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62. 신(god)⑥ - 이집트 태양신 호루스, 네프티스, 하토르, 세크메트, 토트, 프타
11) 호루스(Horus) - 태양신, 파라오 보호의 신, 복수의 신, 호루스의 눈
① 태양신, 파라오 보호의 신, 복수의 신
② 가족 -
ⅰ) 아버지 - 오시리스 - 풍요, 곡물의 신 저승의 신
ⅱ) 어머니 - 이시스 - 나일강을 주관하는 신, 풍요의 신, 창조와 마법의 여신
ⅲ) 부인 - 하토르 - 사랑과 미의 여신
ⅳ) 아들들 - 미라의 장기를 보관하는 카노푸스의 단지
❶ ‘이메스티( = 임세티)’ - 사람의 모습 - 간 담당 - 이시스의 보호 받음.
❷ ‘하피’ - 비비원숭이 모습 - 폐 담당 - 네프티스의 보호 받음.
❸ ‘우아무테프’ - 자칼의 모습 - 위 담당 - 네이트의 보호 받음.
※ 아누비스와 머리가 같다.
❹ ‘케베세누에프’ - 매의 모습 - 장 담당 - 세르케트의 보호 받음.
※ 호루스와 머리가 같다.
③ 호루스를 - 파라오의 수호신이라고 믿음.
※ 파라오는 호루스 신의 환생이라고 믿음.
④ 이집트의 신들 중에서 다양화된 모습으로 보여짐.
❶ 보통 - 매의 머리를 한 남자의 모습.
❷ 호루미오스라고 불릴 때에는 - 사자의 모습.
❸ 하르마키스라고 불릴 때에는 - 스핑크스의 모습
⑤ 죽었던 아버지 오시리스가 살아 남
ⅰ) 삼촌 세티가 아버지 오시리스를 석관에 넣어 죽임 - 나일강으로 흘려 보냄.
⇒ 관이 비블로스 왕국까지 흘러 감 - 타마리스크 나무 가지 안에 머뭄.
⇒ 이시스가 오시리스의 관을 찾음.
ⅱ) 네프티스, 아누비스, 죽은 오시리스의 재상 토트가 -
⇒ 죽은 시체에 - 영원한 생명을 불어넣는 의식을 - 처음으로 행했다.
⇒ 입김을 불어 넣어 - 하루 동안 오시리스를 살게 함.
Ⓐ 이때 이시스는 너무 기뻐서 - 새로 변하여 -
⇒ 오시리스 미라의 주변을 - 여러 번 돌았다.
Ⓑ 그때 생명의 바람이 일어 - 오시리스가 살아남.
⇒ 오시리스는 - 저승의 왕이 되어 - 저승을 다스리게 됨.
ⅲ) 이시스가 임신함 - 이 하루 동안에 이시스는 아들 호루스를 임신한다.
⑥ 호루스가 태어남.
ⅰ) 부활 의식 이후 - 세트에게 잡혀 감옥에 갇혀 있던 이시스에게 -
※ 토트가 찾아와 - 이시스의 임신 사실을 알림.
ⅱ) 토트의 도움으로 피신한 이시스는 - 세트에게 임신 사실을 숨길 수 있었다.
ⅲ) 이시스는 세트의 노여움을 피해 - 자신을 수호하는 7 마리의 뱀(또는 전갈)과 함께
갈대밭 저습지에 숨어 -
※ 아들 호루스를 낳았다.
ⅳ) 이시스가 호루스를 낳는 장면
※ 이시스 앞에 - 영원한 빛의 창조자이며 지배자인 아몬-레(Amon-Re)가 서서 -
⇒ 이시스에게 - 생명의 징표인 앙크를 주고 있다.
ⅴ) 토트(Thoth)는 - 그녀의 뒤에서 그녀의 오른팔을 쥐고 보호의 주술을 걸어 줌.
ⅵ) 이시스는 - 아들 호루스가 자기 아버지의 복수를 하고 세습권을 주장할 수 있는 성년이 될 때까지
숨어서 아들을 키웠다.
⑦ 세트가 호루스를 죽이려 함.
ⅰ) 세트가 독사로 변해 - 호루스를 물어 호루스가 혼수상태로 빠짐.
