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69. 다메섹(Damascus)① - 아람(수리아 = 시리아)의 수도, 아람의 왕들
① 아람의 수도(BC 10~8세기) -
cf) 다메섹 = 다마스쿠스 = 다마스커스 Damascus
❶ 수리아(시리아) - 아람의 헬라식 명칭
※ 아람 = 수리아 = 시리아 = 메소포다미아 = 아람 나하라임
(민 23:7, 삼하 8:5, 왕상 20:20, 대상 1:17, 암 1:5)
❷ 다메섹의 흥망성쇠는 - 아람(수리아)의 흥망성쇠와 같다.
② 4,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님.
※ 선사 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알려짐.
③ 위치 - 물이 풍부한 비옥한 초승달 지역
⇒ 많은 과수원들과 정원들로 유명.(왕하 5:12)
※ 왕하 5:12 - “다메섹 강 아바나와 바르발은
이스라엘 모든 강물보다 낫지 아니하냐?
내가 거기서 몸을 씻으면 - 깨끗하게 되지 아니하랴?”
하고
⇒ 몸을 돌려 분노하여 떠나니
④ 2개의 큰 강이 있었다 - ❶ 아바나강 ❷바르발강(왕하 5:12)
⑤ 성경 속의 왕들
※ 하닷에셀 → 르손 → 벤하닷 1세 → 벤하닷 2세 → 하사엘 →
→ 벤하닷 3세 → 르신
⑥ 아브라함시대 - 다메섹 왼편 호바까지 가서 -
⇒ 그돌라오멜 동맹국으로부터 -
※ 조카이자 처남 롯을 찾아왔다.(창 14:15)
ⅰ) 아브람이 - 그의 조카가 사로잡혔음을 듣고 -
⇒ 집에서 길리고 훈련된 자 - 318 명을 거느리고 -
※ 단까지 쫓아가서(창 14:14)
ⅱ) 그와 그의 가신들이 나뉘어 -
Ⓐ 밤에 - 그들을 쳐부수고 -
⇒ 다메섹 왼편 호바까지 쫓아가(창 14:15)
Ⓑ 모든 빼앗겼던 재물과
자기의 조카 롯과 그의 재물과
또 부녀와 친척을 -
※ 다 찾아왔더라(창 14:16)
⑦ 르손(왕상 11:23~25)
ⅰ) 다윗시대 - 다메섹에 수비대를 둠.(삼하 8:6)
Ⓐ 다윗이 다메섹을 정복함(삼하 8:5~6, 대상 18:3~6)
⇒ 다윗에게 조공을 바침.
ⓐ 다메섹의 아람 사람들이 -
※ 소바 왕 하닷에셀을 - 도우러 온지라
⇒ 다윗이 - 아람 사람 22,000 명을 죽이고(삼하 8:5)
ⓑ 다윗이 - 다메섹 아람에 - 수비대를 두매
⇒ 아람 사람이 - 다윗의 종이 되어 -
※ 조공을 바치니라
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-
※ 여호와께서 이기게 하시니라(삼하 8:6)
Ⓑ 르손이 - 다메섹의 왕이 됨(왕상 11:23b~24)
ⓐ 르손 – 소바왕 하닷에셀의 부하였다.
※ 왕상 11:23b - 그는 - 그의 주인 소바 왕 하닷에셀에게서 -
※ 도망한 자라
ⓑ 다윗이 소바 사람을 죽일 때에 -
❶ 르손이 - 사람들을 자기에게 모으고 -
⇒ 그 무리의 괴수가 되어
⇒ 다메섹으로 가서 살다가
❷ 거기서 - 왕이 되었더라(왕상 11:24)
⇒ 다메섹을 - 아람(수리아)의 수도로 정함.
ⅱ) 솔로몬 시대 – 이스라엘을 대적함.(왕상 11:23~25)
Ⓐ 하나님이 또 - 엘리아다의 아들 르손을 일으켜 -
⇒ 솔로몬의 - 대적자가 되게 하시니(왕상 11:23a)
Ⓑ 솔로몬의 일평생에 - 하닷이 끼친 환난 외에 -
※ 르손이 - 수리아 왕이 되어 -
⇒ 이스라엘을 - 대적하고 미워하였더라(왕상 11:25)
⑧ 벤하닷 1세
ⅰ) 북이스라엘 바아사와 동맹관계에 있었다.
