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. 가나안(Canaan)③ - 가나안의 종교, 가나안에서 섬기는 우상
(13) 종교와 우상들
※ 성경 역사의 전체적으로 악영향을 끼친 우상들.
⇒ 이스라엘 백성들이 우상을 섬김으로
⇒ 멸망당하기에 이름.
① ‘엘’을 최고의 신으로 믿음.
※ 실제로는 ‘바알’(폭풍의 신 ‘하닷’)과 다곤이 널리 알려진 신임.
② 유명한 신들 - 풍요와 관련이 있다.
⇒ 제사 방법 - 음란한 제사, 인신제사
⇒ 이스라엘 멸망의 원인이 됨.
ⅰ) 남자신 - 바알(Baal) - 비, 바람, 폭풍의 신.(민 22:41, 삿 10:6, 삼상 7:4, 왕상 19:18)
ⅱ) 여자신 - ❶ 아세라(왕상 14:15, 왕하 13:6, 대하 31:1, 사 17:8, 렘 17:2)
❷ 아스다롯( =아낫 = 하늘황후) - 성과 전쟁의 여신임.
(왕상11:5, 렘 44:18~19, 렘 44:25)
ⅲ) 사람 몸, 수소 머리 - 몰렉(Molech)(레 18:21, 왕상 11:5, 왕하 23:10, 렘 49:3, 행 7:43)
③ 우가릿 사본 -
ⅰ) 우가릿에서 발굴 된 사본에는 소, 양, 새들이 신에게 제물로 드려짐.
ⅱ) 인신제사도 행함.
ⅲ) 바알을 노래한 서사시 단편들이 들어 있음.
④ 우상의 종류

ⅰ) 엘(El) - 가나안
Ⓐ 성경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가나안의 신들 중의 최고 우두머리 신.
Ⓑ 우주 만물을 창조한 신으로 여겨짐.
Ⓒ 근본적으로 인간에게 자비와 호의를 베푸는 신으로 알려졌다.
Ⓓ 가족 - ⓐ 아내 – 아세라,
ⓑ 아들 - 얌, 바알, 모트,
ⓒ 딸이자 며느리 - 아스다롯
Ⓔ 성경에서 ‘엘(el)’이 - ⓐ 보통 명사로 쓰일 때 - 주인이나 이방신들 중의 하나를 가리킴.
ⓑ 고유명사로 쓰일 때 - ‘여호와 하나님’을 가리킴.
ⅱ) 바알(Baal) - 가나안
★참고 - 349. 바알
Ⓐ 비, 바람, 폭풍의 신.(민 22:41, 삿 10:6, 삼상 7:4, 왕상 19:18)
Ⓑ 가족 - ⓐ 부모 - 엘(아버지)과 아세라(어머니)
ⓑ 형제 - 얌 - 바다의 신.
모트 - 건기의 신, 죽음과 사후의 신
※ 형제들과 후계자로 인한 경쟁 관계에 있음.
ⓒ 부인 - 아스다롯 - 바알의 누이이자 부인.
- 전쟁과 사랑의 신.
Ⓒ 바알을 죽인 모트를 죽이자 - 바알이 다시 살아나고 -
⇒ 대지가 풍요로워졌다함.
cf) 바알과 모트는 - 매 해마다 싸워서
⇒ 그 해에 이긴 신에 따라 - 풍년 또는 흉년이 온다고 생각함.
ⅲ) 바알브릿(Baal-Berith) - 세겜인들이 섬기던 바알
Ⓐ ‘계약의 신’이란 뜻.
Ⓑ 세겜인들이 섬기던 바알 신.(삿 8:33, 삿 9:4)
Ⓒ 다른 이름 - ‘엘브릿’(삿9:46)
※ 바알을 그들의 주신인 엘로 보았기 때문.
ⅳ) 바알브올(Baal-Peor) - 모압인이 섬기던 바알
Ⓐ ‘시작의 주’란 뜻으로 모압인들이 섬기던 바알 신.(민25:3, 신4:3)
Ⓑ 다른 이름 - ‘브올’
Ⓒ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 후 싯딤에 진을 쳤을 때 이 신을 숭배함.(민25:18)
ⅴ) 바알세붑(Baal-Zebub) - 블레셋인들의 바알
Ⓐ 의미 - ‘파리의 주’
Ⓑ 블레셋인들이 섬기던 바알 신.(왕하1:2~6)
Ⓒ 다른 이름 - ‘바알세불’(신약에서)
※ 의미 - ‘귀신의 왕’이란 뜻
즉, 사단에게 붙여진 별칭임.(마 10:25, 막 3:22, 눅 11:15)
ⅵ) 아세라(Asherah) - 가나안 베니게(두로와 시돈)
Ⓐ 풍요의 신.
