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55. 룻기① - 룻기 개론 및 내용, 모압여인 룻이 시어머니 나오미와 베들레헴으로
(1) 저자 - 모름.
※ 룻기에는 저자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다.
cf) 탈무드에서는 - 사무엘이 저자라고 하나 확실치 않음.
70인역과 불가타역에는 - 사사기의 부록으로 취급됨.
※ 70인역 - 프톨레미 2세의 명령에 따라 히브리어로 기록된
(LXX)구약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것.
불가타역 - 제롬(히에로니무스)에 의해 번역된 라틴어 성경.
(2) 기록 연대 - 배경은 - 사사시대나(룻 1:1)
※ 기록연대는 그 이후이다.
(3) 특징 -
➀ 여자가 주인공인 책임.
ex) 에스더, 드보라 처럼
➁ 이방인 모압 여인이 주인공.
cf) 유대인들은 이방인들을 경명함.
ex) 모압, 암몬, 사마리아 . . .
③ 그럼에도 불구하고 - 맥추절인 오순절 때 - 유대인 회당에서 낭독됨.
※ 구약중 성문서에 포함 된 메길롯의 1 번째 책.
cf) 메길롯(오축) - ‘파피루스로 된 두루마리’
※ 매년 절기마다 읽혀짐.
❶ 아가서(유월절)
❷ 룻기(오순절)
❸ 예레미야애가
※ 성전함락을 추모하기 위함( 아빕월 구일 금식일)
❹ 전도서(장막절)
❺ 에스더서(부림절)
④ 배경은 - 전쟁이 많은 사사시대이나
※ 룻기는 - 전원적이고 평화로운 일상의 이야기이다.
⇒ 나오미, 룻, 보아스의 삶을 통해 – 인간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줌.
⑤ 수혼법에 따른 - 결혼 문화를 알 수 있다.(신명기 25:5~10)
cf) 그 당시 살아가기 힘든 과부들을 - 구제하기 위한 방법
※ 수혼제 = 수혼법 = 계대결혼 = 형사취수제
※ 신 25:5 - 형제들이 함께 사는데
그 중 하나가 - 죽고 -
※ 아들이 없거든 -
그 죽은 자의 아내는 - 나가서 타인에게 시집가지 말 것이요
⇒ 그의 남편의 형제가 - 그에게로 들어가서 -
※ 그를 맞이하여 - 아내로 삼아 -
⇒ 그의 남편의 형제 된 의무를 - 그에게 다 행할 것이요
신 25:6 - 그 여인이 낳은 - 첫 아들이 - 그 죽은 형제의 이름을 잇게 하여 -
⇒ 그 이름이 - 이스라엘 중에서 -
※ 끊어지지 않게 - 할 것이니라
신 25:7 - 그러나 그 사람이 만일 - 그 형제의 아내 맞이하기를 -
※ 즐겨하지 아니하면 -
⇒ 그 형제의 아내는 - 그 성문으로 장로들에게로 나아가서 말하기를 -
※ “내 남편의 형제가 - 그의 형제의 이름을
이스라엘 중에 잇기를 싫어하여 -
⇒ 남편의 형제 된 의무를 - 내게 행하지 아니하나이다.”
할 것이요
신 25:8 - 그 성읍 장로들은 - 그를 불러다가 말할 것이며
그가 이미 정한 뜻대로 말하기를 -
※ “내가 - 그 여자를 맞이하기를 - 즐겨하지 아니하노라!.”
하면
신 25:9 - 그의 형제의 아내가 - 장로들 앞에서 - 그에게 나아가서
⇒ 그의 발에서 - 신을 벗기고
⇒ 그의 얼굴에 - 침을 뱉으며 이르기를 -
※ “그의 형제의 집을 세우기를 - 즐겨 아니하는 자에게는
※ 이 같이 할 것이라!.” 하고
신 25:10 - 이스라엘 중에서 그의 이름을 -
⇒ ‘신 벗김 받은 자의 집’이라 - 부를 것이니라
(4) 기록 목적 - 여러 가지 견해
※ ❶ 번이 유력하다.
⇒ 룻기 뒷부분에 - 다윗의 계보가 따로 나옴(룻 4:13~22)
❶ 다윗의 가계도를 밝히기 위해.(?)
cf) 다윗의 가계도는 - 예수그리스도의 가계도와 같다.
⒈ 하나님께서는 - 육체의 할례가 아닌
마음의 할례를 받은 사람을 사용하신다.
⇒ 비록 이방인이거나 천한 자일지라도.
