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14. 디베료(Tiberius) - 티베리우스, 로마 황제, 빌라도를 이스라엘에 파견
① 티베리우스(BC 42년~AD 37년)
※ 재위 - AD 14년9월 17일 ~ 37년3월16일(병사)
(예수님의 청소년 시기 ~ 십자가 처형과 사도행전 초기)
② 로마의 2번째 황제.
★ 참고 - 2번 - 가이사
245번 - 로마제국①②
❶ 아우구스투스(= 옥타비아누스) → ❷ 티베리우스(디베료) → ❸ 칼리큘라 →
→ ❹ 클라우디우스(글라우디오) → ❺ 네로 → ❻ 갈바 → ❼ 오토 →
→ ❽ 비텔리우스 → ❾ 베스파시아누스 → ❿ 티투스 → ⓫ 도미티아누스
ⅰ) 초대황제 옥타비아누스(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누나의 손자)의 의붓 아들.
ⅱ) 별명 - ‘테러블 티베리우스(TerribleTiberius) - 무서운, 끔직한 티베리우스.
※ 눅 3:1~2 - 디베료 황제가 통치한 지 - 15해
곧 본디오 빌라도가 - 유대의 총독으로,
헤롯이 - 갈릴리의 분봉 왕으로,
그 동생 빌립이 -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의 분봉 왕으로,
루사니아가 - 아빌레네의 분봉 왕으로,
안나스와 가야바가 - 대제사장으로 있을 때에
하나님의 말씀이 -
※ 빈 들에서 - 사가랴 의 아들 요한①에게 임한지라
③ 가족
ⅰ) 아버지 - 클라우디스 네로
❶ 줄리어스 시저(Caesar, Gaius Julius)의 암살 사건에 연루됨
❷ 반 아우구스투스 파
⇒ 가족들을 데리고 도피생활 함.
ⅱ) 의붓 아버지 – 옥타비아누스(= 아우구스투스 = 아구스도)
ⅲ) 어머니 – 리비아
ⅳ) 부인 – ❶ 빕사니아(Vipsania)
❷ 율리아(Julia)
cf) 옥타비아누스의 딸
ⅴ) 동생 – 드루수스
ⅵ) 양자 - 칼리큘라(AD 37~41)
④ 어린 시절
ⅰ) 가족들이 줄이어스 카이사르(Caesar, Gaius Julius)의 암살 사건에 연루됨.
cf) 아버지 - 클라우디스 네로
❶ 줄리어스 시저(Caesar, Gaius Julius)의 암살 사건에 연루됨
❷ 반 아우구스투스 파
⇒ 가족들과 함께 도피생활을 함.
⇒ 그런 도중에 자주 생명의 위협을 느낌.
ⅱ) 이후 그의 어머니 리비아가 - 친아버지와 이혼 후.
⇒ 옥타비아누스와 재혼함.
⇒ 티베리우스는 옥타비아누스의 양아들이 됨.
Ⓐ 당시 어머니 리비아는 - 3살 된 티베리우스가 있었고
그의 동생(드루수스)을 임신 중이었음.
Ⓑ 이들은 어머니와 함께 살 수 없었다 -
⇒ 친아버지가 죽자 - 황궁에 들어가 살게 됨.
⑤ 23세 - ❶ 빕사니아(Vipsania)와 결혼
❷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정복사업을 도움.
※ 점령군의 지도자로 많은 공을 세움.
⑥ 29세 - 집정관 자리에 앉게 됨.(BC 13년)
⑦ 아내 빕사니아와 이혼.
⇒ 옥타비아누스의 딸 율리아(Julia)와 결혼
ⅰ) 이유 - 어머니 리비아와 양아버지 옥타비아누스(아우구스투스)의 명령때문에
ⅱ) 옥타비아누스는 - 의붓아들 티베리우스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않으려고 했음.
Ⓐ 그러나 옥타비아누스와 리비아 사이에 - 아이가 생기지 않음.
⇒ 왕위를 물려줄 아들이 없게 됨.
cf) 옥타비아누스는 외동딸 율리아만 있었다.
Ⓑ 그래서 딸 율리아를 - 친구 아그리파와 결혼시킴.
※ 그러나 - ❶ 딸 율리아는 - 미망인이 되고
❷ 외손자 2명 - 모두 죽음.
Ⓒ 결과 - 티베리우스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조건
※ 티베리우스가 미망인이 된 자신의 딸 율리아와 결혼하는 것.
ⓐ 후에 율리아는 - 간통죄에 걸려 -
⇒ 아버지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유배형을 받음.
ⓑ 티베리우스는 - 다시는 결혼을 하지 않음.
cf) 이유 - 가정에 대한 상처 -
❶ 의붓아버지 아래서 외로웠다.,
❷ 사랑하는 아내 빕사니아와 강제 이혼해다.
⇒ 평생 아내를 잊지 못했다고 함.
⇒ 테러블(terrible)티베리우스를 만든 원인이기도 함.