ⅱ) 그러나 유다 왕 아사가 - 성전 곳간과 왕궁 곳간의 금, 은을 보내며 도움을 청함.
⇒ 바아사와의 약조를 깨뜨리고
※ 북이스라엘을 공격함(왕상 15:18~24, 대하 15:19~16:6)
Ⓐ 북이스라엘 바아사가 - 남유다를 치러 옴. (대하 16:1, 왕상 15:17)
Ⓑ 이유 - 바아사가 - 라마를 건축하여 -
⇒ 유다와 왕래하지 못하게 하려했음.(대하 16:1, 왕상 15:17)
Ⓒ 남유다 아사가 - 아람 왕 벤하닷 1세에게 도움을 청함.(대하 16:2, 왕상 15:19)
cf) 아사가 -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
※ 아람 왕 벤하닷 1세를 의지함.
ⓐ 여호와의 성전 곳간과
왕궁 곳간에 남은 - 은금을 모두 가져다가 -
⇒ 벤하닷 1세에게 줌.(대하 16:2, 왕상 15:18)
※ 아사 - “바아사와 세운 약조를 깨뜨려 -
⇒ 그가 나를 떠나가게 하라!.”
(대하 16:3, 왕상 15:19)
ⓑ 벤하닷 1세가 - 이스라엘의 성읍을 침(대하 16:4, 왕상 15:20)
⇒ 바아사가 듣고 - 라마 건축하는 일을 포기하고
※ 그 공사를 그침.(대하 16:5, 왕상 15:21)
ⓒ 남유다 아사가 - 라마를 건축하던 - 돌과 재목을 가져다가 -
⇒ 게바와 미스바를 건축함.(대하 16:6, 왕상 15:22)
ⅲ) 선견자 하나니①의 예언(대하 16:7~9)
Ⓐ 내용 - 아사가 - 하나님을 의지하지도 않고,
순종하지도 않음으로 -
⇒ 전쟁과 질병을 겪게 될 것이다.
Ⓑ 그 때에 선견자 하나니①가 - 유다 왕 아사에게 나와서 -
※ 하나니① - “왕이 - 아람 왕을 의지하고
※ 왕의 하나님 여호와를 – 의지하지 아니하였으므로 -
⇒ 아람 왕의 군대가 - 왕의 손에서 벗어났나이다.
(대하 16:7)
구스 사람과 룹 사람의 군대가 크지 아니하며
말과 병거가 심히 많지 아니하더이까?
그러나 왕이 - 여호와를 의지하였으므로 -
⇒ 여호와께서 왕의 손에 넘기셨나이다.
(대하 16:8)
여호와의 눈은 - 온 땅을 두루 감찰하사
⇒ 전심으로 자기에게 향하는 자들을 위하여 -
※ 능력을 베푸시나니
이 일은 - 왕이 망령되이 행하였은즉 -
⇒ 이 후부터는 - 왕에게 전쟁이 있으리이다.”
(대하 16:9)
Ⓒ 아사가 - 선견자 하나니①를 옥에 가둠(대하 16:10)
ⓐ 아사가 노하여 -
⇒ 선견자를 - 옥에 가두었으니(대하 16:9a)
ⓑ 이는 - 그의 말에 크게 노하였음이며(대하 16:9b)
ⓒ 그 때에 아사가 또 - 백성 중에서 몇 사람을 학대하였더라(대하 16:10)
⑨ 벤하닷 2세 - 벤하닷 1세의 아들
ⅰ) 북이스라엘 아합의 적 - 4차에 걸쳐 싸움.(왕상 20:1~43, 왕상 22:1~39)
cf) 선지자 엘리야와 엘리사가 활동함.
