = 다윗성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174. 다윗①~⑥

       ⅰ) 여부스 원주민이 - 다윗에게 이르기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“네가 이리로 - 들어오지 못하리라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나(삼하 5:5a)

       ⅱ) 다윗이 - 시온① 산성을 빼앗았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는 - ‘다윗성’이더라(삼하 5:5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다윗 - “먼저 여부스 사람을 치는 자는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우두머리와 지휘관으로 삼으리라!.”(삼하 5:6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스루야의 아들 요압이 - 먼저 올라갔으므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우두머리가 되었고(삼하 5:6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다윗이 - 그 산성에 살았으므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무리가 - ‘다윗 성’이라 불렀으며(삼하 5:7)

 

③ 예루살렘을 - 수도로 삼고 - 다윗 성과 왕궁을 지음.(삼하 5:9~12)

 

 

 

http://fmcworld.net/wp-content/uploads/2021/04/28-724x1024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ⅰ) 다윗이 여부스( = 예루살렘)를 수도로 삼은 이유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식수해결 - 예루살렘 성 옆 기드론 골짜기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기혼샘과 엔로겔 샘이 있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가장 중요한 식수가 - 해결될 수 있었기 때문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천혜의 요새였음 - 도시 방어에 용이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⒈ 남서쪽에 - 흰놈의 골짜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동쪽에 - 기드론 골짜기가 있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⒉ 그 주위를 - 전망산, 감람산, 멸망산이 둘러싸고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중립 도시인 여부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예루살렘은 - 이방인 여부스 족속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어떤 지파에게도 - 그 땅이 분배되지 않았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중립적인 도시였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예루살렘은 - 교통의 요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정치, 행정, 종교의 중심 도시로 성장가능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⒈ 간선로 - 동과 서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여리고, 라마①, 기브온, 벧헤론, 욥바를 이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⒉ 족장 도로 - 남과 북으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세겜①, 예루살렘, 헤브론, 브엘세바를 이음.

 

 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shyunya&logNo=221033735799

 

 

 

       ⅱ) 다윗이 - 그 산성에 살면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‘다윗 성’이라 이름하고(삼하 5:9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다윗이 - 밀로에서부터 안으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성을 둘러 쌓으니라(삼하 5:9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함께 계시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다윗이 점점 - 강성하여 가니라(삼하 5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다윗 왕국을 지음 - 두로 왕 히람①의 도움으로(삼하 5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두로 왕 히람①이 - 다윗에게 사절들과 백향목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목수와 석수를 보내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들이 - 다윗을 위하여 집을 지으니(삼하 5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다윗이 - ❶ 여호와께서 자기를 세우사 - 이스라엘 왕으로 삼으신 것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그의 백성 이스라엘을 위하여 - 그 나라를 높이신 것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알았더라(삼하 5:12)

 

 

 

https://cms-imgp.jw-cdn.org/img/p/1001061227/E/art/1001061227_E_sub_xl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ⅲ) 다윗이 예루살렘에서 낳은 아들들(대상 3:5~9)

 

 

   

 

 

 

 

④ 다윗은 정치적 입지가 든든해진 이후 - ‘예루살렘’이라는 공식적인 명칭을 사용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시온① - 원래 요새나 요새가 있는 지역을 가르켰으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예루살렘 전체를 가르키는 말이 됨.

 

⑤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( = 오르난)의 타작마당을 매입 - 제단을 쌓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삼하 24:16~25, 대상 21:15, 대상 21:18~2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이유 - ❶ 인구조사 후 내린 - 하나님의 징벌이 - 멈춤.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선지자 갓②이 조언 - 아라우나의 타작마당에 제단 쌓음.