ⅱ) 토트가 내려와 - ❶ 태양신 ‘라’의 힘으로 - 호루스를 치료하고 -
❷ 태양이 보호받는 마법으로 - 호루스가 보호 받을 것이라 약속하고 -
⇒ 태양신 ‘라’에게 돌아갔다.
⑧ 호루스가 치료 받는 기간 동안 -
※ 토트의 말대로 - 태양의 배는 멈추어 ⇒ 암흑이 - 이집트를 다스렸다
⑨ 호루스가 왕이 됨 - 죽은 아버지의 왕위를 되찾기 위해
삼촌 세트와 맞서 전쟁을 치르고 결국 왕위를 되찾음.
ⅰ) 세트와 호루스의 싸움이 80년간 계속 될 때 -
❶ 세트의 공격으로 - 호루스의 왼쪽 눈(즉 달)을 잃게 됨.
❷ 이때 지혜의 신 토트가 - 산산 조각난 호루스의 왼쪽 눈을 치유해 줌.
ⅱ) 호루스는 - 여신 네이트의 도움을 받아 - 세트의 한쪽 다리와 성기를 잘라
그를 살해했다.
⑩ 호루스의 눈( = 우자트 = 악마의 눈동자)
ⅰ) 모습 - 자신의 아버지 오시리스의 죽음을 복수하는 이글거리는 증오의 눈빛.
ⅱ) 오른쪽 눈은 - 태양을
왼쪽 눈은 - 검정이며 - 달을 상징.
ⅲ) 이집트의 파라오들은 - 이 눈을 호루스가 육화된 모습이라고 믿음.
ⅳ) 회복된 눈의 모양은 - 강력한 부적이 됨.
cf) 눈 밑으로 빠져나오는 선 - 매의 깃털을 의미.(호루스의 상징)
⑫ 호루스는 저승에서 - 죽은 자들을 오시리스 앞으로 안내하여
영혼의 무게를 재는 일을 감독한다.
⑪ 소벡은 - 호루스가 세트와 싸울 때 도왔고
- 호루스의 아들들을 나일강에서 구해줌.
cf) 소벡(Sobek = 세베크) - 나일강을 관장하는 신. 악어의 모습
12) 네프티스(Nephthys) - 슬픔의 여신, 죽음의 여신, 일몰과 황혼의 여신
① 슬픔의 여신, 죽음의 여신, 일몰과 황혼의 여신
② 가족
ⅰ) 아버지 - ‘게브’(대지의 신)와
ⅱ) 어머니 - ‘누트’(하늘의 여신)
ⅲ) 남매 - ❶ 오시리스 ❷ 세트 ❸ 이시스 ❹ 네프티스
※ 결혼 - ‘세트’ + ‘네프티스’,
‘오시리스’ + ‘이시스
※ 이시스와 네프티스는 - 쌍둥이
ⅳ) 남편 - 세트
ⅴ) 아들 - 아비누스(오시리스의 아들) - 장례를 주관하는 신
※ 네프티스가 - 오시리스를 사모하여 -
⇒ 이시스로 변장 후 오시리스에게 술을 먹이고 관계를 가짐.
⇒ 오시리스를 낳음.
③ 오빠인 세트와 결혼했으나 - 세트를 버리고 큰 오빠인 오시리스를 사랑함.
⇒ 이시스로 변신 후 - 오시리스에게 술을 먹인 뒤 -
※ 그와 관계해 - 아누비스를 낳음.
④ 이시스를 도와 - 오시리스를 부활시킨다.
ⅰ) 남편 세티가 - 오시리스를 죽임
⇒ 오시리스의 석관이 - 비블로스(지금의 레바논)까지 흘러 감.
⇒ 오시리스의 관이 - 타마리스크 가지들에 덮히게 됨.
ⅱ) 이시스가 - 오시리스의 관을 이집트로 가지고 옴.
Ⓐ 왕과 왕비에게 자초지종을 말하고 - 오시리스의 관이 들어 있는 타마리스크 기둥을 잘라내어 -
⇒ 그 곳에 들어 있던 남편의 관을 꺼내 - 하염없이 눈물을 흘린 후
※ 거룻배로 - 이집트로 가지고 왔다
Ⓑ 이시스는 - 갈대 늪에 - 석관을 숨겨 두었다.
