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5. 마가 ~ 밀곰

258. 마카비 - 마카베오, 신구약 시대 맛다디아의 아들, 마카비 혁명

258. 마카비 - 마카베오,  신구약 시대 맛다디아의 아들, 마카비 혁명 

① 의미 - ‘망치를 든 자’, ‘망치 머리를 가진’

② 다른 이름 - ❶ 마카베오      ❷ 유다⑦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마카비는 - ‘유다⑦’의 별명(마카비 1서 2:4)

 

③ 제사장 - 제사장 맛다디아(마타디아, 마타디아스)의 3째 아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하스모나이(Hasmonai)의 후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❶ 제사장 24반열의 1 번째 반열 여호야립(요아립) 가문의 아사모나이오스(Asamonaios)의 후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아버지 맛다디아 - 모데인( = 모딘)의 제사장.(BC 167~166년)

 

④ 가족 - 

       ⅰ) 아버지 - 맛다디아 - 대제사장(BC 167~166년)

       ⅱ) 형제 - ❶ 요한⑤      ❷ 시몬⑩      ❸ 유다⑦ 마카비      ❹ 엘리아살②     ❺ 요나단⑥

       ⅲ) 조카 -  요한 힐카누스 1세(BC 135~BC 10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시몬⑩의 아들

       ⅳ)  조카 손자들 - 형 시몬⑩으로부터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❶ 아리스토불루스 1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안티고누스 1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❸ 알렉산더 얀네우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⑤ 정치적, 문화적 배경

      ⅰ) 알렉산더 3세의 헬라 제국 분열 이후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수리아(셀레쿠스 왕가)와 애굽(프톨레미 왕가) 사이에 갈등이 생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셀류쿠스 왕 안티오쿠스 4세(에피파네스)가 개입 하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 참고 - 78. 그리스①②③

      ⅱ) 당시 유대는 - 정치적, 문화적으로 혼란을 겪고 있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정치적 위협 - 수리아(시리아)로부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문화적 위협 - 헬레니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유대 상류층은 - 헬레니즘 문화에 동화되는 현상이 나타남.

 

⑥ 영적 배경

       ⅰ)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4세의 박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당시 수리아(시리아) 통치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유대의 제사장직을 - 경매에 부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최고의 입찰자인 메넬라우스에 팜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종교적인 박해를 가함.(BC 168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곳곳에 신전을 세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헬라(그리스)의 신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성전에 제우스 신상등 우상들을 세우고 제사를 강요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하나님이나 다른 신을 섬기면- 처형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돼지 피를 - 성전에 뿌리기도 하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돼지로 - 제사를 지내게도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돼지는 - 유대인들이 부정하다 여기는 것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많은 유대인(특히 하시딤 - 언약의 사람들)들이 고난을 당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마카비1서 1:60 이하, 마카비1서 2:29 이하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훗날 - 많은 하시딤들이 - 맛다디아 가문과 연합하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BC 171년 - 수리아(시리아)의 통치자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4세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애굽(프톨레미 왕가)와 전쟁하여 - 승리한 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유대에 대한 압박이 더욱 심해짐.

        ⅱ) 아버지 맛다디아(마타디아)의 - 항쟁과 영적 대각성(BC 168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안티오쿠스 4세의 신하들과 배교한 유대인들을 죽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수리아(시리아)의 헬라 세력에 저항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예루살렘에서 30Km 떨어진 모데인에서 - 항쟁을 선포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때 - 안티오쿠스 4세 신하들이 모데인에 왔다.(BC 16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그들은 - 제사장 맛다디아가 신상들에게 제사를 드려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유대 백성에게 좋은 본을 보여줄 것을 바랬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맛다디아가 - 이를 거절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안티오쿠스의 보복이 두려웠던 - 많은 유대인들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앞으로 나와 우상들에 제사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격노한 맛다디아는 - 제단에 다가가 - 그 배교한 유대인들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안티오쿠스의 신하들을 죽였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ⓔ 맛다디아는 - 그의 5명의 아들들과, 율법을 준수하는 자들과 함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방 제단을 부숴버린 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고원으로 피신함.

       ⅲ) 수리아(시리아)군과 수차례 전투를 벌여 승리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정통유대주의를 추종하는 하시딤들이 - 맛다디아와 연합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헬레니즘을 옹호하는 유대인들을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정통파 유대인 하시딤들 - 안식일에는 싸우려하지 않았기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커다란 위험에 빠지기도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안식일에 - 방어조차 하지 않았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대량 학살을 당하기도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맛다디아가 새로운 방침을 세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안식일에 자기 방어를 할 수 있다고 허용함.

      ⅳ) 율법을 바탕으로 - 철저한 유대교 신앙을 확립.