       ⅰ) 여호와께서 - 다시 이스라엘을 향하여 진노하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그들을 치시려고 - 다윗을 격동시키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“가서 - 이스라엘과 유다의 인구를 조사하라!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신지라(삼하 24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사탄이 일어나 - 이스라엘을 대적하고 다윗을 충동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이스라엘을 - 계수하게 하니라(대상 21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사탄은 - 다윗의 교만한 마음을 충동했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492. 사탄

       ⅱ) 다윗의 인구 조사 - 다윗이 요압과 백성 지도자들에게 명령함.(삼하 24:2~3, 대상 21: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다윗 - “브엘세바에서 단까지 - 이스라엘을 계수하고 돌아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내게 보고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 수효를 알게 하라!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요압 - “어찌하여 - 이 일을 명령하시나이까?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어찌하여 - 이스라엘이 범죄하게 하시나이까?”(삼하 24:3, 대상 21:3)

       ⅲ) 요압이 - 마땅치 않게 여겨 - 레위와 베냐민 사람은 계수하지 않음.(대상 21:6)

 

 

 

https://www.blueletterbible.org/assets-v3/images/esv-study-bible/big/map_13_03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ⅳ) 하나님이 - 이 일을 악하게 여기사 - 이스라엘을 치심(대상 21: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요압의 인구 조사가 끝나기 전에 - 재앙이 닥침(대상 27:2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다윗의 자책함 - 용서를 간구함(삼하 24:10, 대상 21: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백성을 조사한 후에 - 그의 마음에 자책하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다윗 - “내가 - 이 일을 행함으로 -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종의 죄를 - 사하여 주옵소서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가 - 심히 미련하게 행하였나이다.”(삼하 24:10)

       ⅴ) 여호와께서 - 선견자 갓②에게 말씀하심.(삼하 24:11, 대상 21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“네게 3가지를 내어 놓으리니 - 그 중에서 1를 네가 택하라!.” (삼하 24:12, 대상 21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7년 기근?(삼하 24:13), 3년 기근?(대상 21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삼하 24:13 - ‘왕의 땅에서’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대상21:12 - 없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3년 - 이 사건이 생기기 전에 다윗의 땅에 3년 기근.(삼상 21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사울①의 기브온 사람들 죽임으로 인한 기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1년 - 기브온 사람이 사울의 7 아들을 죽이고 매장(삼하21:2~14)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블레셋과의 전쟁(삼하21:15~22) +  9달 20일(인구 조사 기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삼하 24: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3년 - 이렇게 4년의 기근이 있은 뒤에 인구 조사로 인한 3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총 7년의 기근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그러므로 여기의 7년과 3년은- 인구 조사 이전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4년간의 기근을 + - 의한 차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3 달을 적군에게 패하여 - 적군의 칼에 쫓길 것?(삼하 24:13, 대상 21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전염병이 사흘 동안 이 땅에 유행하여 - 이스라엘을 멸함?(삼하 24:13, 대상 21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다윗 - “내가 - 그의 손에 빠지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사람의 손에 빠지지 아니하기를 원하니라”(삼하 24:14, 대상 21:1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전염병을 내리심(삼하 24:15, 대상 21:14)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예루살렘을 멸하시려 - 천사를 보내심.(삼하 24:16, 대상 21:15~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이 재앙 내리심을 뉘우치심.(삼하 24:16, 대상 21:1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천사 - 오르난의 타작마당에 칼을 빼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예루살렘 하늘을 향하여 폄(대상 21: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여호와 - “족하다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제는 - 네 손을 거두라!.”(삼하 21:1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다윗의 회개기도(삼하 24:17, 대상 21:17)

       ⅵ) 다윗에게 - 제단을 쌓을 것을 명령하심 - 선지자 갓②을 통해서.(삼하 24:18, 대상 2:1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“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마당에서 -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라!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  오르난(히브리식) 타작마당 (대상 21:18, 대하 3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아라우나(여부스식) 타작마당(삼하 24: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솔로몬 성전 자리(대하 3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 모리아산(이삭을 제물로 드린 곳)(창 22:2~13, 대하 3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78. 모리아 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골고다 언덕( X 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⒈ 십자가 사건 당시 골고다 언덕은 - 예루살렘 성벽 밖에 있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⒉ 이후 - 헤롯 아그립파① 1세가 - 예루살렘 성벽을 넓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골로다가 - 성벽 안으로 들어오게 됨.

