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59. 마태(Matthew) - 세리, 예수님의 제자, 마태복음 저자
① 의미 - ‘하나님의 은사’
② 다른 이름 - 레위②(막 2:14, 눅 5:27, 마 9:9)
❶ 이름이 ‘레위②’인 것으로 보아 – 레위①의 후손인 듯
❷ 근거 – 이들은 주로 조상의 이름을 많이 선택했음.
※ 마 9:9 - 예수께서 - 그 곳을 떠나 지나가시다가 -
※ ‘마태’라 하는 사람이 -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-
이르시되 -
※ “나를 따르라!.” 하시니 -
⇒ 일어나 따르니라
③ 알패오①의 아들(막 2:14)
※ 막 2:14 - 또 지나가시다가
알패오①의 아들 레위②가 -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-
⇒ 그에게 이르시되 -
※ “나를 따르라!.” 하시니 -
⇒ 일어나 따르니라
④ 사도 – 예수님의 12 제자 중 한 사람.(마 10:2~4, 막 3:18, 행 1:13)
ⅰ) 이에 12을 세우셨으니(막 3:15a)
ⅱ) 목적 -
Ⓐ 마가복음(막 3:14~15)
❶ 자기와 - 함께 있게 하시고(막 3:14b)
❷ 또 보내사 - 전도도 하며(막 3:14c)
❸ 귀신을 내쫓는 - 권능도 가지게 하려 하심이러라(막 3:15)
Ⓑ 요한복음(요 15:16)
❶ 너희로 가서 - 열매를 맺게 하고(요 15:16b)
❷ 또 너희 열매가 - 항상 있게 하여 -
⇒ 내 이름으로 - 아버지께 무엇을 구하든지 -
※ 다 받게 하려 함이라(요 15:16b)
ⅲ) 제자들 이름
❶ 시몬① 베드로 ❷ 야고보①(세대배의 아들) ❸ 요한②(세대배의 아들)
❹ 안드레 ❺ 빌립① ❻ 바돌로매(나다나엘)
❼ 마태(레위②) ❽도마 ❾ 알패오②의 아들 야고보②
❿ 다대오(유다③ - 야고보④의 아들) ⓫ 시몬⑦(가나안 사람)
⓬ 유다②(가룟)
※ 막 3:16 - 이 12을 세우셨으니
시몬① 에게는 - 베드로란 이름을 더하셨고
막 3:17 - 또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①와 야고보①의 형제 요한②이니
이 둘에게는 - ‘보아너게’ -
※ 곧 ‘우레(우뢰)의 아들’이란 이름을 더하셨으며
막 3:18 - 또 안드레와 빌립①과 바돌로매와 마태와 도마와
알패오②의 아들 야고보②와 및 다대오와 가나나인 시몬⑦이며
막 3:19 - 또 가룟 유다②니
※ 이는 - 예수를 판 자더라
⑤ 직업 – 세리(막 2:14)
❶ 나라의 세금을 거두는 사람.
❷ 유대인들에게 무시 받는 직업이었다.(마 9:11, 눅 18:11)
cf) 이유 - ⒈ 로마 식민지 시대였으므로 - 세금을 걷어
로마를 위해 사용하였고
⒉ 뇌물이나 횡령이 비일비재했다.
※ 마 9:11 - 바리새인들이 보고
그의 제자들에게 이르되 -
※ “어찌하여 너희 선생은 - 세리와 죄인들과
함께 잡수시느냐?”
❸ 예수님은 세리 레위②(마태)를 - 제자로 친히 부르셨다.(막 2:14, 마 9:11)
※ 막 2:14 - 또 지나가시다가
알패오의 아들 레위②가 -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-
⇒ 그에게 이르시되 -
※ “나를 따르라!.” 하시니
⇒ 일어나 따르니라
❹ 레위②(마태)는 - 히브리어, 헬라어, 로마어를 말할 수 있는 능력자였다.
⑥ 마태복음의 저자.
ⅰ) 기록 연대 - AD 65~70년
ⅱ) 기록 목적 - ‘유대인의 왕’, ‘메시야’으로 오신 예수님을 알림.(마 2:2)
cf) 유대인에게 - 예수님이 - ‘유대인의 왕’, ‘구약의 완성자’로 오신 -
※ ‘메시야’임을 알림.(마 2:2)
※ 마 2:2 - “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- 어디 계시냐?
※ 우리가 - 동방에서 그의 별을 보고 -
⇒ 그에게 - 경배하러 왔노라.”
하니
※ 마 27:11 - 예수께서 - 총독 앞에 섰으매 -
⇒ 총독이 - 물어 이르되 -
※ “네가 유대인의 왕이냐?”
