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13. 디베랴(Tiberias) - 티베리아스, 갈릴리 바다 근처의 도시
① 갈릴리 바다 서쪽에 위치한 도시.
★ 참고 - 25번 - 갈릴리①②
② 바다와 산맥으로 둘러싸여 자연경관이 아름다움.
⇒ 갈릴리 지역의 유명한 관광지가 됨.
③ 헤롯 안디바(안티파스)가 세움.
ⅰ) 티베리우스 황제의 이름을 따라 -
⇒ ‘디베랴(티베리아스)’로 지음.(AD 16~22년경)
cf) 이유 - 헤롯의 친로마 정책 때문에.
ⅱ) 디베료(티베리우스) - 재위 AD 14년9월 17일 ~ 37년3월16일
cf) 예수님의 청소년 시기 ~ 십자가 처형과 사도행전 초기의 황제
Ⓐ 로마의 2번째 황제.
Ⓑ 초대황제 옥타비아누스(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누나의 손자)의 의붓 아들.
Ⓒ 별명 - ‘테러블 티베리우스’ - 무서운, 끔직한 티베리우스.
Ⓓ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정복사업을 도움.
Ⓔ ‘본디오 빌라도’(폰티우스 필라투스)를 유대총독으로 파견함.
ⓐ 본디오 빌라도는 - 유대를 다스리기가 매우 힘들었다.
※ 심리적 압박이 컸음
ⓑ 이유 -
❶ 분봉왕 헤롯, 예수살렘 성전을 장악하고 있는 대제사장들,
바리새파와 사두개파, 산헤드린들 . . . 때문.
❷ 민란이 발생되면 - 카프리 섬으로 보고가 들어가므로
ⓒ 당시 티베리우스는 - 카프리섬에서 은둔하고 있었다.
⇒ 문서 정책을 함.
※ 얼굴을 맞대고 설명하지 못하고
오직 문서로만 보고함.
❶ 이러한 정치 상황을 - 유대의 대제사장들 세력과 갈릴리의 분봉왕 헤롯이
예수님의 십자가형에 이용 함.
❷ 결국 빌라도는 - 예수님을 심문하고 십자가형을 내림.
④ 사도 요한② - 갈릴리 바다를 ‘디베랴’의 바다(호수)로 기록함.
❶ 이유 – 이방인이 복음서를 쉽게 이해하도록(요 6:1, 요 21:1)
❷ 사도 요한 – 누가복음, 사도행전 저자
※ 헬라인 대상의 복음을 기록함.
※ 요 6:1 - 그 후에 예수께서
디베랴의 갈릴리 바다 건너편으로 가시매
※ 요 21:1 - 그 후에 예수께서
디베랴 호수에서
또 제자들에게 자기를 나타내셨으니
나타내신 일은 이러하니라
⑤ 구약시대 - 유대인들이 멸시하는 땅이었다 - 갈릴리도 자체를 멸시함.
※ 이유 - 이방 문화 + 이방 종교
⇒ ❶ 도덕적으로 부패한 도시
❷ 헬라적인 도시
❸ 이방인 혼혈의 도시였음.
(앗수르 유수 이후 ~ 신약시대에 까지)
ⅰ) 북이스라엘 점령 – 베가 때 – 앗수르 디글랏빌레셀 3세가 북이스라엘을 약탈하며
많은 사람들을 앗수르로 포로로 잡아감.(왕하 15:29)
※ 왕하 15:29 - 이스라엘 왕 베가 때에
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이 와서
이욘과 아벨벳 마아가와 야노아와 게데스와 하솔과
길르앗과 갈릴리와 납달리 온 땅을 - 점령하고
⇒ 그 백성을 사로잡아 - 앗수르로 옮겼더라
Ⓐ 1차 앗수르 유수 - 베가 때 - 디글랏 빌레셀 3세(BC 732년)
❶ 갈릴리와 샤론평원과 길르앗을 - 뺏김.(BC 733~722년)
❷ 북이스라엘 사마리아 - 백성이 끌려감.(왕하 15:29~30)
❸ 므나헴 왕 때 부유층 사람들이 - 은 50세겔씩 바쳤다.
❹ 이스라엘과 유다에게 - 조공을 바치게 함.(왕하 15:29, 왕하 16:9)
Ⓑ 2차 앗수르 유수 - 호세아① 때 – 사르곤 2세에게
❶ 살만에셀 5세 - 사마리아를 3년 동안 에워쌈.(BC 724년) (왕하 17:3~5)
❷ 사르곤 2세 - 북이스라엘이 멸망.(BC 721년) ⇒ 혼혈정책 실시함.
⒈ 북이스라엘 사마리아 사람들이 끌려감.(왕하 17:6)
※ 약 27,000명 이상을 사마리아로부터 강제 이주시킴.
⇒ 결국 사마리아는 혼혈민족이 되었다.
⒉ 앗수르 백성들이 사마리아에 들어와서 살게 됨.(왕하 17:24~25)
Ⓒ 갈릴리 지방(스불론, 납달리 지역)은 - 강제 이주 및 이방인들의 이주 등의 역사로 인해 -
⇒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에게 경멸을 받음.
