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3. 계명, 율례, 법도(Commandments, Decrees, Laws)
(1) 단어들의 명확한 구분 없이 혼용 번역되어 - 의미 파악에 혼돈이 온다.
※ 계명(Commandments), 율례(Decrees), 법도(Laws),
(2) 원인 - ❶ 원어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.
❷ 이스라엘 법 구조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.
① 계명 ( מִצְוָה 미츠와) - 본래 의미 - ‘계명’, ‘명령’, ‘금령’
※ 그러나 ‘규례’ 등으로 번역됨.
② 율례(חֹק 호크) - 본래 의미 - ‘율례’, ‘규례’
※ 그러나 ‘법’, ‘법도’, ‘명령’ 등으로도 번역됨.
③ 법도( מִשְׁפָּט 미쉬파트) - 본래 의미 - ‘법도’ 혹은 ‘판결’, ‘심판’
※ 그러나 ‘규례’, ‘율례’,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됨.
(3) 계명, 율례, 법도의 어원
※ 계명(미츠와) = 율례(호크) + 법도(미쉬파트)
① ‘계명’ - ‘מִצְוָה 미츠와’ - ‘명령하다’라는 뜻의 동사 ‘차와’에서 옴.
⇒ ‘명령’, ‘금령’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.
② ‘율례’ - ‘חֹק 호크’ - ‘자르다’의 뜻인 - ‘하카’라는 동사에서 옴.
⇒ ‘규례’, ‘풍속’, ‘관습’ 등으로 번역함이 무방하다.
③ ‘법도’ - ‘מִשְׁפָּט 미쉬파트’ - ‘다스리다’, ‘재판하다’의 뜻을 가진 ‘솨파트’에서 온 명사.
※ 원래의 뜻 - ‘판결’, ‘심판’이다.
그러나 개념이 확대되어 ‘법’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됨.
(4) 도덕법, 종교법, 사회법
①도덕법(Moral Law) - ‘계명’(Commandments 미츠와 מִצְוָה)
❶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에게 요구하시는 -
⒈ 하나님과 - 인간의 관계
⒉ 인간과 - 인간의 관계를 규명한 것.
❷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명령.(출 20:3~17, 신 5:7~21의 십계명)
ⅰ) 10 계명(10 Commandments)(출 20:1~17)
⒈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!.(출 20:3
⒉ 우상을 만들지 말라!(출 20:4)
⒊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!.(출 20:7)
⒋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!(출 20:8)
⒌ 네 부모를 공경하라!(출 20:12)
⒍ 살인하지 말라!.(출 20:13)
⒎ 간음하지 말라!.(출 20:14)
⒏ 도둑질하지 말라!(출 20:15)
⒐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라!.(출 20:16)
⒑ 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라!.(출 20:17)
Ⓐ 율법(토라)의 대표적인 내용 - 인간 행위의 옳고 그름을
인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됨.(롬 7:7)
※ 롬 7:7 -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?
율법이 죄냐? 그럴 수 없느니라!.
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-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-
※ 곧 율법이 - “탐내지 말라!.” 하지 아니하였더라면 -
⇒ 내가 - 탐심을 - 알지 못하였으리라
Ⓑ 하나님의 백성들은 - 이를 따름으로써 -
⇒ 하나님께로부터 인정을 받고
⇒ 생명을 얻게 됨.(롬 7:10a)
※ 롬 7:10 -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
내게 대하여 도리어 -
※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
Ⓒ그러나 인간 내부의 죄성은 - 도리어 계명으로 말미암아 -
※ 스스로를 사망으로 가게 함.(롬 7:10b~11)
※ 롬 7:10 -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
내게 대하여 도리어 -
※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
롬 7:11 – 죄가 기회를 타서 -
※ 계명으로 말미암아 - 나를 속이고
⇒ 그것으로 - 나를 죽였는지라
ⅱ) 신약시대 - 10계명으로부터 ‘장로의 유전’으로 변질됨.
※ 10 계명 + 장로의 유전
⇒ 위선적이고 외식적으로 변질됨.
Ⓐ 구약의 십계명이 - 신약에 와서 달라진 것은 - 아무 것도 없다.
Ⓑ 10 계명은 - 내용상 - ❶ 하나님에 대한 것(하나님 사랑)
- ❷ 사람들 간의 것으로 나뉨.(이웃 사랑)
Ⓒ 장로의 유전 - 613개
ⅲ) 예수님 - “❶ 하나님 사랑을 사랑하라!, ❷ 이웃 사랑을 사랑하라!.”
(마 22:37~40, 신 6:5, 레 19:18)
※ 예수님 - ““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-
※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!.” 하셨으니(마 22:37)
이것이 - 크고 1째 되는 계명이요(마 22:38, 신 6:5)
2째도 그와 같으니 - “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!.”
하셨으니(마 22:39, 레 19:18)
⇒ 이 2 계명이 -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.”(마 22:40)
ⅳ) 십계명을 포함해서 성경에 나타나는 계명은 모두 613개이다.
※ 2종류의 명령으로 나뉨 - ❶ ‘하라!.’(적극적 명령)
❷ ‘하지 말라!.’(소극적 명령)
Ⓐ ‘하라’라는 명령 - 우리의 속사람 곧 영이 마음으로 섬기고자 하는 ‘하나님의 법’이다.