 

 

 

http://fmcworld.net/wp-content/uploads/2021/04/28-724x1024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다윗이 -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( = 오르난)의 타작마당을 매입 - 제단을 쌓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삼하 24:16~25, 대상 21:15, 대상 21:18~2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후에 솔로몬의 성전이 됨.(대하 3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이유 - 인구조사 후 하나님의 징벌이 내린 후 멈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선지자 갓②이 조언하여 - 아라우나의 타작마당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제단을 쌓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부스 사람 아라우나가 거저 주려는 것을 - 돈을 주고 삼.(삼하 24:21~2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삼하 24:24 - 은 50세겔(570g)로 - 타작 마당과 소를 삼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번제 비용만 포함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대상 21:25 - 금 600세겔(7kg)으로 - 타작 마당과 소를 삼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타작마당 즉 예루살렘 성전터까지의 합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아라우나 -“내 주 왕께서 종에게 임하시나이까?”(삼하 24:2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다윗 - “네게서 타작 마당을 사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여호와께 제단을 쌓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백성에게 내리는 재앙을 - 그치게 하려 함이라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삼하 24:2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아라우나 - “원하건대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 주 왕은 좋게 여기시는 대로 취하여 드리소서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번제에 대하여는 - 소가 있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땔 나무에 대하여는 - 마당질 하는 도구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소의 멍에가 있나이다.”(삼하 24:2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왕이여!. 아라우나가 이것을 다 - 왕께 드리나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왕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왕을 기쁘게 받으시기를 - 원하나이다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삼하 24:2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다윗 - “그렇지 아니하다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가 값을 주고 - 네게서 사리라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값없이는 - 내 하나님 여호와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번제를 드리지 아니하리라.”(삼하 24:24)

       ⅶ)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-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고 - 번제와 화목제를 드림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대상 21:26, 삼하 24:2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재앙이 그침.(삼하 24:2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다윗이 거기서 -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번제와 화목제를 드려 - 여호와께 아뢰었더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여호와께서 하늘에서부터 - 번제단 위에 불을 내려 응답하시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대상 21:2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여호와께서 - 천사를 명령하시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가 칼을 - 칼집에 꽂았더라(대상 21:2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에 여호와께서 - 그 땅을 위한 기도를 - 들으시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스라엘에게 내리는 재앙이 – 그쳤더라(삼하 24:25b)

 

⑥ 예루살렘으로 옮겨진 - 언약궤(삼하 6:1~23, 대상 13:1~14, 대상 15:1~16:4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916. 언약궤

       ⅰ) 다윗 - “우리가 - 하나님의 궤를 - 우리에게로 옮겨 오자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사울① 때에는 - 우리가 궤 앞에서 묻지 아니하였느니라”(대상 13: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당시 언약궤가 - 기랏여아림의 아비나답①의 집에 있었음.(대상 13:6~7, 삼상 7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언약궤의 이동 경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시내산에서 출발(출 37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길갈(수 4:1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실로의 회막(삼상 1:3, 삼상 3:4, 삼상 4: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아벡 전투지(에벤에설)(삼상 5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블레셋 아스돗 다곤신전(삼상 5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가드(삼상 5:8)    → 에그론(삼상 5:10)   → 벧세메스①(삼상 6:1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기랏여아림의 아비나답①의 집(삼상 7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가드 사람 오벳에돔①의 집(삼하 6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예루살렘의 임시 성막(다윗성 = 시온① 성)(삼하 6: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솔로몬 성전(왕상 8:1~5)

 

 

 

https://devotionaryblog.com/wp-content/uploads/2018/06/003-joshua-sun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ⅱ) 언약궤를 - 새 수레에 싣고 - 기럇여아림 아비나답①의 집에서 나옴.(삼하 6:3, 대상 13: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741. 아비나답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그들이 - 하나님의 궤를 - 새 수레에 싣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산에 있는 아비나답①의 집에서 - 나오는데(삼하 6:3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아비나답①의 아들 웃사와 아효가 - 그 새 수레를 모니라(삼하 6:3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언약궤는 - 반드시 제사장이 어깨에 메야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출 25:14, 민 4:15, 신 10:8, 신 31:9, 수 3:6, 수 8:33, 대상 15: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수레는 - 이방 종교의 제사 방식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하나님께서 원치 않는 방식임.

