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8. 서기관 ~ 십자가

615. 스토아 학파(Stoicism) - 스토아 철학의 특징과 내용

615. 스토아 학파(Stoicism) - 스토아 철학의 특징과 내용

① 의미 - ‘채색 강당’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스토아 - 폴리그노트라는 벽화로 장식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아덴의 (스토아 포이킬레) “채색 강당”이라는 말에서 유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제논이 - 아테네의 아고라 광장 근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스토아 포이킬레(Stoa Poikile)에서 강론하여 붙여진 이름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벽화가 그려진 주랑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이 강당에서 - 스토아 학자들이 강의했다.

 

②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그리스와 로마 전역에서 부흥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헬레니즘 시대부터 - 전기 로마 시대까지 성행함.

 

③ 창시자 - 퀴프루스(키티온)의 제논(Zenon BC 366~ BC 264년)

 

④ 대표적인 스토아 철학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제논 - 스토아 학파 창시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에픽테토스 - 노예였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세네카 - 네로 황제의 스승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❹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- 로마의 오현제 중에 마지막 황제.

 

⑤ 중요 핵심 -

            보편적인 이성과

            금욕적인 삶을 중시.

 

⑥ 스토아 학파는 - 학문을 3가지로 분류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자연학     ❷  논리학    ❸ 윤리학

       ⅰ) 이 3 학문은 -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논리학을 매개로 - 상호 연결되어 있다.

       ⅱ) 후기로 넘어가면서 점차 - 자연학보다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윤리학 쪽에 더 관심이 더 쏠리게 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자연학 - 범신론적 유물론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우주 만물에는 - 신이 존재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우주가 신이고 - 신이 우주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우주 만물은 -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상호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논리학 - 인식론으로서의 감각론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우주는 - 자연 자체에 잠긴 신인 - 이성에 따라 작동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논리(logique)는 - 이성(logos)을 고려한 철학의 한 부분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행복하고 가치가 있는 삶을 성취하려면 - 논리적 사고가 필요하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윤리학 - 금욕주의(asceticism)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외적 권위나 세속적인 것을 - 거부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금욕과 극기의 태도를 – 추구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아파테이아(Apatheia)를 추구( = 부동심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모든 감정을 억제하여 - 어떤 것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상태.

 

⑦ 합리주의 철학에 영향을 끼쳤다.

 

⑧ 주요 개념.

       ⅰ) 신 - 로고스(이성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우주의 본유적 이성(또는 신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즉, 로고스에 그들의 의지를 합일시킴으로 구원을 얻으려 함

       ⅱ) 최고의 선 - ‘덕’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미덕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- 유다이모니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즉 잘 사는 삶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일상에서 - ❶ 지혜    ❷  용기    ❸ 절제(중용)     ❹  정의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⒈ 4가지 미덕을 - 실천해야 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⒉ 자연에 - 순응하는 삶을 사는 것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유다이모니아를 달성하는 길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인간에게 - 덕은 - 유일한 선이며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건강, 부, 쾌락과 같은 외적인 것들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덕이 행동할 수 있는 재료일 뿐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Ⓓ 개인의 철학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은 - 그 사람의 말이 아니라 행동이다.

       ⅲ) 죄와 악의 근원 - 무지와 이성의 결핍에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어떤 파괴적인 감정은 - 판단의 오류에서 비롯된다.

       ⅳ) 세계 동포주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우주에는 - 신적 이성이 가득 차 있기 때문에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이에 참여한 모든 인류는 - 한 형제다.

       ⅴ) 세계는 - 정신과 물질로 이루어졌으며 -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것은 - 궁극적 실재의 서로 다른 면임.

       ⅵ) 덕을 소유하는 길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자연 질서에 순응하여 - 쾌락이 아닌 무욕의 덕을 소유할 수 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사람들은 - 자연에 순응하는 의지(프로하이레시스)를 유지하려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노력해야 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모든 것은 - 자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음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좋은 삶을 살기 위해서는 - 자연 질서의 규칙을 이해해야 한다.

       ⅶ) 스토익(stoic) - 금욕적인 삶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감정의 절제와 고락의 초탈 상태를 의미.

 

⑨ 바울이 그들과 쟁론 했던 무렵까지 - 여러 차례의 수정을 거듭함.(행 17:18)

 

⑩ 바울 2차 선교 여행시 아덴( = 아테네)에서 선교를 할 때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철학자들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바울과 논쟁을 했다(행 17:16~3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54. 바울①~⑧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⇒ 데살로니가(테살로니카) ⇒ 베뢰아(베레아) ⇒ (배타고) ⇒ 아덴( = 아테네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행 17: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행 17:10)            (행 17:14)        (행 17:1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고린도(고린토, 1년 6개월 머뭄. 살전-후, 갈라디아서 기록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행 18: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겐그레아(겐크레아) ⇒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행 18:18)

 

 

https://www.conformingtojesus.com/images/webpages/pauls_second_missionary_journey1.jpg

 

 

 

 

       ⅰ) 바울이 - 아덴( = 아테네)에서 - 디모데와 실라를 기다리는 동안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아덴의 도시를 살펴봄.(행 17:16~2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바울이 - 아덴에서 그들(실라와 디모데)을 기다리다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 성에 우상이 가득한 것을 보고 - 격분하였다.(행 17: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행 17:16 – 바울이 - 아덴에서 저희를 기다리다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온 성에 - 우상이 가득한 것을 보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마음에 분하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그들의 종교적 열심히 대단함을 - 알게 됨.(행 17:2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심지어 - ‘알지 못하는 신’에게라고 새긴 단을 봄(행 17:2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행 17:22 - 바울이 - 아레오바고 가운데 서서 말하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“아덴 사람들아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너희를 보니 - 범사에 종교성이 많도다.”