ⅲ) 세트는 - 냄새를 잘 맡는 멧돼지를 몰고 와 - 시신을 찾아내었다.
Ⓐ 화가 난 세트는 - 그 몸을 14조각으로 찢어 - 이집트 각지에 던져버리고
- 오시리스의 남근은 - 나일 강에 버렸다.
Ⓑ 이시스는 - 이 소식을 듣고 - 다시 남편의 시체를 찾으러 다녔다.
ⅳ) 이를 보던 ‘라’는 - 오시리스의 장례도 못 치르게 되었다며 - 아비누스를 꾸짖는다.
Ⓐ 세트가 아버지인줄로만 알던 아누비스가 - 도울 생각이 없자
※ ‘라’가 – 아누비스에게 그의 출생의 비밀을 - 넌지시 말해준다.
Ⓑ 결국 어머니 네프티스로부터 - 오시리스가 친아버지라는 말을 듣고 -
⇒ 이시스에게 가서 - 방법을 연구한다.
ⅴ) 이시스는 - 네프티스를 용서하고 -
⇒ 네프티스와
후각이 뛰어난 아누비스와 함께 - 시신을 찾으로 다녔음.
cf) 네프티스와 이시스는 - 때로는 관 위에 있는 모습으로,
- 때로는 새의 모습으로 그려진다.
ⅶ) 시체의 잔해를 - 거의 다 찾아 모았음.
※ 오시리스의 남근은 - 찾지 못했음.
⑤ 오시리스가 - 미이라가 됨.
ⅰ) 미이라로 만들었음.
※ 이때 네프티스 사이에서 낳은 아들 아누비스가 - 미이라로 만듦.
cf) 아누비스 - 장례의 신, 죽은 자를 인도하는 신
ⅱ) 미이라의 상징으로 - 초록색 몸과 손을 가슴에 포개고 있다.
ⅲ) 아들 아누비스가 - 그 시체를 베로 감아서 미이라로 만들었기 때문에
장례를 주관하는 신이기도 함.
⑥ 네프티스, 아누비스, 죽은 오시리스의 재상 토트가 -
⇒ 죽은 시체에 - 영원한 생명을 불어넣는 의식을 - 처음으로 행했다.
⇒ 입김을 불어 넣어 - 하루 동안 오시리스를 살게 함.
ⅰ) 이때 이시스는 너무 기뻐서 - 새로 변하여 -
⇒ 오시리스 미라의 주변을 - 여러 번 돌았다.
ⅱ) 그때 생명의 바람이 일어 - 오시리스가 살아남.
⇒ 오시리스는 저승의 왕이 되 - 저승을 다스리게 됨.
⑦ 이시스가 임신함 - 이 하루 동안에 이시스는 아들 호루스를 임신한다.
⇒ 호루스는 자라서 - 세트를 죽이고 이집트의 왕이 됨.
13) 하토르(Hathor) - 하늘, 사랑, 결혼, 탄생, 미, 기쁨의 여신. 파라오의 어머니
※ 세크메트의 - 선한 모습
바스테스와 - 같은 성격, 같은 역할
cf) 한 몸에 - 2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음.
※ 선과 악의 성질을 - 함께 가지고 있음.
❶ 하토르 - 여성의 선한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음.
❷ 세크메트 - 하토르의 젊었을 때의 속성 여성의 악한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음.
① 하늘, 사랑, 결혼, 탄생, 미, 기쁨의 여신
② 가족
ⅰ) 아버지 - 라(RA) - 태양신
ⅱ) 남편 - 호루스(Horus) - 태양신, 파라오 보호, 복수의 신, 호루수의 눈
ⅲ) 아들들 - 미라의 장기를 보관하는 카노푸스의 단지
❶ ‘이메스티( = 임세티)’ - 사람의 모습 - 간 담당 - 이시스의 보호 받음.
❷ ‘하피’ - 비비원숭이 모습 - 폐 담당 - 네프티스의 보호 받음.