       ⅲ) 기돈(나곤)의 타작마당 앞에서 - 소들이 뜀(삼하 6:6, 대상 13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웃사가 손을 펴서 궤를 붙듦 - 하나님께서 진노하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웃사를 - 쳐서 죽임. (삼하 6:6~7, 대상 13:1~10, 대상 15:2, 민 4:1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베레스 웃사(삼하 6:8, 대상 13:11)

       ⅳ) 다윗이 - 하나님을 두려워함(삼하 6:9, 대상 13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언약궤를 - 가드 사람 오벧에돔①의 집으로 메어감.(삼하 6:10, 대하 13:1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오벧에돔① - 레위인의 성읍 가드-림몬에 사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핫, 고라의 후손(대상 26:1~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삼하 6:10 - 다윗이 - 여호와의 궤를 옮겨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다윗 성 자기에게로 메어 가기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즐겨하지 아니하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가드 사람 오벧에돔①의 집으로 - 메어 간지라

       ⅴ) 하나님께서 - 오벧에돔①의 집과 그 모든 소유에 - 복을 내리심 (삼하 6:11, 대상 13:1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여호와의 궤가 - 가드 사람 오벧에돔①의 집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3달을 있었는데(삼하 6:11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여호와께서 - 오벧에돔①과 그의 온 집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복을 주시니라(삼하 6:11b)

       ⅵ) 다윗이 언약궤를 - 예루살렘으로 옮기다(대상 15:1~16:43, 삼하 6:12~2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다윗이 - 여호와께서 하나님의 궤로 인하여 오벧에돔①의 집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 모든 소유에 복을 주셨다함을 들음.(삼하 6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하나님의 궤를 옮길 준비(대상 15:1~2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다윗이 -   자기 성에서 - 자기를 위하여 궁전을 세우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또 하나님의 궤를 둘 곳을 – 마련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것을 위하여 - 장막을 치고(대상 15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제사장과 레위인들에게 - “여호와의 궤를 - 메어 올리라!.”(대상 15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다윗 - “몸을 성결하게 하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내가 마련한 곳으로 -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궤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메어 올리라!”(대상 15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“즐거운 소리를 크게 내라!.”(대상 15: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노래하는 자들, 비파와 수금과 제금 등 . .(대상 15: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하나님의 궤를 - 예루살렘으로 옮김.(삼하 6:12~22, 대상 15:25~2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오벧에돔①의 집 → 예루살렘 성(삼하 6:12, 대상 16:2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여호와의 궤를 멘 사람들이 - 6 걸음을 가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다윗이 - 소와 살진 송아지로 - 제사를 드리고(삼하 6:1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다윗이 - 여호와 앞에서 힘을 다하여 - 춤을 추는데(삼하 6:14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여호와 앞에서 뛰놀며 춤을 춤.(삼하 6:16, 대상 15:2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그 때에 다윗이 - 베 에봇을 입었더라(삼하 6:14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미갈이 - 그런 다윗을 업신여김.(삼하 6:16, 삼하 6:20, 대상 15:2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하나님께서 미갈에게 - 자식을 주지 않으심(삼하 6:2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삼하 6:23 - 사울①의 딸 미갈이 - 죽는 날까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에게 - 자식이 없으니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16. 미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스라엘 무리는 - 크게 부르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뿔나팔과 나팔을 불며 제금을 치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비파와 수금을 힘 있게 타며(대하 15:2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다윗이 - 번제와 화목제를 드림(삼하 6:17, 대상 16:1~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각 사람에게 - 떡 1덩이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야자열매로 만든 과자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건포도로 만든 과자 1씩을 나누어줌(삼하 6:19, 대상 16: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또 레위 사람을 세워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⒈ 여호와의 궤 앞에서 섬기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⒉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칭송하고 감사하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⒊ 찬양하게 하였으니(대상 16:4)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감사 찬양(대상 16:7~3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43. 레위지파 레위인①~⑤

