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11. 스얄야숩(Shear Jashub) - 이사야 아들, 남은 자가 돌아오리라
① 의미 - ‘남은 자가 돌아오리라’
※ 사 10:21 - 남은 자
곧 야곱의 남은 자가 -
※ 능하신 하나님께로 - 돌아올 것이라
② 아하스와 히스기야 시대 사람.(사 7:3)
③ 선지자 이사야의 1번째 아들.(사 7:3, 사 8:3)
※ 사 7:3 - 그때에 여호와께서 - 이사야에게 이르시되 -
※ 너와 네 아들 스알야숩은 - 윗못 수도 끝
세탁자의 밭 큰 길에 나가서
아하스를 만나
④ 가족 -
ⅰ) 아버지 - 이사야(사 7:3)
※ 사 7:3 - 그때에 여호와께서 - 이사야에게 이르시되 -
※ 너와 네 아들 스알야숩은 - 윗못 수도 끝
세탁자의 밭 큰 길에 나가서
아하스를 만나
ⅱ) 형제 - 마헬살랄하스바스(사 8:3)
※ 사 8:3 - 내가 - 내 아내를 가까이 하매 -
⇒ 그가 임신하여 - 아들을 낳은지라
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-
※ “그의 이름을 - ‘마헬살랄하스바스’라 하라!.”
⑤ 이사야의 아들들에게 - 상징적인 이름을 주심.(사 7:3, 사 8:18)
ⅰ) 이유 -
❶ 모두 아람과 북스라엘의 침략과 관련되어 지어진 이름
❷ 하나님의 메시지가 담겨져 있다(사 8:18)
※ 사 8:18 - 보라!.
나와 및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자녀들이 -
※ 이스라엘 중에 - 징조와 예표가 되었나니
이는 - 시온 산에 계신 - 만군의 여호와께로
말미암은 것이니라
ⅱ) ‘스알야숩’의 상징적 의미
Ⓐ ‘남은 자가 돌아온다’(사 10:21)
※ 사 10:21 - 남은 자
곧 야곱의 남은 자가 -
※ 능하신 하나님께로 - 돌아올 것이라
Ⓑ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하리라는 - 상징적인 표현.
ⅲ) ‘마헬살랄하스바스’의 상징적 의미
Ⓐ ‘노략이 빨리 행해짐’(사 8:4)
※ 사 8:4 - 이 아이가 - 내 아빠, 내 엄마라 부를 줄 알기 전에
※ 다메섹의 재물과
사마리아의 노략물이 -
⇒ 앗수르 왕 앞에 옮겨질 것임이라
Ⓑ 결국 이스라엘 왕 베가 통치 기간에 -
※ 앗수르(= 아시리아)의 디글랏빌레셀 3세가 - 이스라엘을 침략함.
⇒ ❶ 많은 도시를 빼앗고, 그 땅을 약탈했으며,
❷ 많은 주민을 - 포로로 끌고 갔다.(왕하 15:29~30)
※ 앗수르 유수
❸ 그 후에 베가는 - 죽임을 당하였다.
ⅳ) 메시야의 강림 시에 만민들이 주께로 돌아올 때 - 이 상징적 표현은 영적으로 성취됨.
(사 10:20~23, 사 65:8 이하, 롬 11:5이하, 롬 11:16~29)
★참고- 273. 메시야
※ 사 10:20 - 그날에 - 이스라엘의 남은 자와
야곱 족속의 피난한 자들이 -
※ 다시는 자기를 친 자를 - 의지하지 아니하고
⇒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- 이 여호와를
진실하게 의지하리니
사 10: 21 - 남은 자
곧 야곱의 남은 자가 -
※ 능하신 하나님께로 - 돌아올 것이라
사 10:22 - 이스라엘이여!.
네 백성이 - 바다의 모래 같을지라도 -
※ 남은 자만 - 돌아오리니
넘치는 공의로 - 파멸이 작정되었음이라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13. 스콜라 철학(Scholasticism) - 스콜라 학파, 신앙과 이성의 조화 (0) | 2024.02.14 |
---|---|
612. 스올(Sheol) - 하데스, 죽은 자들이 거처하는 지하 세계 (0) | 2024.02.13 |
610. 스알디엘(Shealtiel) - 네리의 아들로 여호야긴(여고냐)의 양자가 됨 (0) | 2024.02.12 |
609. 스비다(Zebudah) - 남유다 요시야 왕의 부인, 여호야김의 어머니 (0) | 2024.02.12 |
608. 스불론 지파(Tribe of Zebulun)② - 앗수르 유수, 흑암에서 빛으로 (0) | 2024.0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