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01. 베뢰아(Berea) - 베레아, 너그러우며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묵상함
① 의미 - ‘물이 풍부한’, ‘많은 물줄기’(well watered, place of many water)
② 마케도니아에 있는 도시 중 하나.
cf) 마게도냐 주요 도시 - 네압볼리, 빌립보, 암비볼리, 아볼로니아 데살로니가, 베뢰아 . .
★참고 - 247. 마게도냐
③ 현대 이름 - 베리아(Verria)
④ 위치 -
ⅰ) 아테네와 데살로니가 사이에 위치.
※ 데살로니가에서 - 서남쪽 75km 지점.
ⅱ) 올림포스산 북부 페르미온 산맥 동부의 조그마한 도시.
❶ 남쪽으로는 - 만년설이 뒤덮인 올림포스 산이 있다.
❷ 앞으로는 - 드넓은 평원과 운하가 있다.
ⅲ) 할리아크몬(Haliacmon)과 악시오(Axios) 2개의 강이 - 풍성한 농작을 가능케 했음.
⑤ 특산품
ⅰ) 금과 대리석 채석장이 있었다.
ⅱ) 복숭아, 감, 배, 사과, 석류 등
⑥ 헬라( = 그리스)와 로마시대 - 번영하고 발전된 도시가 됨.
❶ 베뢰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영광스러운 시대는 - 헬레니즘 시대
❷ 데살로니가나 빌립보처럼 큰 상업 도시로는 발전하지 못함.
⑦ BC 9세기경부터 - 사람이 살기 시작함.
⑧ BC 5세기경부터 - 도시가 이루어지기 시작함.
⑨ 헬라(그리스) 지배 시대
★참고 - 78. 그리스①~③
ⅰ) 알렉산더 대왕을 기리기 위해 - ‘올림피아’나 ‘알렉산드리아’라는 체육대회를 개최함.
Ⓐ 베뢰아에서 아테네와 고린도처럼 체육대회가 개최됨.
Ⓑ 그리스 각지에서 선수들이 출전한 국가적인 행사임.
ⅱ) 극장과 체육관이 있었다.
ⅲ) 자체 화폐를 발행했다.
※ 마케도니아 왕국은 - 통일된 주화를 발행함.
⇒ 그 주화를 - 베뢰아에서 발행했음.
⑩ 로마 지배 시대
★참고 - 245. 로마제국①②
ⅰ) 피드나 전투(Battle of Pydna)(BC 168년)에서 - 로마가 이기자 -
⇒ 베뢰아는 - 로마에 1번째로 투항한 도시가 .
※ 로마가 마케도냐를 정복한 - 피드나(Pydna) 싸움 후에 -
⇒ 베뢰아는 - 로마에 항복하는 최초의 도시가 됨.
ⅱ) 에그나티아 고속도로의 건설(BC 146년)
Ⓐ 마케도니아 로마 총독 - 나이우스 에그나티우스 에 의해 건설됨.
Ⓑ 목적 – 효과적으로 식민지를 통제하고, 효과적인 전쟁을 위해.
Ⓒ 콘스탄티노플에서 - 로마까지 연결됨.
※ 사도 바울이 선교 여행 때 - 이 도로를 이용했음.
Ⓓ 이 도로를 따라 - 도시들이 번창하게 됨.
⇒ 조용한 농업 도시였던 베뢰아가 - 교역이 많아져 국제적인 도시가 됨.
⇒ 베뢰아가 영향력 있는 도시가 됨.
⇒ 많은 이웃 나라 사람들이 정착함.
⇒ 상당수의 유대인도 거주함.
※ 그들의 회당도 지었음
ⅲ) 로마 폼페이우스의 보병부대 주본부가 있었다.(BC 49~48년)
※ 로마의 폼페이우스가 - 카이사르(Caesar)에게 승리를 거두기 전에
자신의 군대와 함께 지냈다.
ⅳ) 사도 바울 때 - 부유한 유대인들이 정착한 도시였음.
※ 마케도니아 주요 3대 도시 - ❶ 베뢰아 ❷ 빌립보 ❸ 데살로니가
⑪ 비잔티움과 오스만 통치
ⅰ) 비잔틴(동로마제국) 중기 시대까지 -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.
ⅱ) 불가리아에 점령당함(985년)
Ⓐ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 후
Ⓑ 불가리아 왕 이오아니치스(Ioannitzis)가 - 비잔틴 제국의 해체를 틈타
⇒ 트라키아, 마케도니아, 베뢰아, 세레스까지 점령.(1205년)
ⅲ) 비잔틴 제국(동로마제국) 황제 요안니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에 의해 -
※ 다시 해방됨.
ⅳ) 세르비아인에 의해 점령 당함.(14~15세기)
ⅴ) 오스만에게 점령당함(1434년)
⇒ 무슬림과 유대인이 베뢰아에 정착했다.