Ⓑ 엘의 아내이자 가나안 신들의 모신.
Ⓒ 가족 - ⓐ 남편 - 엘,
ⓑ 아들 - 얌, 바알, 모트
ⓒ 딸이자 며느리 - 아낫(아스다롯)
Ⓓ 아세라는 - 항상 바알과 함께 - 같은 사당에서 숭배됨.
Ⓔ 베니게인(두로와 시돈)과 가나안인들은 - 이 신을 풍요의 신으로 숭배했다.
Ⓕ 남부 아라비아인들은 - 이 신을 달신으로서 숭배하였다.
Ⓖ 이스라엘 백성들은 - 바알, 아스다롯과 함께 아세라를 흔히 숭배하였다.
(왕상 14:15, 왕하 13:6, 대하 31:1, 사 17:8, 렘 17:2)
ⅶ) 아스다롯(Ashtaroth, 아닷) - 가나안의 베니게(두로와 시돈)
Ⓐ 다른 이름 - 하늘 여왕(렘 7:18) = 하늘 황후(렘 44:18~19, 렘 44:25)
= 이쉬타르(바벨론)
= 아프로디테(그리스)
= 비너스(로마)
Ⓑ 가나안인들의 ‘풍요의 여신’인 ‘아스도렛’ (Ashtoreth)의 복수형.
Ⓒ 사랑과 생산의 신.
Ⓓ 가족 - ⓐ 아버지 – 엘, 어머니 - 아세라
ⓑ 남매 - 얌, 바알, 모트
ⓒ 남편 - 바알
Ⓔ 경쟁자 모트를 죽이러 지하에 내려간 바알이 - 모트에게 죽임 당하자 - 지하에 내려와 모트를 죽임.
⇒ 바알이 살아나고 대지는 풍요로워졌다함.
Ⓖ 이 아스다롯은 - 솔로몬에 의해서도 숭배되었다.(왕상11:5)
ⅷ) 몰렉(Molech) - 모압과 암몬(레 18:21, 왕상 11:5, 왕하 23:10, 렘 49:3, 행 7:43)
★참고 - 283. 몰렉
Ⓐ 다른 이름 - ‘몰록’(Moloch 왕상 11:7)
= ‘밀곰’(Milcom 왕상 11:5)
= ‘말감’(Malcham 슥 1:5)
※ 나라마다 부르는 이름만 다를 뿐 같은 신이다.
ex) 몰렉 - 모압, 밀곰 - 암몬
Ⓑ 모양 - ⓐ 수소 머리에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.
ⓑ 팔은 - 제물로 들려질 어린 아이를 받으려고 내밈.
Ⓒ 인신제사 – 어린 아이
ⓐ 예루살렘의 힌놈의 골짜기에서 - 어린 아이를 불태워 희생제물이 되게 함.
(레 20:1, 신 12:31, 겔 16:20~21, 겔 20:31, 렘 32:35,
왕하 23:10, 왕하 16:3, 왕하 17:17, 왕하 21:6)
ⓑ 어린아이의 울음소리가 - 아버지에게 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 -
⇒ 북을 요란하게 울렸다.
ⓒ ‘불 살랐느니라’(겔 16:20) - 인신 제사
ⓓ ‘불에 지나가게 하였느니라’- (렘 32:35, 왕하 16:3)
※ 일종의 정결 의식.
ⓔ 이스라엘에서는 힌놈의 골짜기에서 이루어짐.
※ 힌놈의 골짜기 = 죽음의 골짜기
Ⓓ 하나님은 -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이 신을 비롯하여
모든 우상에게 제사하는 행위를 금하셨다.(레 18:21, 레 20:1~5)
Ⓔ 솔로몬 - 이방 아내들을 위하여 이 신에 대한 신전을 지어줬다.(왕상 11:7)
Ⓕ 므낫세② - 힌놈의 골짜기에 신전을 세웠다.(대하 33:6)
★참고 - 290. 므낫세②
Ⓖ 그러나 요시야가 이를 폐지했다.(왕하 23:10)
Ⓗ 여호와의 선지자들은 - 몰렉을 숭배하는 것을 심하게 비난했다.
(렘 7:26~34, 렘 19:1~13, 겔 20:26~39, 암 5:26)
ⅸ) 그모스(Chemosh) - 모압의 국가신(민 21:29, 렘 48:7, 렘 48:13, 렘 48:46)
Ⓐ 인신제사 - 어린이들을 제물로 바치기도 함.(왕하 3:27)
Ⓑ 솔로몬 - 이방인 아내를 위하여 - 예루살렘에서의 그모스 제사를 허락함.(왕상 11:6~7)
⇒ 이 일로 하나님의 책망을 들음.