⒉ 하나님의 나라는 – 영적 계보로 흘러 간다.
※ 유다①(며느리 다말①) → 베레스 → 헤스론 → 람 → 암미나답 → 나손 →
→ 살몬(라합) → 보아스(룻) → → 오벳 → 이새 → 다윗(밧세바) →
→ 솔로몬 → 르호보암 → . . . . →
→ . . . . . 요셉② → 예수님(마 1:5~16)
❷ 이방인에 대한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강한 배타성에 반박하기 위해.(?)
❸ 자녀가 없는 미망인의 입장을 옹호하기 위해.(?)
❹ 있었던 이야기를 그대로를 쓰기 위해.(?)
(5) 내용
① 나오미와 룻(룻 1:1~22)
ⅰ) 엘리멜렉과 그 가족의 모압 이주(룻 1:1~5)
ⅱ) 나오미와 룻이 베들레헴①으로 오다(룻 1:6~22)
② 룻이 보아스를 만나다(룻 2:1~23)
③ 타작마당에서의 룻과 보아스 - 룻이 보아스와 가까워지다(룻 3:1~18)
④ 룻이 보아스와 결혼하다(룻 4:1~12)
⑤ 다윗의 계보(룻 4:13~22)
(6) 세부 내용
① 나오미와 룻(룻 1:1~22)
ⅰ) 엘리멜렉과 그 가족의 모압 이주(룻 1:1~5)
※ 베들레헴① → 모압
★참고 - 281. 모압
282. 모압자손
Ⓐ 사사들이 치리하던 때에 - 그 땅에 흉년이 드니라(룻 1:1a)
Ⓑ 유다 베들레헴①에 한 사람이 - 그의 아내와 두 아들을 데리고
- 모압 지방에 가서 거류하였는데(룻 1:1b)
Ⓒ 가족 - 그 사람의 이름은 - 엘리멜렉이요
- 그의 아내의 이름은 - 나오미요
- 그의 2 아들의 이름은 - 말론과 기룐이니(룻 1:2)
Ⓓ 나오미의 남편 엘리멜렉이 - 죽고
⇒ 나오미와 그의 2 아들이 - 남았으며(룻 1:3)
Ⓔ 그들은 - 모압 여자 중에서 - 그들의 아내를 맞이하였는데 -
❶ 하나의 이름은 - 오르바요
❷ 하나의 이름은 - 룻이더라(룻 1:4a)
Ⓕ 그들이 거기에 거주한 지 - 10 년쯤에(룻 1:4b)
⇒ 말론과 기룐 2 사람이 다 - 죽고
⇒ 그 여인은 - 2 아들과 - 남편의 뒤에 남았더라(룻 1:5)
ⅱ) 나오미와 룻이 - 베들레헴①으로 오다(룻 1:6~22)
Ⓐ 모압에 기근이 옴.
⇒ 시어머니 나오미가 - 베들레헴①으로 돌아가려 함(룻 1:6)
ⓐ 그 여인이 - 모압 지방에서 -
※ “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을 돌보시사 -
⇒ 그들에게 - 양식을 주셨다.”
함을 듣고
⇒ 이에 2 며느리와 함께 일어나 - 모압 지방에서 돌아오려 하여
(룻 1:6)
ⓑ 있던 곳에서 나오고 -
⇒ 2 며느리도 - 그와 함께 하여 -
※ 유다 땅으로 - 돌아오려고 길을 가다가(룻 1:7)
Ⓑ 며느리 룻과 오르바에게 - 각각의 고향으로 돌아가 재혼하라고 함.(룻 1:8~9)
※ 나오미가 - 2 며느리에게 이르되 -
※ 나오미 - “너희는 각기 - 너희 어머니의 집으로 돌아가라!.
너희가 - 죽은 자들과 나를 - 선대한 것 같이
※ 여호와께서 - 너희를 선대하시기를 원하며(룻 1:8)
여호와께서 - 너희에게 허락하사 -
⇒ 각기 남편의 집에서 - 위로를 받게 하시기를
원하노라.”
하고(룻 19a)
Ⓒ 그들에게 입 맞추매 -
⇒ 그들이 - 소리를 높여 울며(룻 1:9b)
나오미에게 이르되 -
※ 며느리들 - “아니니이다.
우리는 어머니와 함께 - 어머니의 백성에게로
돌아가겠나이다.”(룻 1:10)
나오미 - “내 딸들아!. 돌아가라!.
너희가 어찌 나와 함께 가려느냐?