       ⅶ) 기브온에서 - 번제를 드리다(대상 16:37~4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아삽①과 그의 형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여호와의 언약궤 앞에 있게 하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항상 그 궤 앞에서 섬기게 함.(대상 16:3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오벧에돔①과 그의 형제들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두둔의 아들 오벧에돔③과 호사 - 문지기로 삼음.(대상 16:38, 대상 26:4~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제사장 사독①과 그의 형제 제사장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기브온 산당에서 여호와의 성막 앞에 모시게 함.(대상 16:39~4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항상 아침저녁으로 - 번제단 위에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대상 16:40)

 

⑦ 다윗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약속 - 다윗에 대한 여호와의 말씀과 계시 (삼하 7:1~17, 대상 17:1~2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다윗이 성전을 짓고 싶어 하나 - 하나님은 솔로몬에게 맡기심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‘메시아 언약’

       ⅰ) 다윗이 - 나단①에게(삼하 7:2, 대상 17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다윗 - “나는 - 백향목 궁에 거주하거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여호와의 언약궤는 - 휘장 아래 있도다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삼하 7:2, 대상 17:1)

       ⅱ) 여호와가 - 나단①을 통하여(삼하 7:4, 대상 17:4) - 솔로몬에 대해 말씀하심.(대상 22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다윗의 생전에 지켜질 약속(삼하 7:8~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❶ “네가 나를 위하여 - 내가 살 집을 건축하겠느냐?(삼하 7: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“너는 내가 거할 집을 - 건축하지 말라!.”(대상 17: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너는 군인이라 - 피를 많이 흘렸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내 이름을 위하여 - 전을 건축하지 못하리라(대상 28: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“네 이름을 - 존귀케(위대하게) 만들어 주리라”(삼하 7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“내 백성 이스라엘을 위하여 - 한 곳을 정하여”(삼하 7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❺ “여호와가 너를 위하여 - 집을 짓고”(삼하 7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❻ “여호와가 너를 위하여 - 한 왕조를 세울지라”(대상 17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다윗의 자손들에게 지켜질 약속(삼하 7:12~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“내가 - 네 몸에서 태어날 네 씨를 - 네 뒤에 세워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의 나라를 - 견고하게 하리라”(삼하 7:1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“내가 - 네 뒤에 네 씨 - 곧 네 아들 중 하나를 세우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⇒  그 나라를 견고하게 하리니”(대상 18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“한 아들이 네게서 나리니. . .솔로몬이라 하리니” (대상 22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“그가 - 나를 위하여 - 집을 건축할 것이요 -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나는 - 그의 왕위를 - 영원히 견고하게 하리라.”(삼하 7:13, 대상 17:1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솔로몬 성전(대하 3:1~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“나는 - 그의 아비가 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는 - 내 아들이 되리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가 만일 죄를 범하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내가 - 사람 막대기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인생 채찍으로 - 징계하려니와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삼하 7:14, 대상 22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“내가 영원히 - 그를 - 내 집과 내 나라에 세우리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의 왕위가 - 영원히 견고하리라”(삼하 7:16, 대상 17:14)

 

⑧ 다윗이 죽은 뒤 - 다윗 성에 장사됨.(왕상 2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왕상 2:10 - 다윗이 - 그의 조상들과 함께 누워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다윗성에 장사되니

 

(6) 솔로몬 시대 - 성전을 건축하고 언약궤를 성전 안으로 옮김.