⑧ 황제 즉위 - AD 14년9월 17일 ~ 37년3월16일
※ 예수님의 청소년 시기 ~ 십자가 처형과 사도행전 초기
ⅰ) 옥타비아누스(=아구스도 = 아우구스투스)에 대한 개혁안 지지.
ⅱ) 지나친 사치와 향락을 억제함.
⇒ 가난한 자들에게 식량을 공급.
ⅲ) 공화정치의 전통을 존중함.
⇒ 제국통치를 잘 유지함.
ⅳ) 그러나 훗날에는 - 공포정치를 실시 함.
⑨ AD 26년 - 카프리(Capri) 섬에서 은둔 함.
cf) 카프리섬 – 황제들의 별장이 있다.
이유 - 사람들과 정치인들에 실망과 환멸을 느낌.
❶ 근위병 세야누스(Sejanus)에게 - 권력의 많은 부분을 위임하고
⇒ 로마를 떠나 - 카프리(Capri) 섬에서 은둔 함.
❷ 하지만 세야누스의 역모 행위가 밝혀짐.
⇒ 티베리우스는 그를 교수형에 처한다.
⑩ 티베리우스 황제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.
ⅰ) 긍정적 평가
※ 옥타비아누스(아우구스투스)의 개혁안을 잘 유지하며 더욱 확장해 감.
Ⓐ 공화정과 민주원리를 존중했음.
❶ 자신에게 주어지려했던 - 수많은 칭호와 명예를 사양함.
❷ 자신에 대한 비난연설도 - 기꺼이 받아들임.
Ⓑ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정책들로 - 국가 재정을 풍요롭게 함.
⇒ 이는 그를 - 위대한 황제로 만들었다.
ex) 전차 경기대회, 검투사 경기를 중지시킴.
Ⓒ 정복한 모든 나라들에 공정한 법이 시행됨.
Ⓓ 제국 전체에 퍼진 교역망을 통해 - 물질적인 부와 군사력이 축적됨.
ⅱ) 부정적 평가
Ⓐ 반대자에 대한 - 잔인한 처벌과 제거
Ⓑ 문서 정책 - 카프리 섬에서 은둔함.
⇒ 직접 만나지 못하고 오직 문서로만 보고하고 명령을 받음.
⑪ 유대총독 ‘본디오 빌라도’(폰티우스 필라투스)를 파견함.
ⅰ) 본디오 빌라도는 - 유대를 다스리기가 매우 힘들었다.
⇒ 심리적 압박이 컸음
ⅱ) 이유 -
❶ 분봉왕 헤롯, 예수살렘 성전을 장악하고 있는 대제사장들,
바리새파와 사두개파, 산헤드린들의 세력 다툼과 시기와 질투 . . .
❷ 민란이 발생되면 - 카프리 섬으로 보고가 들어갈 것임.
⇒ 두려움을 느낌.
Ⓐ 당시 티베리우스는 – 카프리 섬에서 은둔하며 문서 정책을 함.
Ⓑ 단점 - 얼굴을 보고 의논할 수 없고
오직 문서로만 보고하고 명령을 받음.
⇒ 이러한 정치 상황을 - 유대의 대제사장들 세력과
갈릴리의 분봉왕 헤롯이 -
※ 예수님의 십자가형에 이용 함.
⇒ 결국 빌라도는 - 예수님을 심문하고 십자가형을 내림.
ⅲ) 세례요한①이 요단강에서 ‘회개의 세례’ 줄 때의 시기.(마 1:4)
※ 막 1:4 - 세례 요한①이 광야에 이르러
※ 죄 사함을 받게 하는 - ‘회개의 세례’를 전파하니
막 1:9 - 그 때에 예수께서
갈릴리 나사렛으로부터 와서
⇒ 요단 강에서 - 요한①에게 - 세례를 받으시고
ⅳ) 예수님이 -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셨다.
※ 막 15:15 - 빌라도가 - 무리에게 만족을 주고자 하여 -
⇒ ❶ 바라바는 - 놓아 주고
❷ 예수는 - 채찍질하고
※ 십자가에 못 박히게 - 넘겨 주니라
ⅴ) 본디오 빌라도를 – 지방으로 추방시킴.(AD 36년)
※ 이유 - 10년간 총독의 직임을 수행하면서
유대인들을 잔인하게 대했다는 이유로.
⑫ 죽음(37년3월16일)
⑬ 칼리큘라 가이사가 - 왕위를 물려 받음(AD 37~41)
cf) 칼리큘라 - 디베료(티베리우스)의 양자.
'3. 다곤 ~ 디오드레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6. 딤나②(Timnah②) - 유다 지파의 북쪽 땅, 삼손의 아내 딤나 여인 (0) | 2022.12.13 |
---|---|
215. 딤나①(Timnah①) - 유다 남쪽 성읍, 유다 며느리 다말①의 고향 (0) | 2022.12.13 |
213. 디베랴(Tiberias) - 티베리아스, 갈릴리 바다 근처의 도시 (0) | 2022.12.12 |
212. 디모데 후서② -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에베소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 (0) | 2022.12.10 |
212. 디모데 후서① - 디모데 후서 특징과 개략 (0) | 2022.1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