⇒ 여로보암①에게 10지파가 넘겨짐.(왕상 11:33)
⇒ 아들 르호보암때 나라가 2개로 나뉘어짐(남유다, 북이스라엘)
Ⓒ 요시야 - 이 산당을 완전히 파괴함.(왕하 23:13)
Ⓓ 예레미야 - 그모스를 섬기면 멸망할 것을 예언.(렘 48:7~13)
ⅹ) 다곤(Dagon) - 블레셋
Ⓐ 해양 민족인 블레셋의 신.(삼상 5:2, 대상10:10)
Ⓑ 모양 - 사람의 머리와 물고기의 몸통을 지님.
Ⓒ 메소포타미아에서는 - 날씨를 관장.
※ BC 2,500년경부터 숭배되었다.
Ⓓ 가나안에서는 - 곡물의 신으로 숭배되었다.
※ 날씨가 곡물 수확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.
Ⓔ 다곤 신상의 이동 -
ⓐ 삼손 시대 - 블레셋 땅의 가사(삿 16:21~30),
ⓑ 사울①과 다윗시대 - 블레셋 땅의 아스돗(삼상 5:1~7)과
- 이스라엘 벧산에 있었음.(대상 10:8~10)
Ⓕ 언약궤를 아스돗 다곤 신전에 두었을 때 - 다음 날 다곤이 엎드러졌음.(삼상 5:2~4)
Ⓖ 사울①과 그 아들들의 시체가 - 벧산 다곤 신전에 걸림(대상 10:10)
ⅺ) 모트(Mot)
Ⓐ 성경에 직접적인 이름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.
Ⓑ 역할
ⓐ 저승의 신 - 죽음과 사후세계를 주관.
※ 바알과 적대 관계에 있다가 - 아버지 엘에게 지하로 쫓겨남.
⇒ ‘사망의 장자’(욥 18:13), ‘무서움의 왕’(욥 18:14) 등으로 불림.
ⓑ 건기의 신 - 초목을 시들과 마르며 황폐하게 함.
Ⓒ 가족 - ⓐ 부모 - 엘(아버지)과 아세라(어머니)
ⓑ 형제 - 얌 - 바다의 신. 바알과 왕을 놓고 경쟁에서 죽임 당함.
- 바알 - 비, 바람, 폭풍의 신.
※ 바알과 모트는 - 매 해마다 싸워서 -
⇒ 그 해에 이긴 신에 따라 풍년 또는 흉년이 온다고 생각함.
ⓒ 누이 - 아낫(아스다롯) - 바알의 누이이자 부인.
- 전쟁과 사랑의 신.
Ⓓ ‘우가리트 토판’에 따르면 - 모트는 바알의 형제이자 대적자.
ⓐ 바알과 경쟁 관계에 있는 바울을 죽였다가 -
⇒ 바알의 아내 아낫(아스다롯)에게 죽임 당함.
ⓑ 아낫(아스다롯)이 - 모트의 시체를 찢어 대지에 묻자 -
⇒ 바알이 다시 살아남.
⇒ 대지가 다시 풍요로워 짐.
ⅻ) 얌(Yam) - 가나안의 신
Ⓐ Yam(Yamm)은 - ‘바다’를 의미하는 고대 셈어에서 유래.
Ⓑ 다른 이름 - 나하르(강) - 홍수와 관련된 재난을 다스림.
Ⓒ 영역 - 강과 바다신
ⓐ 본래 혼돈의 신이었다.
ⓑ 엘에 의해 - 다른 신들에 대한 왕권을 받았다.
⇒ 얌의 통치력이 - 폭력적으로 강하게 변했다.
⇒ 얌이 엘의 아내 아세라를 소유했다.
⇒ 엘과 아세라의 아들 폭풍의 신 바알이 – 얌을 패배킴.
⇒얌이 하늘에서 쫓겨나 바다로 간다.
Ⓓ 결국 얌은 - 바알에게 죽임 당한다
'1. 가나안 ~ 길보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. 가드(Gath) - 블레셋 도시중 한 곳, 다윗이 사울①을 피해 도망간 곳 (0) | 2022.06.04 |
---|---|
3. 가데스(Kadesh), 가데스 바네아(Kadesh Barnea) - 열 두명의 정탐꾼 (0) | 2022.06.01 |
2. 가나안(Canaan)② - 이스라엘의 거주지, 도로, 정치, 직업, 주택, 종교시설 (0) | 2022.05.25 |
2. 가나안(Canaan)① - 이스라엘의 지리적 특징과 기후 (0) | 2022.05.21 |
1. 가나(Cana) - 예수님이 첫 번째 기적을 베푸신 곳 (0) | 2022.05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