① 성전을 건축(왕상 5:1~18, 대하 2:1~1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스라엘 백성의 - 영적 중심지가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524. 성전①~⑩

       ⅰ) 장소 - 예루살렘( = 여부스)의 모리아 산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모리아 산(창 22:2~13, 대하 3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로 드리던 장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오르난의 타작마당(대상 21:18, 대하 3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아라우나의 타작마당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 솔로몬 성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여호와 - “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- 이삭을 데리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모리아 땅으로 가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내가 네게 일러 준 한 산 거기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를 번제로 드리라!.”(창 22: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솔로몬이 - 예루살렘 모리아 산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548. 솔로몬①~④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그 곳은 - ❶ 전에 여호와께서 - 그의 아버지 다윗에게 나타나신 곳이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다윗이 정한 곳이라(대하 3:1)

 

 

 

http://fmcworld.net/wp-content/uploads/2021/04/28-724x1024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ⅱ) 건축 시작과 완성 시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애굽에서 나온지 - 480년 되는 해.(왕상 6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솔로몬 4년 2월 2일(대하 3:2) ~ 11년 8월(왕상 6:3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7년 6개월 걸림(왕상 6:38) - BC 966년 ~ BC 959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성경은 - 7년이라고 기록됨.(왕상 6:38)

       ⅲ) 성전과 왕궁 건축까지 - 20년 걸림.(왕상 9:10, 왕상 5:5, 왕상 6:1, 왕상 7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성전 7년(왕상 6:38) + 궁전 13년(왕상 7:1) = 20년(왕상 9:10)

 

 

 

 

https://img.cpbc.co.kr/newsimg/upload/2023/03/28/kXk1679987954553.jpg

 

 

 

 

② 다윗성에 있는 언약궤를 - 옮기려 함.(대하 5:2, 왕상 8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이스라엘 장로와 족장들을 - 소집함(대하 5:2, 왕상 8:1)

       ⅰ) 이에 솔로몬이 - 여호와의 언약궤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다윗 성 곧 시온①에서부터 메어 올리고자 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스라엘 장로들과 모든 지파의 우두머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곧 이스라엘 자손의 족장들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다 예루살렘으로 소집하니(대하 5:2)

       ⅱ) 7째 달 절기에 - 이스라엘 모든 사람이 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왕에게로 모이고(대하 5: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7째 달 절기 - ❶ 나팔절     ❷ 대속죄일     ❸ 초막절(대하 5:3, 왕상 8:6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초막절 + 성전 봉헌식(대하 5:3, 왕상 8:65)

 

③ 레위인 제사장들이 - 궤와 회막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성막 안의 모든 거룩한 기구들을 메고 올라감.(대하 5:4~5, 왕상 8:3~4)

       ⅰ) 이스라엘 장로들이 이르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레위 사람들이 - 궤를 메니라(대하 5:4)

       ⅱ) 궤와 회막과 장막 안에 모든 거룩한 기구를 - 메고 올라가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레위인 제사장들이 - 그것들을 메고 올라가매(대하 5:5)

 

 

 

https://encrypted-tbn0.gstatic.com/images?q=tbn:ANd9GcSE-WFHv5x1dTLOJDFBP1ie2Fv56lfdQM8GFWhLx6yAjzPQ-T1RriO44fMwa97xsYG_aBw&usqp=CAU

 

 

 

       ⅲ) 솔로몬 왕과 그 앞에 모인 모든 이스라엘 회중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궤 앞에서 - 양과 소로 제사를 드렸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그 수가 많아 - 기록할 수도 없고 셀 수도 없었더라(대하 5:6)

 

 

 

http://pds22.cafe.daum.net/download.php?grpid=sAko&fldid=1cE8&dataid=3&fileid=5&regdt=20051217092932&disk=17&grpcode=claypotjung&dncnt=N&.jpg

 

 

 

        ⅳ) 언약궤를 - 지성소 그룹들의 날개 아래에 놓음(대하 5:7~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제사장들이 - 여호와의 언약궤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 처소로 메어 들였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곧 본전 지성소 그룹들의 날개 아래라(대하 5: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그룹들이 - 궤 처소 위에서 날개를 펴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궤와 그 채를 덮었는데(대하 5: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그 채가 길어서 - 궤에서 나오므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 끝이 본전 앞에서 보이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밖에서는 보이지 아니하며(대하 5:9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그 궤가 오늘까지 - 그곳에 있으며(대하 5:9b)

 

 