❸ ‘우아무테프’ - 자칼의 모습 - 위 담당 - 네이트의 보호 받음.
※ 아누비스와 머리가 같다.
❹ ‘케베세누에프’ - 매의 모습 - 장 담당 - 세르케트의 보호 받음.
※ 호루스와 머리가 같다.
③ 그리스의 아프로디테, 로마의 비너스와 동일.
④ 모습 - 보통 2개의 뿔 사이에 태양 원반을 달고 있는 여신.
※ 암소 또는 암소의 얼굴을 가진 모습으로도 표현된다.
⑤ 파라오의 어머니로도 불림 - ‘모성’, 혹은 ‘여성’을 강조하는 여신임.
cf) 이집트의 왕 파라오는 - 호루스 신의 아들(‘소호루스’라 칭함)로 인식함.
❶ 처음에는 현실 속에서 - 파라오에게 우유를 주는 존재였다.
❷ 사후 - 우유를 주는 역할을 새롭게 맡게 됨.
⑥ 죽은 자는 - 오시리스에게 심판을 받기 전까지 - 하토르의 은혜를 받는다.
⑦ 아피스(숫소 - 거룩한 소 - 프타의 화신)와 함께 - 숭배 됨.
※ 아피스 - 하토르(암소)의 남편
ⅰ) 애굽( = 이집트)의 소 숭배는 - 400년 동안 애굽에서 종살이를 한 이스라엘 백성에게
큰 영향을 주었다.
ⅱ) 출애굽 직전 10 재앙 중 - 모든 가축이 악질(전염병)에 걸려 죽게 한 재앙은
하나님이 애굽의 우상 아피스와 하토르를 심판한 것임.(출 9:1~7)
※ 출 9:6 - 이튿날에 여호와께서 이 일을 행하시니 -
⇒ 애굽의 모든 가축은 - 죽었으나
이스라엘 자손의 가축은 - 하나도 죽지 아니한지라
ⅲ) 아론과 백성들은 - 모세가 없는 틈을 타서 - 금송아지를 만들어 경배.(출 32:4~8)
※ 출 32:4 - 아론이 - 그들의 손에서 금 고리를 받아 -
⇒ 부어서 조각칼로 새겨 -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-
※ “이스라엘아!.
※ 이는 -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이로다.!.”
하는지라
ⅳ) 솔로몬을 피해 애굽으로 도망갔었던 여로보암①도 - 아피스와 하토르의 영향을 받았다.
cf) 여로보암① - 북이스라엘 벧엘과 단에 금 송아지를 만들어 경배하게 했음.
(왕상 12:29~30)
※ 왕상 12:28 - 이에 계획하고 - 두 금송아지를 만들고 무리에게 말하기를 -
※ “너희가 - 다시는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이 없도다.
이스라엘아 -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
너희의 신들이라.”
하고
왕상 12:29 - 하나는 - 벧엘에 두고 하나는 - 단에 둔지라
14) 세크메트(Sekhmet) - 파괴의 신, 치유의 여신, 파라오와 마트의 수호신
① 한 몸에 - 2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음.
※ 선과 악의 성질을 - 함께 가지고 있음.
❶ 하토르 - 여성의 선한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음.
※ 하늘, 사랑, 결혼, 탄생, 미, 기쁨의 여신.
❷ 세크메트 - 하토르의 젊었을 때의 속성 포악하고 잔인한 속성
⇒ 하토르가 화를 낼 때마다 - 피를 먹으며
- 적들이 두려워하는 무서운 암사자,
- 피에 굶주린 세크메트의 모습을 취함.
② 세크메트는 - 하토르의 젊은 시절의 속성.
③ 가족 -
ⅰ) 남편 - 프타 - 우주의 창조신, 가축의 신-아피스
cf) 아피스 -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로 만들어 숭배했던 수소 신.
ⅱ) 아들 - 네페르툼 - 농장물, 향료의 신, 의술의 신
④ 신에게 반항하는 자에게는 - 추호의 용서도 없이 엄한 벌을 내린다.
cf) 보통은 - 선하고 아름다운 모습임. – 하토르이기 때문.
ⅰ) 분노가 최고조에 달하면 - 싸움의 신 세크메트라는 여신으로 변신함.