내 태중에 - 너희의 남편 될 아들들이 아직 있느냐?(룻 1:11)
cf) 수혼제 = 수혼법 = 계대결혼 = 형사취수제
※ 한 남편이 죽으면 - 그 형제들이 남은 미망인과
결혼하여 기업을 이어가게 함.
내 딸들아!. 되돌아 가라!
나는 늙었으니 - 남편을 두지 못할지라.
가령 내가 - 소망이 있다고 말한다든지
- 오늘 밤에 남편을 두어 아들들을 낳는다
하더라도(룻 1:12)
너희가 - 어찌 그들이 자라기를 기다리겠으며
- 어찌 남편 없이 지내겠다고 결심하겠느냐?
내 딸들아!. 그렇지 아니하니라.
여호와의 손이 - 나를 치셨으므로 -
⇒ 나는 - 너희로 말미암아 - 더욱 마음이 아프도다!.”
하매(룻 1:13)
Ⓓ 그들이 - 소리를 높여 다시 울더니 -
❶ 오르바는 - 그의 시어머니에게 입 맞추되
❷ 룻은 - 그를 붙좇았더라(룻 1:14)
Ⓔ 룻이 - 시어머니 나오미를 따라가겠다고 함.(룻 1:15~18)
⇒ 나오미가 - 룻이 자기와 함께 가기로 굳게 결심함을 보고 -
※ 그에게 말하기를 - 그치니라(룻 1:18)
※ 나오미 - “보라!.
네 동서는 - 그의 백성과
- 그의 신들에게로 - 돌아가나니 -
※ 너도 - 너의 동서를 따라 – 돌아가라!.”(룻 1:15)
룻 - “내게 - 어머니를 떠나며
- 어머니를 따르지 말고 - 돌아가라
※ 강권하지 마옵소서!.
❶ 어머니께서 가시는 곳에 - 나도 가고
❷ 어머니께서 머무시는 곳에서 - 나도 머물겠나이다.
❸ 어머니의 백성이 - 나의 백성이 되고
❹ 어머니의 하나님이 -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(룻 1:16)
❺ 어머니께서 죽으시는 곳에서 - 나도 죽어 거기 묻힐 것이라
만일 내가 죽는 일 외에 - 어머니를 떠나면 -
⇒ 여호와께서 내게 - 벌을 내리시고
더 내리시기를 원하나이다”.(룻 1:17)
Ⓕ 베들레헴①에 도착함 - 며느리 룻과 함께(룻 1:18~22)
ⓐ 때 - 보리 추수 시작할 때(룻 1:22b)
※ 룻 1:22 - 나오미가 모압 지방에서
그의 며느리 모압 여인 룻과 함께 돌아왔는데
※ 그들이 - 보리 추수 시작할 때에 -
⇒ 베들레헴①에 이르렀더라
ⓑ 이에 그 두 사람이 - 베들레헴까지 갔더라(룻 1:19a)
ⓒ 베들레헴①에 이를 때에 -
⇒ 온 성읍이 - 그들로 말미암아 떠들며 이르기를 -
※ 사람들 - “이이가 나오미냐?”(룻 1:19b)
나오미 - “나를 - ‘나오미’라 부르지 말고
cf) 나오미 - 나의 기쁨, 즐거운 자
나를 - ‘마라’라 부르라!.
cf) 마라 - 쓰다
※ 이는 - 전능자가 -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음이니라.
(룻 1:20)
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-
⇒ 여호와께서 내게 - 비어 돌아오게 하셨느니라
❶ 여호와께서 - 나를 징벌하셨고
❷ 전능자가 - 나를 괴롭게 하셨거늘 -
※ 너희가 어찌 나를 - ‘나오미’라 부르느냐?”
(룻 1:21)
'4. 라기스 ~ 리브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56. 르바임(Rephaim) - 거인 족속, 마지막 르바임 족속 바산 왕 옥 (0) | 2023.01.22 |
---|---|
255. 룻기② - 룻이 보아스와 결혼하여 오벳을 낳음, 다윗의 조상이 됨 (0) | 2023.01.22 |
254. 룻(Luth) - 모압 여인, 나오미의 며느리, 그리스도의 족보에 오르게 됨 (0) | 2023.01.21 |
253. 룩소 - 이집트 고대 고시, 테베, 노, 아몬신 제사, 장제전, 왕가의 계곡 (0) | 2023.01.21 |
252. 루포(Lufus) - 구레네 사람 시몬③의 아들, 그리스도인이 됨 (0) | 2023.0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