※ 365개
Ⓑ ‘하지 말라’는 명령 - 육신의 정욕이 좇고자 하므로 금지해야 하는 ‘죄의 법’이다.
※ 248개
ⅴ) 신약에서 ‘계명’의 의미
★ 그리스도를 통하여 칭의 된 - 그리스도인들이
⇒ 성령 안에서 -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 -
※ 지켜야 하는 법도.
② 종교법(Religious Law) - ‘율례’(Decrees 호크 חֹק)
❶ 절기, 성막, 제사 등을 규정한 것.
※ 이스라엘이 지켜야 할 종교 법규
❷ 하나님은 10 계명 중 1~ 4계명까지를 - 하나님에 대한 것으로 세부적으로 규정하셨다.
⒈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!.(출 20:3
⒉ 우상을 만들지 말라!(출 20:4)
⒊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!.(출 20:7)
⒋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!(출 20:8)
ⅰ) 절기(Feast) - 하나님께서는 10계명을 주시기 전에 출 13장에서
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절기를 지킬 것을 명하셨다.
※ ‘하그’(히브리어)’, ’헤오르테’(헬라어) - ‘축제’(feast)라는 의미.
ⅱ) 성막(Tabernacle) - 그 뒤에 십계명을 주신 후에는 -
⇒ ‘미쉬칸’이라고 부르는 성막을 짓고
⇒ 제사를 지내는 방법 등을 자세히 가르쳐 주셨다.
※ 레위기
ⅲ) 제사(Sacrifices) - ‘자바흐’(히브리어)‘, ’뛰시아’(헬라어)
③사회법(Social Law) - ‘법도’(미쉬파트 מִשְׁפָּט)
ⅰ) 10 계명 중에서 5~10계명을 - 인간 상호간에 지켜야 할 도덕적 규범으로 주셨다.
※ 일상생활에서 지켜하는 구체적인 법.
⒌ 네 부모를 공경하라!(출 20:12)
⒍ 살인하지 말라!.(출 20:13)
⒎ 간음하지 말라!.(출 20:14)
⒏ 도둑질하지 말라!(출 20:15)
⒐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라!.(출 20:16)
⒑ 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라!.(출 20:17)
ⅱ) 미쉬파트(법도) - 국가 고유의 존립을 위해 요구되는 법도.
※ 이스라엘 뿐 아니라 고대의 국가들이 국가 존립을 위해
스스로 형성한 함무라비 법전 등과 같은 일반적 법체계와 유사.
cf) 미츠와(계명)와 호크(율례) - 이스라엘에만 적용되는 특수법.
(5) 율법
① 좁은 의미 - 율법, 율법서.
※ 율법 = 계명(미츠와) + 율례(호크) + 법도(미쉬파트)
② 넓은 의미 - 성경 말씀 전체 - ‘그라페’(헬라어).
ⅰ) ‘토라’ - 유대인 자신들의 구약으로만 이루어진 성경
ⅱ) 성경(그라페) = 협의적 율법(노모스) + 예언서(네비임) + 성문서(케투빔)
※ 케투빔에는 역사서와 시가서 등이 포함된다.
(6) 구전 율법 - 미쉬나, 탈무드, 미드라쉬
① 미쉬나 - 구전율법 모음집
ⅰ) 의미 - ‘반복’
ⅱ) 유대인들은 성문화되지 않은 - 방대한 양의 구전 율법을 가짐.
⇒ 이를 집대성하여 - ‘미쉬나’라는 - 구전 율법 모음집을 만듦.
(약 AD 200년 경)
ⅲ) 내용 - 6 가지.
❶ 농경법 ❷ 절기법 ❸ 여자에 관한 법
❹ 손해에 관한 법 ❺ 성물(聖物)에 관한 법 ❻ 정결 의식법
② 탈무드 - 미쉬나의 주석.(의미 – 학자)
ⅰ) 만들어진 시기 - AD 3~5 세기
ⅱ) 구성 - 미쉬나(구전율법) + 게마라(미쉬나 해석)
ⅲ) 내용 - 토라(모세오경)의 법들을 - 세분화 시켜서 -
⇒ 적용 가능하게 만든 - 주석 같은 것.
ⅳ) 종류 - ❶ 예루살렘 탈무드 - 단순, 간결
❷ 바벨론 탈무드 - 섬세, 지루
③ 미드라쉬(율법 해석서)
※ 미드라쉬 = 할라카(시민법, 종교법에 관한 규례) + 학가다(역사서)
ⅰ) 의미 - 탐구
ⅱ) 만들어진 시기 - AD 3~5 세기
ⅲ) 내용 - ❶ 토라와 미쉬나에 대한 해석
❷ 많은 설교 내용
'1. 가나안 ~ 길보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5. 고라(Korah) - 모세와 아론의 제사장직과 영적 권위에 반역 (0) | 2022.07.11 |
---|---|
44. 고넬료(Cornelius) - 로마 백부장, 이방인의 오순절 사건, 보자기 환상 (0) | 2022.07.11 |
42. 겐 족속(Kenites) - 가나안과 미디안 땅에 살던 겐의 자손들 (0) | 2022.07.11 |
41. 게하시(Gehazi) -엘리사 선지자를 속인 사환(시종) (0) | 2022.07.10 |
40. 게르솜(Gershom) - 모세의 장남, 게르솜의 아들 요나단③ (0) | 2022.07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