ⅱ) 암사자(Lion)로 변신하여 - 적을 물어뜯은 다음 그 피를 빨아먹는다.
ⅲ) 또 적과 싸울 때는 - ‘라의 눈’이라는 강렬한 눈으로 적을 공포에 떨게 했다 함.
⑤ 전쟁 중에는 - 파라오의 수호신이 됨.
15) 프타(Ptah) - 창조의 신, 가축의 신, 장인과 예술가 보호의 신, 위대한 발명가
① ‘프타’의 의미 - ‘건립자’
② 우주의 창조에 관여한 신 중 하나, 가축의 신
ⅰ) 지혜의 신인 토트의 명령에 따라 - 프타(창조의 신 = 아피스=거룩한 소)와 마트가
함께 천지창조.
cf) 마트 - 토트의 아내 - 지혜와 정의, 조화와 진리의 여신.
ⅱ) 신, 인간, 가축 등 모든 생물체는 - 프타의 심장과 혀에서 나왔다 믿음.
③ 장인(匠人)과 예술가의 보호의 신, 모든 기술의 위대한 발명가.
④ 가족 -
ⅰ) 부인 - 세크메트 - 파괴의 신, 치유의 여신, 파라오와 마트의 수호신
※ 하토르가 화가 났을 때의 모습
하토르의 젊었을 때의 성품
ⅱ) 아들 - 네페르툼 - 농장물, 향료의 신, 의술의 신
⑤ 모습 - 2가지.
❶ 미이라가 된 남자의 모습 - 초록색 얼굴
※ 머리 - 꼭 달라붙는 모자를 쓰고,
턱 - 긴 가짜 수염을 달았으며,
몸 - 모시 옷으로 감겨 있음.
왼손 - 생명, 힘, 영속, 전지전능을 상징하는 왕의 지팡이를 듦.
❷ 아피스 - ‘거룩한 소’의 모습.
cf) 부인 하토르 - 파라오에게 젖을 먹임.
⑥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지배한 최고의 신.
ⅰ) 멤피스 3대 신 - ❶ 프타
❷ 세크메트 - 아내
❸ 네페르툼 - 아들
ⅱ) 멤피스(놉②) 곳곳에 신전이 세워져 - 해마다 화려한 제의가 치러졌다.
⑦ 이집트에서 - 아몬(Amon)·라(Ra) 다음으로 - 3번째로 높은 신.
⑧ 그리스 신화의 - 불과 대장장이의 신인 헤파이스토스,
로마 신화의 - 불카누스와 동일시됨.
⑨ 아피스 - 하토르(암소)와 함께 숭배됨.
※ 하토르 - 암소
아피스 - 수소( = 황소) - 프타의 현신
ⅰ) 애굽의 소 숭배는 - 400년 동안 애굽에서 종살이를 한 이스라엘 백성에게
큰 영향을 주었다.
ⅱ) 출애굽 직전 10 재앙 중 - 모든 가축이 악질(전염병)에 걸려 죽게 한 재앙은 -
※ 하나님이 애굽의 우상 아피스와 하토르를 심판한 것임.
(출 9:1~7)
※ 출 9:6 - 이튿날에 여호와께서 이 일을 행하시니 -
⇒ 애굽의 모든 가축은 - 죽었으나
이스라엘 자손의 가축은 - 하나도 죽지 아니한지라
ⅲ) 아론과 백성들은 - 모세가 없는 틈을 타서 - 금송아지를 만들어 경배.(출 32:4~8)
※ 출 32:4 - 아론이 - 그들의 손에서 금 고리를 받아 -
⇒ 부어서 조각칼로 새겨 -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
그들이 말하되 -
※ “이스라엘아!.
※ 이는 -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
너희의 신이로다.!.”
하는지라
ⅳ) 솔로몬을 피해 애굽으로 도망갔었던 여로보암①도 - 아피스와 하토르의 영향을 받았다.
cf) 여로보암① - 북이스라엘 벧엘과 단에 - 금 송아지를 만들어 경배하게 했음.