 

⑦ 맛다디아(마타디아)의 자손들 중 정권 잡은 자들 순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하스모니안 가문 - 유대민족을 이끌고 시리아의 침략에 저항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영적 지도자들.(BC 2세기 중 ~ 말기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아들들 - ⒈ 요한⑤ ⒉ 시몬⑩ ⒊ 유다⑦ 마카비 ⒋ 엘리아살② ⒌ 요나단⑥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마카비 혁명 순서 – 아버지 맛다디아의 혁명을 이어받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마카비 → 요나단⑥ → 시몬⑩ 순으로 정권을 잡음.

       ⅰ) 유다⑦(마카비, 마카베오) - 마카비 혁명(BC 166 ~ BC 143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맛다디아의 3째 아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엠마오 전투에서 승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게릴라군을 이끌고 - 숫적으로 월등히 많은 수리아군에 대항하여 승리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 결과 - 안티오쿠스 5세와 섭정인 리시아스 장군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마카비와 평화조약을 맺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리시아스 – 유대의 종교의 자유를 부분적으로 도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예루살렘 성전을 거룩하게 정화한 후 - 봉헌축제를 가짐.(BC 165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훗날 하누카, 곧 수전절임.(마카비1서 4장, 요 10:2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로 인해 - 유대인들이 박해를 받기도 했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마카비 일가는 이를 진압하고자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전사함 – 엘랏사(엘라사)에서 수리아군과 싸우다가.(BC 161년)

       ⅱ) 요나단⑥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맛다디아의 5번째 아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산위로 쫓겨 난 게릴라들을 통솔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유대의 유능한 지도자가 됨.(BC 161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대제사장으로 임명됨 - 셀류쿠스 왕국과의 협상으로부터.(BC 153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아론의 직계 자손이 아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마카비 일가와 하시딤(바리새파) 사이에 불화가 생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❶ 헬라화로 성전은 더럽혀졌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제사장 자리는 - 이 하스몬가의 제사장과 왕들에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빼앗겼다고 여겼기 때문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그러나 마카비 일가는 - 유대 민족주의와 신약시대의 메시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사상에 대한 형태를 정해 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열심당원들은 종종 마카비의 이상과 연결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BC 151년 - 요나단⑥이 통치자로 임명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살해됨 - 수리아인들의 음모로.(BC 143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수리아의 왕위를 노리던 수리아의 장군 트리포에게 죽임 당함.

        ⅲ) 시몬⑩ 3세 - 하시몬 왕조를 열음(BC 142 ~ BC 63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맛다디아의 2번째 아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군사령관과 대사장직을 겸직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트리포가 속임수로 - 요나단⑥을 살려 주겠다고 - 인질을 요구했을 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시몬 3세는 - 동생 요나단⑥의 두 아들을 인질로 보냈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러나 트리포는 - 본래 계획대로 요나단⑥을 죽였음(BC 142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 - 처음으로 독립하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셀류쿠스의 이전 왕 데메트리오스 2세와 - 동맹을 맺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유 - 새로 셀류쿠스의 왕이 된 트리폰을 없애기 위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결과 - 데메트리오스 2세로부터 약속 받은 - 세금면제, 자치권, 왕권을 얻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Ⓔ 사위 아브보스에 의해 모반당해 죽게 됨(BC 135년)

 

⑧ 하스몬 왕조 시대 - 맛다디아의 2째 아들 시몬⑩ 3세부터 시작(BC 142 ~ BC 63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내부의 음모로 인해 로마의 개입을 받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로마제국에 정복되기까지 약 100년 동안 - 마카비 가문의 유대 통치가 이루어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시몬⑩ 3세(BC 142 ~ BC14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요한 힐카누스 1세(BC 135~BC 10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아리스토불루스 1세(BC 104~BC 10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알렉산더 얀네우스(BC 103 ~ BC 7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❺ 살로메 알렉산드라(BC 76 ~ BC 6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❻ 요한 힐카누스 2세와 아리스토불루스 2세(BC 67 ~ BC 63)

 

 

 

http://newsteacher.chosun.com/site/data/img_dir/2020/01/07/2020010700113_1.jpg

 

 

 

 

https://www.culturalbible.com/wp/wp-content/uploads/2015/09/%ED%9E%90%EA%B0%80%EB%88%84%EC%8A%A4%EC%8B%9C%EB%8C%80-%ED%95%98%EC%8A%A4%EB%AA%AC-%EC%99%95%EA%B5%AD1.jpeg

 

 

 

https://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b/bb/Map_Hasmonean_Kingdom-de.svg

 

 

 