❶ 1차 침입(왕상 20:1~21) - 아합 왕 때(BC 855년경) - 아합 승
❷ 2차 칩입(왕상 20:26~30) - 아합 왕 때(BC 854년경) - 아벡전투 - 아합 승
❸ 3차 침입(왕상 22:1~40) - 아합 왕 전사(BC 851년경) - 길르앗 라못 전투 - 벤하닷 2세 승
❹ 4차 침입(왕하 6:24~7:20) - 여호람①(요람①)왕때 – 여호람① 승
ⅱ) 부하인 나아만 군대 장관의 치료를 위해 - 편지를 써서
⇒ 북이스라엘 여호람①에게 보냄.(BC 860~BC 841년)(왕하 5:1~7)
❶ 나아만의 이야기는 - 이스라엘(여호람①)과 아람(벤하닷 2세) 간에
잠깐의 정전 기간임.(왕하 5:1~17, 왕하 5:5~6)
❷ 나아만은 - 치료된 후 -
⇒ 여호와를 믿는 자가 됨(왕하 5:18)
ⅲ) 1차 사마리아 포위 – 여호람① 때 (왕하 6:9~23)
※ 벤하닷 2세가 - 이스라엘 왕에게 정보를 주는 엘리사를 죽이러 -
⇒ 군사들을 도단에 보냄(왕하 6:9~13)
ⅳ) 2차 사마리아 포위(왕하 6:24~33)
※ 아람 벤하닷 2세의 군대가 - 사마리아성을 포위.
⇒ 포위된 사마리아 성에 기근이 옴.
⇒ 물가가 폭등함.
ⅴ) 병든 벤하닷 2세가 - 엘리사에게 살겠는지 물으러 - 하사엘을 보냄.(왕하 8:7~10)
Ⓐ 때 – 엘리사가 다메섹에 갔을 때에(왕하 8:7a)
Ⓑ 아람 왕 - 벤하닷이 병들었더니
왕에게 들리기를 이르되 -
※ “하나님의 사람이 - 여기 이르렀나이다.”
하니(왕하 8:7b)
Ⓒ 엘리사의 예언
❶ 벤하닷 2세의 병은 나으나 - 죽게 됨.(왕하 8:9~10)
※ 엘리사 - “왕이 반드시 나으리라.
그러나 여호와께서 - 그가 반드시 죽으리라고
내게 알게 하셨느니라”(왕하 8:10)
❷ 하사엘이 왕이 될 것을 예언함(왕하 8:11~14)
※ 왕하 8:11 - 하나님의 사람이
그가 부끄러워하기까지
그의 얼굴을 쏘아보다가 우니
※ 하사엘 - “내 주여 어찌하여 우시나이까?”(왕하 8:12)
엘리사 - “네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행할 모든 악을 - 내가 앎이라.
네가 그들의 성에 - 불을 지르며
- 장정을 칼로 죽이며
- 어린 아이를 메치며
- 아이 밴 부녀를 가르리라.(왕하 8:12)
여호와께서 - 네가 아람 왕이 될 것을 -
※ 내게 알게 하셨느니라”
(왕하 8:13)
ⅵ) 하사엘에 의해 살해됨.(왕하 8:15)
⇒ 관리인 하사엘이 - 아람의 왕이 됨.(왕하 8:15)
※ 왕하 8:15 - 그 이튿날에
하사엘이 - 이불을 물에 적시어
왕의 얼굴에 덮으매 -
⇒ 왕이 죽은지라
⇒ 그가 대신하여 - 왕이 되니라
⑥ 하사엘(왕하 8:15, 왕하 13:22~25)
※ 하나님이 요람①(여호람), 예후, 여호아하스① 때에
북이스라엘을 징벌하기 위해 사용했던 아람 왕.
ⅰ) 하사엘은 엘리사의 예언대로 - 이스라엘을 심하게 괴롭힘.(왕하 8:12)
Ⓐ 요람①(여호람①) 때 - 길르앗 라못에서
아합의 아들 요람①(여호람①)왕을 부상케 함.(왕하 8:28~29)
※ 왕하 8:28 - 그가 아합의 아들 요람①과 함께
길르앗 라못으로 가서 -
※ 아람 왕 하사엘과 더불어 싸우더니 -
⇒ 아람 사람들이 - 요람①에게 부상을 입힌지라
Ⓑ 예후① 때 - 이스라엘에서 요단 동편까지 모두 차지함.(왕하 10:32~33)
cf) 아들 벤하닷 3세 때 - 요아스①에게 다시 뺏김.(왕하 13:14)
Ⓒ 요아스② 때(남유다) - 가드를 점령하고 예루살렘을 위협함.
※ 그러나 요아스②는 - 그를 설득하고 공물(조공)을 바쳐 -
⇒ 물러가게 함. (왕하 12:17~18)
ⅱ) 앗수르 비문 - 하사엘은 - 앗수르 살만에셀 3세의 대적자이고,
강탈자이며,
왕이 되기 위해 자기 왕을 살해함이 - 기록됨.