 

http://guseong.org/wp-content/uploads/kboard_attached/5/201909/5d87fb3ae41167813205.pn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ⅴ) 궤 안에는 - 2개의 돌판 외에 아무것도 없었다.(대하 5:10, 왕상 8: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궤 안에는 - 두 돌판 외에 아무것도 없으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것은 -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서 나온 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호와께서 그들과 언약을 세우실 때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모세가 - 호렙에서 그 안에 넣은 것이더라(대하 5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히 9:4를 볼 때 - 광야의 성막이 자주 이동하는 동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만나 항아리와 아론의 싹난 지팡이를 - 언약궤 안에 넣어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동했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히 9:4 - 금 향로와 4면을 금으로 싼 - 언약궤가 있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그 안에 - ❶ 만나를 담은 금 항아리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아론의 싹난 지팡이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언약의 돌판들이 있고

 

 

 

https://1.bp.blogspot.com/-T5iyHSU8Ikg/V75H1P93mKI/AAAAAAAABCc/Y88C4bTguP4EC9q_eDtu2Pe5LJJ6Vf70wCLcB/s280/images.jpe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돌판 밖에 없었던 이유 - 분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❶ 언약궤를 - 블레셋에게 빼앗겼었다.(삼상 4:10~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블레셋 사람들이 쳤더니 - 이스라엘이 패하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살륙이 심히 커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스라엘 보병의 엎드러진 자가 - 3만 명이었으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삼상 4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하나님의 궤는 - 빼앗겼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엘리의 2아들 홉니와 비느하스②는 - 죽임을 당하였더라(삼상 4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많은 이동이 있었다 - 블레셋 안에서도 여러 곳으로 돌아다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. . . → 블레셋(삼상 4:10~11)(에벤에셀(삼상 5:1) →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→ 아스돗(삼상 5:1) → 가드(삼상 5:8) → 에그론(삼상 5:10)) →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→ 벧세메스(삼상 6:15) → . . .

       ⅵ) 이때에는 - 제사장들이 그 반열대로 하지 아니하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스스로 정결하게 하고 - 성소에 있다가 나오매(대하 5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노래하는 레위 사람 - 아삽①과 헤만과 여두둔과 그의 아들들과 형제들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다 세마포를 입고 - 제단 동쪽에 서서 제금과 비파와 수금을 잡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대하 5:12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또 나팔 부는 제사장 120명이 - 함께 서 있다가(대하 5:12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나팔 부는 자와 노래하는 자들이 - 일제히 소리를 내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호와를 찬송하며 감사하는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나팔 불고 - 제금 치고 - 모든 악기를 울리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소리를 높여 - 여호와를 찬송하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르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“선하시도다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의 자비하심이 영원히 있도다!.” 하매(대하 5:13a)

 

 

 

https://coresos-phinf.pstatic.net/a/303h2h/2_934Ud018svc1d5r1nw3qpo5o_gs3tr2.jpg?type=e1280_std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그 때에 - 여호와의 전에 구름이 – 가득한지라(대하 5:13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제사장들이 - 그 구름으로 말미암아 - 능히 서서 섬기지 못하였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는 - 여호와의 영광이 - 하나님의 전에 가득함이었더라(대하 5:1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Ⓔ 그때에 솔로몬이 이르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솔로몬 - “여호와께서 - 캄캄한 데 계시겠다 말씀하셨사오나(대하 6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가 - 주를 위하여 - 거하실 성전을 건축하였사오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주께서 - 영원히 계실 처소로소이다!.”(대하 6:2)

 

④ 솔로몬이 노후에 - ❶ 여러 나라의 신들( = 우상)을 섬기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662. 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예루살렘에도 - 우상을 위한 산당과 제단들을 세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여호와의 진노를 입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통일 이스라엘이 - 남북으로 분열됨.