      ⅰ) 시몬⑩ 3세(BC 142 ~ BC14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맛다디아(마타디아)의 2번째 아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군사령관과 대사장직을 겸직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트리포가 속임수로 - 요나단⑥을 살려 주겠다고 - 인질을 요구했을 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시몬 3세는 - 동생 요나단⑥의 두 아들을 인질로 보냈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러나 트리포는 - 본래 계획대로 요나단을 죽였음(BC 142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 - 처음으로 독립하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셀류쿠스의 이전 왕 데메트리오스 2세와 - 동맹을 맺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유 - 새로 셀류쿠스의 왕이 된 트리폰을 없애기 위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결과 - 데메트리오스 2세로부터 약속 받은 - 세금면제, 자치권, 왕권을 얻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Ⓔ 사위 아브보스에 의해 모반당해 죽게 됨(BC 135년)

      ⅱ) 요한 힐카누스 1세(BC 135~BC 10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맛다디아의 손자, 시몬⑩의 장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아버지 시몬⑩이 죽은 후 - 최고 통치자이며 대제사장이 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이미 헬라화 된 수리아(시리아)의 속주 사마리아와 이두매 지역을 정복 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 주민들을 강제로 유대교화 시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유대는 솔로몬 이후 정치적, 경제적으로 발달함(BC 104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힐카누스 자신의 얼굴을 새긴 주화도 만듦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의미 - 왕의 권위를 가졌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Ⓔ 경건한 하시딤(바리새인)들의 반발을 삼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사두개인들을 불러들이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하시딤들이 → 바리새파가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 바리새인들은 - 반발 - 반헬라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부활을 믿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엄격한 종교윤리를 만들어내고 강조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사두개인들은 - 지지 - 친헬라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부활, 천사를 부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모세오경에 없는 관습이나 관례를 부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이유 - ❶ 영적인 문제를 등한시했기 때문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정치와 대제사장의 임무를 겸직했기 때문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특히 - 하시딤들(바리새인)들의 반복을 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대제사장직은 - 제사장 가문이 이어서 해야 했으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스몬 사람들이 했기 때문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하스몬 사람들은 - 아론의 직계 자손이 아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바리새파와 사두개파의 대립이 점점 심해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결과 - 에세네파 탄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에세네파 - 광야에서 조용한 공동체를 형성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금욕주의와 경건주의를 펼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ex) 세례 요한①

       ⅲ) 아리스토불루스 1세(BC 104~BC 10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요한 힐카누스 1세의 아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본래 이름 - 유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아버지 힐카누스 1세가 아리스토불루스 1세로 바꿈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병들어 죽음

       ⅳ) 알렉산더 얀네우스(BC 103 ~ BC 7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요한 힐카누스 1세의 아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아리스토불루스 1세(유다)의 동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자신의 왕권을 견고히 하기 위해 - 미망인 형수인 살로메 알렉산드라와 결혼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바리새파 - 얀네우스와 대립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사두개파 - 얀네우스를지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바리새파인들 - 수리아(시리아)의 데메트리오스 3세에게 도움을 요청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얀네우스의 힘이 약해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러자 유대인들이 - 다시 얀네우스를 돕기 시작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이유 – 다시 셀류쿠스의 지배를 받게 될까봐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결국 - 데메트리오스 3세를 물리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자신을 대립하고 반란을 일으킨 - 바리새파인 800명을 십자가에 매담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이들의 눈앞에서 - 그들의 가족 6,000 명을 처형함.

      ⅴ) 살로메 알렉산드라(BC 76 ~ BC 6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여자 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대제사장을 겸직할 수 없어 - 장남 힐카누스 2세에게 대제사장직을 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바리새인들을 중용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바리새파의 지지를 받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차남 아리스토불로스 2세의 반역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사두개파와 규합하여 - 스스로 왕이 되려했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전쟁이 시작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장남+ 바리새파 vs 차남 + 사두개파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Ⓔ 결과 - 역할을 나눔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장남 힐카누스 2세 - 대제사장으로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차남 아리스토불로스 2세 – 왕으로.

        ⅵ) 요한 힐카누스 2세와 아리스토불루스 2세(BC 67 ~ BC 6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이두메 왕 안티파터의 계략으로 –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힐카누스 2세를 충동시켜 - 다시 아리스토불루스 2세와 싸우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안티파터 - 헤롯 대왕의 아버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아리스토불루스 2세 - 로마 폼페이우스를 부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결과 - ❶ 예루살렘이 로마에 함락됨. - 로마의 속주가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아리스토불루스 2세는 – 로마에 끌고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❸ 힐카누스 2세는 – 대제사장으로 남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사실상 바리새파의 승리가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이후 힐카누스 2세와 안티파터는 - 폼페이우스를 버리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줄리어스 시이저 가이사르에게 붙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 참고 - 10. 가이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결과 - ❶ 힐카누스 2세는 - 대제사장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안티파터는 - 로마시민권과 유대의 행정장관직을 얻게 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