ⅲ) 앗수르 살만에셀 3세와 다시 충돌.(BC 837년)
ⅳ) 앗수르 아닷니라리 3세에게 굴복 당함.(BC 805~802년)
ⅴ) 사망(BC 797 or BC 796년)
⇒ 아들 벤하닷 3세가 왕이 됨.(왕하 13:3)
⑦ 벤하닷 3세
ⅰ) 왕위 찬탈자 하사엘의 아들.(왕하 13:3)
ⅱ) 유다 왕 아마샤와 이스라엘 왕 여호아하스①와 동시대 사람.
ⅲ) 다메섹이 위에 처함.
cf) 앗수르왕 아닷 나라리 3세가 - 수리아의 다메섹을 위협함.
ⅳ) 벤하닷 3세가 - 북이스라엘을 괴롭힘 –
※ 여호아하스①, 요하스①때.(왕하 13:2~4)
Ⓐ 여호아하스① 때 - 이스라엘을 침략 및 압제 함.(왕하 13:2~3, 왕하 13:22)
cf) 이스라엘이 - 황금소와 바알과 아세라를 섬김.
ⓐ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-
※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-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①의 죄를
따라가고
⇒ 거기서 떠나지 아니하였으므로(왕하 13:2)
ⓑ 결과 - 여호와께서 - 이스라엘에게 노하사 -
⇒ 늘 아람 왕 하사엘의 손과
그의 아들 벤하닷(3세)의 손에 - 넘기셨더니
(왕하 13:3)
ⓒ 아람 왕이 - 이스라엘을 학대하므로 -
⇒ 여호아하스①가 - 여호와께 간구하매
⇒ 여호와께서 들으셨으니
※ 이는 - 그들이 학대받음을 - 보셨음이라(왕하 13:4)
⇒ 여호와께서 구원하심(왕하 13:5)
ⓓ 그러나 여전히 - 여로보암①의 죄를 따르고
- 아세라 목상을 그냥 둠.(왕하 13:6)
⇒ 벤하닷 3세가 - 다시 쳐들어 와 -
※ 많은 백성과 군인을 죽임(왕하 13:7)
Ⓑ 요아스① 때 - 벤하닷 3세가 3 번 패함.
※ 엘리사의 예언대로.(왕하 13:14 이하, 왕하 13:25)
ⓐ 배경 - 앗수르 왕 아닷 나라리 3세가 -
※ 아람(수리아)의 다메섹을 위협하고 있었다.
ⓑ 요아스①는 - 벤하닷 3세를 - 3번이나 쳐서 물리쳤다.(왕하 13:24~25, 왕하 13:15~19)
⇒ 아버지 여호아하스①때 뺏긴 - 성읍들을 회복 함.
(왕하 13:25)
ⓒ 엘리사의 예언이 이루어짐(왕하 13:15~19)
※ 요아스①에게 아람에 대한 예언.
❶ 엘리사 - “화살들을 집으소서!.
땅을 치소서!.”(왕하 13:18a)
❷ 이에 3 번 치고 - 그친지라(왕하 13:18)
❸ 하나님의 사람이 - 노하여 이르되(왕하 13:19) -
※ 엘리사 - “왕이 대여섯 번을 칠 것이니이다.
⇒ 그리하였더면 - 왕이 아람을 진멸하기까지
쳤으리이다.
그런즉 이제는 왕이 - 아람을 - 3 번만 치리이다.”
(왕하 13:19)
'3. 다곤 ~ 디오드레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91. 도미티아누스 - 로마황제, 사도 요한②을 밧모 섬으로 유배시킴 (0) | 2022.11.27 |
---|---|
169. 다메섹(Damascus)② - 앗수르에게 멸망, 바울의 회심과 전도 (0) | 2022.11.26 |
168. 다말③(Tamar③) - 압살롬의 딸, 남유다 1대 왕 르호보암의 부인 (0) | 2022.11.26 |
167. 다말②(Tamar②) - 다윗의 딸, 압살롬의 친 누이, 이복 오빠 암논①에게 강간당함 (0) | 2022.11.26 |
166. 다말① - 유다의 며느리이자, 유다의 아들들 베레스와 셀라의 어머니 (0) | 2022.11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