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1. 도미티아누스 - 로마황제, 사도 요한②을 밧모 섬으로 유배시킴
① 티투스 플라비우스 도미티아누스(Titus Flavius Domitianus)(AD 51년~96년)
② 로마의 황제 – 재위 AD 81년 9월 14일 ~ 96년 9월 18일(암살, 기록말살형)
cf) 성경에는 - 11명의 로마황제(가이사르=가이사)가 나온다.
※ ❶ 아우구스투스(= 옥타비아누스) → ❷ 티베리우스(디베료) → ❸ 칼리큘라 →
→ ❹ 클라우디우스(글라우디오) → ❺ 네로 → ❻ 갈바 → ❼ 오토 →
→ ❽ 비텔리우스 → ❾ 베스파시아누스 → ❿ 티투스 → ⓫ 도미티아누스
③ 가족 –
ⅰ) 아버지 – 베스파니아누스(Vespasianus)
Ⓐ 예루살렘 공격 - AD 70년 5월~9월까지
Ⓑ 이유 – 유대 민족주의 세력인 열심당의 유대독립전쟁을 진압하기 위함.
Ⓒ 맏아들 티투스가 총 지휘를 맡음.
※ 유대 독립전쟁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
이를 평정할 지휘관으로서 임명을 받음.
ⓐ 유대 북부 갈릴리 지역을 점령함.
ⓑ 요셉이라는 유다인 지도자를 포로로 잡음.
❶ 후에 요셉은 로마로 들어가 - 시민권을 얻게 됨.
❷ 로마인으로서의 요세푸스는 - 로마와 유다가 상생할 방법을 제시함.
cf) 요셉(유대 이름) → 요세푸스(로마 이름)
❸ 황제가 된 베스파시아누스는 - 요셉의 도움으로
유다를 수월하게 통치하게 됨.
⇒ 요세푸스는 – 베스파시아누스의 보호를 받으며
편안하게 살게 됨.
Ⓒ 예루살렘 멸망(AD 70년)
Ⓓ 헤롯 아그립바 2세 - AD 70년 유대 전쟁시 로마를 지지함.
ⅱ) 형 – 티투스(Titus)
Ⓐ 67년 -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와 유대인 항쟁진압을 위해 팔레스타인으로 향함.
Ⓑ 69년 - 예루살렘 공략의 사령관이 됨.
Ⓒ 70년 - 예루살렘을 2년 동안의 전쟁 끝에 점령.
Ⓓ 70~73년까지 - 마사다 요새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대인의 반란을 평정.
④ 궁중 교육과 후계자 수업을 받지 못함.
cf) 형 티투스는 - 아버지 베스파니아누스의 신망도 얻고 - 충분한 교육도 받음.
⑤ 아버지와 형이 - 자신에게 다양한 명예를 수여했고 집정관도 6차례나 지내게 함.
ⅰ) 그러나 실질적인 권한은 거의 주지 않았다.
ⅱ) 결과 -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가 죽은 뒤 -
❶ 그때까지 형 티투스가 누렸던 것과 - 똑같은 지위,
- 특히 호민관의 권력 등을 누리고 싶어 함.
❷ 끝내 이루지 못하게 되자 -
⇒ 결국 형과 적대하게 됨.
⑥ 도미티아와 결혼함 - 원로원 아엘리우스 아내였던 도미티아를 강제로 이혼시키고 -
⇒ 자신의 아내로 맞음.
⑦ 형 티투스에 이어 왕이 됨.
ⅰ) 이유 - 티투스는 자식이 없었기에.
ⅱ) 자신의 제위 계승에 어떤 반대도 못하도록 신속히 손을 씀.
⇒ 티투스가 죽기 전에 - 서둘러 로마에 있는 근위대 진영으로 가서
병사들로 하여금 자신을 황제로 선포하게 함.
⇒ 이튿날 9월 14일, 원로원의 정식 승인을 받음.
ⅲ) 권력을 남용, 절대주의적 권한을 수립함.
⑧ 즉위 후에 아내 도미티아에게 - 아우구스타(Augusta)라는 존칭을 부여해줌.
ⅰ) 그러나 도미티아가 배우 파리스와 바람 피웠다는 소문을 듣고 -
⇒ 격노하며
⇒ 파리스를 처형하고 도미티아를 유배시킴.
ⅱ) 그 후 미망인 조카 율리아(Julia, 티투스의딸)를 사랑하여 임신시킴.
⇒ 율리아가 유산 때문에 사망함.
ⅲ) 도미티아를 유배지에서 다시 불렀으나
⇒ 형식적인 결혼생활을 하게 됨.
⑨ 전제 군주적 통치 실시.
ⅰ) 원로원 의원과 장군들의 행동을 통제.
cf) 종신 재무관은 - 국세 조사를 담당하는 동시에
원로원 의원을 추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.
⇒ 이 제도를 활용함.
ⅱ) 기독교 박해 -
❶ 자신을 ‘주님이자, 하느님’이라고 부르게 함.
❷ 그리스도교 성도들을 박해함.
⇒ 심한 공격을 받음.
※ 이유 – 그리스도인들의 황제 숭배 반대, 성찬식, 기도 모임,
여자, 아이, 종 등을 존중하는 기독교 윤리를 배격함.
자신의 지위와 사회적 기반의 위기를 느낌.
❸ 사도 요한②을 – 밧모 섬으로 유배 보냄.
⇒ 요한②이 - 요한계시록 기록함.
Ⓐ 밧모 섬 채석장에서 - 돌을 캐며
하나님께서 주시는 계시의 말씀을 받아 적음.
Ⓑ 채석장 노동 - 십자가형 바로 아래에 해당하는 죄인들에게 내려진
무서운 형벌이었음.
⑩ 포악한 정치를 함.(93~96년)
ⅰ) 93년부터 ‘공포 정치’가 실시되어 죽을 때까지 계속됨.
ⅱ) 편집증과 신경과민에 시달렸음.
⇒ 원로원을 무시하고
⇒ 원로원 의원, 기사, 황실 관리 등을 가리지 않고 공격해 -
※ 처형하거나 추방함.
⑪ 살해됨 - 아내 도미티아(Domitia)의 음모에 의해(96년 9월 18일)
ⅰ) 도미티아가 - 자신의 위험을 느껴 -
⇒ 근위대장 2명과 여러 궁정관리과 결탁하여 살해함.
ⅱ) 원로원은 - 그의 죽음을 기뻐했으나
군대는 - 이에 반발해 도미티아누스의 죽음을 애도함.
ⅲ) 기록 말살형(Damnato Memoriae)에 처해짐.
⇒ 그의 모든 공식 기록은 역사에서 사라짐.
cf) 그러나 사도 바울의 - 13편의 편지들과
사도 요한②의 - 요한복음, 요한 1,2,3서, 요한 계시록은 지금까지 남아 있음.
'3. 다곤 ~ 디오드레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93. 도피성 -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도망하여 피신할 수 있는 성 (0) | 2022.11.28 |
---|---|
192. 도비야 - 암몬 사람, 느헤미야 성벽 재건을 방해 (0) | 2022.11.27 |
169. 다메섹(Damascus)② - 앗수르에게 멸망, 바울의 회심과 전도 (0) | 2022.11.26 |
169. 다메섹(Damascus)① - 아람(수리아 = 시리아)의 수도, 아람의 왕들 (0) | 2022.11.26 |
168. 다말③(Tamar③) - 압살롬의 딸, 남유다 1대 왕 르호보암의 부인 (0) | 2022.11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