       ⅰ) 솔로몬의 영적 타락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우상을 섬기는 이방 여인들을 - 사랑하고 그들과 결혼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들의 자녀들에게도 - 영적 타락이 이어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정치적 정략결혼이었으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여호와께서는 - 우상숭배와 이방인과의 결혼을 금하셨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왕상 11:1~2, 신 7:3~4)

 

 

 

https://i.pinimg.com/originals/25/4b/b8/254bb8766b3557eb2837554e99fe6a4e.gif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많은 처첩을 거느림 - 하나님은 많은 아내를 두지 말라 명령 하셨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왕상 11:3, 말 2:14~15, 신 17:1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왕상 11:3 - 왕은 - 후궁이 - 700명이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첩이 - 300 명이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의 여인들이 - 왕의 마음을 돌아서게 하였더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솔로몬이 - 많은 우상을 섬김 - 우상을 섬기는 후궁과 첩들 때문에.(왕상 11:4~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때 - 솔로몬의 나이가 많을 때에(왕상 11:4a)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그의 여인들이 - 그의 마음을 돌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다른 신들을 따르게 하였으므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❶ 왕의 마음이 - 그의 아버지 다윗의 마음과 - 같지 아니하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그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 - 온전하지 못하였으니(왕상 11:4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❸ 솔로몬이 - 여호와의 눈앞에서 - 악을 행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의 아버지 다윗이 여호와를 온전히 따름 같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따르지 아니하고(왕상 11: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이는 -  ❶ 시돈 사람의 - 여신 아스다롯을 따르고(왕상 11:5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❷  암몬 사람의 - 가증한 밀곰을 따름이라(왕상 11:5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❸ 모압의 - 가증한 그모스를 위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예루살렘 앞 산에 - 산당을 지었고(왕상 11:7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❹  또 암몬 자손의 - 가증한 몰록을 위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와 같이 하였으며(왕상 11:7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그가 또 - 그의 이방 여인들을 위하여 - 다 그와 같이 한지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들이 - 자기의 신들에게 - 분향하며 제사하였더라(왕상 11:8)

       ⅱ) 결과 - 여호와께서 진노하심 - 이스라엘을 남북으로 분열시키려 하심.(왕상 11:9~1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솔로몬이 - 마음을 돌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- 떠나므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여호와께서 - 그에게 진노하시니라(왕상 11:9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여호와께서 - 일찍이 2 번이나 - 그에게 나타나시고(왕상 11:9b)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기브온 산당에서(왕상 3:5, 왕상 9: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 일에 대하여 - 명령하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“다른 신을 - 따르지 말라!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셨으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가 - 여호와의 명령을 - 지키지 않았으므로(왕상 11:1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나님은 - 통일 이스라엘을 - 분열시키려 하심.(왕상 11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하나님 - “네게 - 이러한 일이 있었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또 네가 - 내 언약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내가 네게 명령한 법도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지키지 아니하였으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내가 반드시 - 이 나라를 - 네게서 빼앗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네 신하에게 - 주리라.”(왕상 11:1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신하 - 여로보암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분열의 시기 - 다윗을 기억하시고 아들 르호보암 때에(왕상 11:1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10 지파를 빼앗고 - 1 지파를 붙이심.(왕상 11:1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⒈ 남유다 - 르호보암 - 2지파(유다, 베냐민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⒉ 북이스라엘 - 여호보암① 1세 - 나머지 10지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하나님 - “그러나 내가 택한 - 내 종 다윗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내 명령과 내 법도를 - 지켰으므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가 - 그를 위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솔로몬의 생전에는 - 온 나라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의 손에서 - 빼앗지 아니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주관하게 하려니와(왕상 11:3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오직 내가 - 이 나라를 - 다 빼앗지 아니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내 종 다윗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가 택한 예루살렘을 위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1 지파를 - 네 아들에게 주리라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왕상 11:3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나님께서 심판을 선포하시고 - 그것을 바로 시행하셨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이방의 침입과 부하의 반역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⒈ 에돔 사람 하닷을 일으켜 - 솔로몬의 원수가 되게 하심.(왕상 11:14~2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⒉ 수리아의 르손을 일으켜 - 솔로몬의 원수가 되게 하심.(왕상 11:23~2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⒊ 여로보암①을 - 왕이 되게 하려하심.(왕상 11:35~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