ⅵ) 그리스 군대에 의해 해방 됨.(1912년 10월 16일)
⑫ 그리스 이마티아 현의 수도로 지정됨(1946 년)
- - - - - 바울과 베뢰아 - - - - -
❶ 바울이 2차 선교 여행 때 들름 - 회당에서 설교(행 17:10)(AD 51년)
❷ 바울이 3차 선교 여행 때 들림 - 회당에서 설교(AD 57년)
★참고 - 354. 바울①~⑧
① 바울의 2차 선교 여행때 들름
※ 안디옥①(수리아) ⇒ 길리기아(다소) ⇒ 더베 ⇒ 루스드라(디모데 만남) ⇒
(행 15:36~40) (행 15:41) (행 16:1) (행 16:1)
⇒ 브루기아와 갈라디아(비시디아② 안디옥) ⇒ 무시아 ⇒ 드로아 ⇒
(행 16:6) (행 16:7) (행 16:8)
⇒ (배타고) ⇒ 네압볼리 ⇒ 빌립보 ⇒ 암비볼리 ⇒ 아볼로니아 ⇒
(행 16:11) (행 16:11) (행 16:12) (행 17:1) (행 17:1)
⇒ 데살로니가 ⇒ 베뢰아(디모데 놓고 옴) ⇒ (배타고) ⇒ 아덴 ⇒
(행 17:1) (행 17:10) (행 17:14) (행 17:15)
⇒ 고린도(1년 6개월 머뭄. 디모데 내려 옴. 살전-후씀) ⇒ 겐그레아 ⇒
(행 18:1) (행 18:18)
⇒ (배타고) ⇒ 에베소 ⇒ 배타고 ⇒ 가이사랴 ⇒ 예루살렘 ⇒
(행 18:18) (행 18:19) (행 18:21) (행 19:22) (행 19:22)
⇒ 안디옥①(수리아)
(행 18:22)
ⅰ) 바울이 - 데살로니가에서 복음을 전하다 - 유대인들을 피해 - 밤에 베뢰아로 감.
(행 17:10)(AD 51년)
★참고 - 185. 데살로니가
68.구원①②
330.믿음①②
cf) 주요 도로인 에그나티아(Via Egnatia)를 이용했을 것임.
※ 밤에 - 형제들이 - 곧 바울과 실라를 - 베뢰아로 보내니
⇒ 그들이 이르러 - 유대인의 회당에 들어가니라(행 17:10)
ⅱ) 바울이 - 곧바로 전도를 시작함 - 회당에서.(행 17:10)
⇒ 유대인들에게 - 구약 성경의 내용을 풀어가며 -
※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아 임을 - 가르침.
★참고 - 273. 메시야
79. 그리스도①~⑩
⇒ 베뢰아 사람들은 이를 매우 잘 받아들였다.
ⅲ) 누가는 - 베뢰아 지역에 살고 있는 유대인들을 – 칭찬했다.(행 17:11)
※ 복음을 대하는 데살로니가 사람과 베뢰아 사람들의 반응을 비교함.
★참고 - 138. 누가
Ⓐ 베뢰아에 있는 사람들은 -
❶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들보다 - 더 너그러워서(행 17:11a)
❷ 간절한 마음으로 - 말씀을 받고(행 17:11b)
❸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-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(행 17:11c)
★참고 - 285.묵상
Ⓑ 결과 - 그중에 - 믿는 사람이 많고
- 또 헬라의 귀부인과 남자가 적지 아니하나(행 17:12)
ⅳ) 데살로니카에서 추격해 온 유대인들의 - 계속적인 방해함.(행 17:13)
⇒ 바울 일행은 - 베뢰아를 떠나 아덴으로 갔다.(행 17:13~15)
❶ 베뢰아로 와서 - 군중을 흥분시켜 폭동을 일으킴.
❷ 바울, 실라, 디모데가 - 설교하지 못하게 함.
※ 행 17:13 - 데살로니가에 있는 유대인들은 -
※ 바울이 하나님의 말씀을 베뢰아에서도 전하는 줄을 - 알고
⇒ 거기도 가서 - 무리를 움직여 소동하게 하거늘
ⅴ) 이때 성도들이 - 바울을 아테네(아덴)로 보냄(행 17:14)
❶ 디모데와 실라는 - 뒤에 남아 체류했다.