(마 4:15, 사 9:1, 마 4:13~16, 요 1:46, 요 7:40~41, 요 7:52, 요 4:9)
❶ 그래서 율법이 잘 지켜지지 않아 순수한 유대인들에게 멸시 당함.(요 1:46, 요 7:52)
❷ 육체의 혼합 = 문화혼합 = 영적혼합(영적간음)
※ 마 4:15 - 스불론 땅과 납달리 땅과 요단 강 저편 해변 길과
이방의 갈릴리여!.
※ 사 9:1 - 전에 고통 받던 자들에게는 흑암이 없으리로다
옛적에는 여호와께서
스불론 땅과 납달리 땅이 - 멸시를 당하게 하셨더니
후에는 해변 길과 요단 저쪽 이방의 갈릴리를 -
※ 영화롭게 하셨느니라
※ 요 1:46 - 나다나엘이 이르되 -
※ “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느냐?”
빌립①이 이르되 - “와서 보라!” 하니라
※ 요 7:52 - 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-
※ “너도 갈릴리에서 왔느냐?
찾아 보라!. 갈릴리에서는 - 선지자가 나지 못하느니라”
하였더라
※ 요 7:40 - 이 말씀을 들은 무리 중에서
어떤 사람은 - “이 사람이 참으로 그 선지자”라 하며
요 7:41 - 어떤 사람은 - “그리스도”라 하며
어떤 이들은 - “그리스도가 어찌 갈릴리에서 나오겠느냐?”
※ 요 4:9 - 사마리아 여자가 이르되 -
※ “당신은 유대인으로서
어찌하여 사마리아 여자인 나에게 - 물을 달라 하나이까?”
하니
이는 유대인이 - 사마리아인과 - 상종하지 아니함 이러라
⑥ 신약시대 – 로마의 지배를 받음.
ⅰ) AD 44년까지 - 헤롯 안디바(안티파스)와 헤롯 아그립바 1세가 통치 (행12:1~23)
Ⓐ 예수님이 이 지역을 방문한 기록은 없다.
Ⓑ 예수님이 오병이어의 이적 후 가버나움으로 가실 때
※ 이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배를 타고 따라왔다(요 6:23~24)
※ 요 6:23 - (그러나 디베랴에서 배들이 주께서 축사하신 후
여럿이 떡 먹던 그 곳에 가까이 왔더라)
요 6:24 - 무리가 거기에 예수도 안 계시고
제자들도 없음을 보고
곧 배들을 타고 예수를 찾으러 가버나움으로 가서
ⅱ) AD 59년 - 아그립바 2세가 통치(행 25:13~26:29)
ⅲ) AD 70년 이후에는 랍비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.
ⅳ) AD135년 – 유대인들이 바르 코크바의 반란을 일으킴.
⇒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에서 추방당함.
⇒ 유대인들은 디베랴로 이주하여
⇒ 디베랴가 유대문화의 새로운 중심지가 됨.
ⅴ) AD150년경 –
Ⓐ 산헤드린이 디베랴로 옮겨짐.
※ 세포리스 → 디베랴
cf) 산헤드린 - 유대 통치 기관
Ⓑ 유대교의 여러 랍비 학파가 이곳에서 활동.
Ⓒ 탈무드 학교, 히브리 족장들의 서부 재판소 세움.
Ⓓ ‘팔레스타인 탈무드’ 편찬함.
Ⓔ 구약 맛소라 원본의 연구와 모음부호 만듦.
⑦ 콘스탄틴 황제가 교회를 지음.(AD 306~337년)
cf) 콘스탄틴 황제 - 기독교를 국교로 공인.
여러 지역에 교회를 지었다.
⑧ 아랍 사람들에게 빼앗겼다가 십자군들에 의해 회복됨.(AD 637년)
⑨ 살라딘에게 빼앗겼다가 - 전쟁과 지진으로 무너짐.(AD 1187년)
⇒ 잊혀짐.
⑩ 다시 많은 유대인 랍비들이 몰려 옴.(18~19C)
⇒ 다시 유대교육의 중심지가 됨.
⇒ 유대인의 4대 성지 중 하나가 됨.
❶ 예루살렘 ❷ 헤브론 ❸ 사펟(쯔파트) ❹ 디베랴
⑪ 영국의 지배를 받음 - 1차 세계대전 이후
⑫ 영국으로부터 독립(1948년)
⇒ 독립하여 이스라엘 국토가 됨.
'3. 다곤 ~ 디오드레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5. 딤나①(Timnah①) - 유다 남쪽 성읍, 유다 며느리 다말①의 고향 (0) | 2022.12.13 |
---|---|
214. 디베료(Tiberius) - 티베리우스, 로마 황제, 빌라도를 이스라엘에 파견 (0) | 2022.12.12 |
212. 디모데 후서② -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에베소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 (0) | 2022.12.10 |
212. 디모데 후서① - 디모데 후서 특징과 개략 (0) | 2022.12.08 |
211. 디모데 전서② - 디모데 전서 내용, 바울이 디모데에게 주는 교훈들 (0) | 2022.1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