       ⅱ) 기독교의 변론과 - 당시의 철학자들과 논쟁함.(행 17:17~3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회당에서는 - 유대인과 경건한 사람들과(행 17:17a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또 장터에서는 - 날마다 만나는 사람들과 - 변론하니(행 17:17b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92. 기독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유명한 철학자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철학자들와 쟁론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어떤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철학자들도 - 바울과 쟁론할 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어떤 사람은 이르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“이 말쟁이가 -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느냐?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어떤 사람은 이르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“이방 신들을 전하는 사람인가보다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이는 - 바울이 - 예수와 부활을 전하기 때문이러라(행 17:18)

 

 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그를 붙들어 - 아레오바고로 가며 말하기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철학자들 - “네가 말하는 - 이 새로운 가르침이 무엇인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우리가 알 수 있겠느냐?(행 17:1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네가 - 어떤 이상한 것을 - 우리 귀에 들려 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그 무슨 뜻인지 - 알고자 하노라.”(행 17:2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모든 아덴 사람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거기서 나그네 된 외국인들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가장 새로운 것을 - 말하고 듣는 것 이외에는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달리 시간을 - 쓰지 않음이더라(행 17:21)

       ⅲ) 아레오바고( = 아레오파고 Άρειος Πάγος) 회의소에서 - 부활의 진리를 전함.(행 17:22~3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423. 부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아레오바고 회의소 - 종교재판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행 17:22 - 바울이 - 아레오바고 가운데 서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말하되 -

 

 

 

https://wol.jw.org/en/wol/mp/r1/lp-e/it-2/2018/366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아덴 사람들아!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너희를 보니 - 범사에 종교심이 많도다(행 17:2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내가 두루 다니며 - 너희가 위하는 것들을 보다가 -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‘알지 못하는 신에게!.’라고 - 새긴 단도 - 보았으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그런즉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너희가 - 알지 못하고 위하는 - 그것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내가 - 너희에게 - 알게 하리라(행 17:2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Ⓒ 우주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 가운데 있는 만물을 지으신 - 하나님께서는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천지의 주재시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손으로 지은 전에 - 계시지 아니하시고(행 17:2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또 무엇이 부족한 것처럼 - 사람의 손으로 섬김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는 - 만민에게 -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친히 주시는 이심이라(행 17:25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인류의 모든 족속을 - 한 혈통으로 만드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온 땅에 살게 하시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들의 - 연대를 정하시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거주의 경계를 - 한정하셨으니(행 17:2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⒈ 이는 - 사람으로 - 혹 하나님을 더듬어 찾아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발견하게 하려 하심이로되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⒉ 그는 - 우리 각 사람에게서 - 멀리 계시지 아니하도다.(행 17:27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Ⓓ 우리가 - 그를 힘입어 - 살며 기동하며 존재하느니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너희 시인 중 - 어떤 사람들의 말과 같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우리가 - 그의 소생이라 하니(행 17:28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이와 같이 - 하나님의 소생이 되었은즉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하나님을 - 금이나 은이나 돌에다 - 사람의 기술과 고안으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새긴 것들과 같이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여길 것이 아니니라(행 17:29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Ⓔ 알지 못하던 시대에는 - 하나님이 간과하셨거니와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이제는 - 어디든지 사람에게 다 명하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“회개하라!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셨으니(행 17:30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이는 - 정하신 사람으로 하여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천하를 - 공의로 심판할 날을 - 작정하시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이에 -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것으로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모든 사람에게 - 믿을 만한 증거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주셨음이니라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니라(행 17:31)

       ⅳ) 관원인 디오누시오와 다마리 여사와 여러 사람이 - 믿기 시작함(행17:32~3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그들이 - 죽은 자의 부활을 듣고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어떤 사람은 - 조롱도 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어떤 사람은 - 이 일에 대하여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“네 말을 - 다시 듣겠다!.”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하니(행 17:32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이에 바울이 - 그들 가운데서 떠나매(행 17:33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Ⓒ 몇 사람이 - 그를 가까이하여 믿으니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30. 믿음①②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그 중에는 - 아레오바고 관리 - 디오누시오와 다마리라 하는 여자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또 다른 사람들도 있었더라(행 17:34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

⑪ 쇠퇴 - 기독교가 국교가 된 후 쇠퇴함(AD 4세기)

 

⑫ 다시 부흥 - 르네상스 시대 - 신스토아주의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현대 시대 - 현대 스토아주의를 거치며 부흥기를 맞이함.

       ⅰ) 신스토아주의(Neostoicism) - 16세기 후반 ~ 17세기 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기독교와 스토아 학파의 - 체계적인 통합을 이루려는 노력함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중요 인물 - 유스튀스, 립시위스

       ⅱ) 현대 스토아 주의(Modern Stoicism) - 20세기 후반 ~ 21세기 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현대에서 - 스토아 철학을 부활시키려는 철학 운동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Ⓑ 스토아 학파의 철학에 대한 관심의 부활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고대 스토아 학파를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현재의 언어와 개념적 틀에 적용시키기 위한 - 철학적 노력을 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