예수께서 대답하시되 -
※ “네 말이 - 옳도다!.”
하시고
ⅲ) 특징
❶ 예수님의 유아기 및 족보에 대해 기록.
※ 이유 - 다윗의 계보를 기록하여 -
⇒ 예수님이 - 다윗의 자손이며
- 유대인의 왕이 되는 - 당위성을 보여 줌.
(마 1:1~17)
❷ 유대인들을 위해 기록.
⇒ ‘유대인들의 복음서’라 부를 만큼 -
⒈ 유대적 색체가 짙다.
⒉ 구약의 말씀을 - 많이 인용했다.
❸ ‘교회’라는 단어가 사용됨 - 4복음서 중 유일함.(마 18:17)
※ 마 18:16 - 만일 듣지 않거든 -
⇒ 한두 사람을 데리고 가서 -
※ 두세 증인의 입으로 - 말마다 확증하게 하라!.
마 18:17 - 만일 그들의 말도- 듣지 않거든 -
⇒ ‘교회’에 말하고
‘교회’의 말도 - 듣지 않거든 -
⇒ 이방인과 세리와 같이 여기라!.
❹ 내용이 조직적임.
ex) 숫자적 배열과 안정적인 구조를 사용.(마 1:17)
※ 세리라서 가질 수 있는 특징이기도 함.
※ 마 1:17 - 그런즉 모든 대 수가 -
⇒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 - 14 대요
다윗부터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갈 때까지 - 14 대요
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부터 그리스도까지 - 14 대더라
⑦ 예수님은 그를 세관에서 만나 - 제자로 삼음.(눅 5:27~39, 마 9:9~17, 막 2:13~22)
ⅰ) 레위②라 하는 세리가 -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-
⇒ “나를 따르라” 하시니(눅 5:27)
ⅱ) 그가 - 모든 것을 버리고 -
⇒ 일어나 따르니라(눅 5:28)
⑧ 예수님을 자기 집 식사에 초대함(눅 5:29~38)
cf) 이유 - 사람들을 자기 집에 초대하여 식사할 때 -
※ 예수님을 모심으로써 -
⇒ 전도의 기회로 삼으려 함.(눅 5:29~32)
ⅰ) 레위②가 - 예수를 위하여 - 자기 집에서 큰 잔치를 하니 -
⇒ 세리와 다른 사람이 - 많이 함께 앉아 있는지라(눅 5:29a)
ⅱ) 바리새인과 그들의 서기관들이 - 그 제자들을 비방하여 이르되 -
❶ “너희가 어찌하여 - 세리와 죄인과 함께 먹고 마시느냐?”(눅 5:29b)
※ 예수님 - “건강한 자에게는 - 의사가 쓸 데 없고
병든 자에게라야 - 쓸 데 있나니(눅 5:31)
내가 -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
※ 죄인을 불러 - 회개시키러 왔노라.”(눅 5:32)
❷ “요한①의 제자는 - 자주 금식하며 기도하고
바리새인의 제자들도 또한 그리하되 -
※ 당신의 제자들은 - 먹고 마시나이다.”(눅 5:33)
※ 예수님 - “혼인 집 손님들이 -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-
※ 너희가 그 손님으로 - 금식하게 할 수 있느냐?”
(눅 5:34)
그러나 그 날에 이르러 - 그들이 신랑을 빼앗기리니 -
⇒ 그 날에는 - 금식할 것이니라.(눅 5:35)
새 포도주는 - 새 부대에 넣어야 할 것이니라.”(눅 5:38)
⑨ 마태에 대한 특별한 기록이 없다.
※ 사도들의 명단(마 10:3, 막 3:18, 행 1:13)에서 마태가 언급된 것 이외에
그에 대한 이야기는 - 더 이상 언급되지 않음.
'5. 마가 ~ 밀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60. 마태복음② - 예수님의 족보(계보), 예수님의 탄생, 예수님의 어린시절 (0) | 2023.03.07 |
---|---|
260. 마태복음① - 마태복음 개론, 마태복음 특징, 마태복음 내용 (0) | 2023.03.07 |
258. 마카비 - 마카베오, 신구약 시대 맛다디아의 아들, 마카비 혁명 (0) | 2023.02.23 |
257. 마아가(Maacah)② - 남유다 왕 르호보암의 부인, 우상을 섬겨 폐위 당함 (0) | 2023.02.23 |
256. 마아가(Maacah)① - 그술 왕의 딸, 다윗의 부인, 다말②과 압살롬의 어머니 (0) | 2023.0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