★참고 - 210. 디모데
❷ 바울은 - 디모데와 실라에게 - 속히 아테네로 올 것을 이야기했다.(행 17:14~15)
※ ⇒ 데살로니가 ⇒ 베뢰아 ⇒ (배타고) ⇒ 아덴 ⇒
(행 17:1) (행 17:10) (행 17:14) (행 17:15)
Ⓐ 형제들이 - 곧 바울을 내보내어 - 바다까지 가게 하되(행 17:14a)
Ⓑ 실라와 디모데는 - 아직 거기 머물더라(행 17:14b)
Ⓒ 바울을 인도하는 사람들이 - 그를 데리고 아덴까지 이르러 -
⇒ 그에게서 - 실라와 디모데를 자기에게로 속히 오게 하라는
명령을 받고 떠나니라(행 17:15)
② 바울이 3차 선교여행 때에 들림 - 회당에서 설교(AD 57년)
※ 안디옥① ⇒ 갈라디아와 브르기아(다소, 이고니온) ⇒ 에베소(3년 머뭄-고전 씀) ⇒
(행 18:22c) (행 18:23) (행 19:1)
⇒ 마게도냐(빌립보 - 고후서 씀 ⇒ 데살로니가 ⇒ 베뢰아)(행 20:1~2) ⇒
⇒ 헬라(고린도- 3개월 과동, 로마서 씀)(행 20:2) ⇒
⇒ 마게도냐(베뢰아 ⇒ 데살로니가 ⇒ 빌립보)로 다시 돔(테러위험)(행 20:3) ⇒
⇒ 미둘레네 ⇒ (배타고) ⇒ 드로아 ⇒ (바울만 걸어서) ⇒ 앗소 ⇒ (배타고) ⇒
(행 20:14b) (행 20:6) (행 20:6) 행 20:13) (행 20:14) (행 20:14)
⇒ (배타고 기오, 사모 거쳐) ⇒ 밀레도 ⇒ (배타고 고스, 로도 거쳐) ⇒
(행 20:15) (행 20:16) (행 21:1)
⇒ 바다라 ⇒ (배타고) ⇒ 두로 ⇒ 돌레마이 ⇒ 가이사랴 ⇒
(행 21:1) (행 21:2~3) (행 21:3) (행 21:7) (행 21:8)
⇒ 예루살렘 ⇒ 예루살렘에서 체포됨
(행 21:15) (행 21:33)
ⅰ) 에베소의 소동으로 - 마게도냐로 피함(행 20:1)
※ 행 20:1 - 소요가 그치매
바울은 - 제자들을 불러 권한 후에
작별하고 -
⇒ 떠나 - 마게도냐로 가니라
ⅱ) 마게도냐 지방에서 전도 - 베뢰아 포함(행 20:2)
※ 행 20:2 - 그 지방으로 다녀가며
여러 말로 제자들에게 권하고 -
⇒ 헬라(고린도)에 이르러
ⅲ) 헬라(고린도)에서 - 다시 마게도냐 쪽으로 돌아감(행 20:3)
★참고 - 48. 고린도
Ⓐ 거기 3 달 동안 있다가
Ⓑ 배 타고 - 수리아로 가고자 할 그때에 -
※ 유대인들이 - 자기를 해하려고 공모하므로 -
⇒ 마게도냐를 거쳐 돌아가기로 - 작정하니
(행 20:4)
ⅳ) 아시아까지 함께 가는 자는 -
❶ 베뢰아 사람 - 부로의 아들 소바더와
cf) 소바더 - 바울의 친척 소시바더와 동일인물로 추측됨.
(롬 16:21)
❷ 데살로니가 사람 - 아리스다고와 세군도와
❸ 더베 사람 - 가이오②와 및
❹ 디모데와
cf) 디모데 - 루스드라 사람
❺ 아시아 사람 - 두기고와 드로비모라(행 20:4)
※ 그들은 - 먼저 가서 -
⇒ 드로아에서 - 우리를 기다리더라(행 20:5)
③ 베뢰아 교회의 초대 감독 – 종파에 따라 주장하는 사람이 다름.
❶ 천주교 교회전통(교황령:Apostolic Constitution) - 오네시모(골 4:9, 몬 1:10)
cf) 오네시모 –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만났던 빌레몬의 종
※ 골 4:9 - 신실하고 사랑을 받는 형제 오네시모를 함께 보내노니
※ 그는 - 너희에게서 온 사람이라
그들이 - 여기 일을 다 - 너희에게 알려 주리라
※ 몬 1:10 - 갇힌 중에서 낳은 -
※ 아들 오네시모를 위하여 - 네게 간구하노라
❷ 정교회(Orthodox) - 가보(딤후 4:13)
cf) 가보 - 드로아 사람.
바울의 겉옷과 책을 보관했던 자.
※ 딤후 4:13 - 네가 올 때에
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 -
⒈ 겉옷을 - 가지고 오고
⒉ 또 책은 -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을 - 가져오라!.
④ 베뢰아 지역의 기독교 활동은 활발했었다.
⑤ 13~14세기에 세워진 베뢰아 교회들 유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.
'6. 바나바 ~ 빌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03. 벤하닷① 1세(Ben-Hadad Ⅰ) - 아람 다메섹 왕, 아사를 도우려 바아사 공격 (0) | 2023.07.03 |
---|---|
402. 베스도(Festus) - 페스투스, 유다 다스리던 로마 총독, 바울을 로마로 보냄 (0) | 2023.07.03 |
400. 베레스(Perez) - 유다①와 다말①의 아들, 베레스 가문을 통해 메시아가 (0) | 2023.07.01 |
399. 베들레헴(Bethlehem)② - 스불론 지파 땅에 있는 베들레헴 (0) | 2023.07.01 |
398. 베들레헴(Bethelehem)① - 유다 지파 땅, 다윗의 고향, 예수가 태어난 곳 (0) | 2023.06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