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13. 스콜라 철학(Scholasticism) - 스콜라 학파, 신앙과 이성의 조화
① ‘의미 - ‘여유’
❶ 스콜라 - 고대 그리스어 ‘스콜레(σχολη)’를 -
⇒ 라틴어 ‘스콜라(schola)’로 -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임.
※ 스콜라 - 고대 그리스어에서 '여유'라는 의미.
❷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나 교수를 의미하는 - ‘Scholástĭcus’에서 기원.
② 다른 이름 -
❶ 스콜라 주의
❷ 스콜라 학파
③ 발달 시기 - 중세시대 11~15세기.
cf) 넓게는 - 9~16세기.
④ 스콜라 철학의 목적
❶ 신앙(교리)와 이상을 - 조화시키는 것
❷ 교회의 교리를 - 그리스도교 신학을 - 이성적인 논리로
질서 정연하게 체계화.
ex) 토마스 아퀴나스(Thomas Aquinas)의 ‘신학대전(Summa Theologiae)’
⑤ 특징
ⅰ) 중세 시대 - 가톨릭교회나 수도원에 속한 교육 기관(Schŏla)에서 - 가르치던 학문
Ⓐ 카롤루스(Carolus) 대제의 명령으로 - 유럽 각지의 교회와 수도원에서
학문 기관을 세우기 시작함.(8세기 말)
Ⓑ 성경이 곧 진리라는 전제로 - 학생들을 가르쳤으며,
※ 이를 변증하기 위해 - 고대 그리스 철학을 사용했음.
Ⓒ 당시 일반 대중의 교육을 - 수도원이 담당했고,
교육자들 역시 - 수도사들이었다.
⇒ 점차 이 수도원 학교들은 -
❶ 전문 교육 기관이 되었고,
❷ 토론의 장이 됨 - 어떤 개념이나 이론에 대해
서로 의견 교환이나 주장을 폄.
ⅱ) 중요 교육 내용 - 기독교 신학에 중심을 둔 - 철학적 사상
⇒ 신앙(교리)과 이성의 조화
ⅲ) 신앙을 - 이성으로 이해하려는 기독교 철학.
⇒ ❶ 일반적인 철학적 탐구와 인지와 인식의 문제를 - 신앙과 결부시킴.
❷ 절대자의 아래에서 - 인간의 이성을 이해하였다
❸ 이성을 - 교회의 권위에 복종시키고
교리들을 - 독자적으로 증명하고자 노력함.
⒈ 이성과 신앙의 일치,
⒉ 포괄적인 체계 수립,
⒊ 철학은 신학의 시녀.
ⅳ) 신의 존재를 - 이론적으로 증명하고자 함
⒈ 신학과 철학, 신앙과 이성, 인간과 자연을 조화시켜 -
⇒ 기독교의 교리를 - 철학적으로 논증하고
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함.
⒉ 신의 존재 문제를 - 단순히 물질적으로나 추상적인 방법으로
관찰 또는 연구하지 않고 -
⇒ 기독교의 신앙에 따라 해결하고자 함.
ⅴ) 기독교 교리를 - 그리스 철학에 기초하여 -
※ 합리적으로 설명하려 한 철학
ⅵ) 교리들을 - 수집, 분석, 체계화하여 -
⇒ 개연성 있는 모든 반론에 대해 - 합리적으로 변증함.
cf) 스콜라 철학 이전까지는 - 단순히 교리 중심이었음.
⇒ 성경의 교리로 이단들과 투쟁하는 동안 터득한
자신들의 가르침을 정리했었음.
⑥ 초기 스콜라주의 시대 - 11~12세기
ⅰ) 교부철학을 발전시킨 플라톤적 경향의 신학과 철학이 유행.
ⅱ) 중심인물 - 안셀무스(Anselmus)
Ⓐ ‘신존재 증명’으로 유명 - 존재론적 논증을 통해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 함.
Ⓑ 알기 위해 믿는다.
Ⓒ 신앙이 - 지식의 전제조건임을 주장.
Ⓓ 스콜라주의의 - 길을 열음.
Ⓔ 신은 - 인간이 상상하는 것을 넘어서는 - 가장 큰 존재
Ⓕ 이성 - 인간 정신의 최고 능력.
우리 자신의 무지를 일깨워 주는 것.
⑦ 중기 스콜라주의 시대 - 13세기
ⅰ)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유입되어 - 스콜라주의의 전성시대를 맞음.
ⅱ) 중심인물 - 토마스 아퀴나스(Thomas Aquinas)
Ⓐ 신앙의 권위를 인정하면서도 - 이성을 중요시함.
Ⓑ 스콜라주의를 - 종합하고 완성시킴.
Ⓒ ‘신학대전'(Summa Theologiae)’ - 교회의 교리와 기독교 신학을 이성적인 논리로
질서 정연하게 체계화 함.
⑧ 후기 스콜라주의 시대 - 종교개혁 시대와 함께 끝남.
ⅰ) 유명론의 등장으로 - 스콜라 철학이 흔들림.
cf) 유명론 - ❶ 보편적인 것은 - 단지 이름만 있을 뿐이고
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.
❷ 스콜라 철학의 가장 근간이 되는 교리들에 대해 -
※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함.
⇒ 중세체제에 균열을 일으킴.
동시에 종교개혁의 기초가 되는 - 중요한 원리들을
제시함.
ⅱ) 이성과 권위가 - 분리되면서 -
⇒ 스콜라주의가 - 쇠퇴하기 시작.
ⅲ) 근세철학의 등장으로 - 쇠퇴함.
⑨ 개신교 스콜라주의( = 개신교 정통주의)(16~18세기)
ⅰ) 종교개혁 말기부터 ~ 신스콜라 철학까지.
ⅱ) 종교개혁의 신학을 - 철학과 종합시키고 체계화시켰음.
ⅲ) 교파에 따라 - ❶ 루터파 정통주의와
❷ 개혁파정통주의로 - 나뉨.
⑩ 신스콜라철학(Neo-scholasticism) - 신토마스주의(Nep - Thomism) - 19세기 중엽
ⅰ) 가톨릭 신학 및 철학 내부에 - 스콜라 철학의 부흥이 일어남.
ⅱ)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를 다시 연구하여 -
⇒ 그의 사상을 - 현대철학의 여러 문제에 적응시켜 -
※ 새로운 타당성을 갖게 하려는 철학 운동.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15. 스토아 학파(Stoicism) - 스토아 철학의 특징과 내용 (0) | 2024.02.17 |
---|---|
614. 스키타이(Scythia) - 스키타이의 특징, 스키타이의 역사와 종교 (0) | 2024.02.17 |
612. 스올(Sheol) - 하데스, 죽은 자들이 거처하는 지하 세계 (0) | 2024.02.13 |
611. 스얄야숩(Shear Jashub) - 이사야 아들, 남은 자가 돌아오리라 (0) | 2024.02.13 |
610. 스알디엘(Shealtiel) - 네리의 아들로 여호야긴(여고냐)의 양자가 됨 (0) | 2024.02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