(왕상 12:29~30)
※ 왕상 12:28 - 이에 계획하고 - 두 금송아지를 만들고 무리에게 말하기를 -
※ “너희가 - 다시는 예루살렘에 올라갈 것이 없도다.
이스라엘아 -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
너희의 신들이라.”
하고
왕상 12:29 - 하나는 - 벧엘에 두고 하나는 - 단에 둔지라
16) 토트(Thoth) - 창조의 신, 달의 신. 지혜와 정의의 신, 서기 및 통역의 신
① 다른 이름 - ‘타후티(Djehuty)’ - 이집트어
② 부인 - 마트(지혜와 정의의 여신)
③ 모습 -
❶ 하늘에서는 - 따오기의 머리로.
❷ 땅에서는 - 비비(바분)의 머리로.
❸ 달의 원반을 머리위에 얹기도 함.
④ 달의 신. 지혜와 정의의 신.
⇒ 달의 차고 기움으로 - 달력의 계산을 주관.
⑤ 창조에 관여한 신 중 한 명.
※ 지혜의 신인 토트의 명령에 따라 - 프타(창조의 신 = 아피스=거룩한 소)와 마트가
함께 천지창조.
cf) 마트 - 토트의 아내 - 지혜와 정의, 조화와 진리의 여신.
⑤ 서기 및 통역의 신 - 언어와 글을 발명.
ⅰ) 고대 이집트의 문자인 - 신성 문자(히에로글리프)를 발명하여 - 인류에게 줌.
ⅱ) 신들의 서기 - 왕의 탄생 등 성스러운 일을 기록.
⑥ 훌륭한 재상 - ❶ 오시리스의 재상
❷ 호루스의 충실한 재상.
cf) 호루스 - 오시리스의 아들
⑦ 가장 현명하고 지혜로운 신 - 모든 학문과 예술을 발명함.
※ 과학, 예술, 의학, 수학, 천문학, 점성술 등 지식과 지혜를 탄생시킨 학문 일반의 신.
⑧ 고대 그리스에서는 - 헤르메스와 동일시됨.
⑨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서 - 도서관의 수호신이 됨 - 헤르메스와 함께.
⑩ 사자의 서에서 - 심장 무게 달기 의식의 서기관으로 나옴.
⑪ 세트와 호루스의 왕위 다툼에서 - 다른 신들이 갈팡질팡할 때 -
※ 유일하게 호루스를 일관되게 지지한 신.
ex) 태양신 ‘라’만이 일관되게 세트를 지지한 것처럼
⑫ 오시리스와의 관계
ⅰ) 오시리스의 충직한 신하였다.
ⅱ) 오시리스의 사후 - 오시리스의 미망인 이시스를 도와 - 오시리스를 살림.
Ⓐ 세트가 - 오시리스를 죽임.
Ⓑ 그의 아내인 이시스는 - 네프티스, 아누비스, 죽은 오시리스의 재상 토트가의 도움으로 -
⇒ 죽은 시체에 - 영원한 생명을 불어넣는 의식을 - 처음으로 행했다.
⇒ 입김을 불어 넣어 - 하루 동안 오시리스를 살게 함.
Ⓒ 이때 이시스는 너무 기뻐서 - 새로 변하여 -
⇒ 오시리스 미라의 주변을 - 여러 번 돌았다.
Ⓓ 그때 생명의 바람이 일어 - 오시리스가 살아남.
⇒ 오시리스는 저승의 왕이 되 - 저승을 다스리게 됨.
ⅲ) 오시리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호루스를 - 지켜냄.
Ⓐ 부활 의식 이후 세트에게 잡혀 감옥에 갇혀 있던 이시스에게 -
※ 토트가 찾아와 - 임신 사실을 알림.
Ⓑ 토트의 도움으로 피신한 이시스는 - 세트에게 임신 사실을 숨길 수 있었다.
Ⓒ 이시스는 - 자신을 수호하는 7 마리의 뱀(또는 전갈)과 함께 있으면서
갈대밭 저습지에서 아들 호루스를 낳았다.
Ⓓ 이시스가 호루스를 낳는 장면에서는-
❶ 이시스 여신 앞에는 - 영원한 빛의 창조자이며 지배자인
아몬-레 (Amon-Re)가 서서 -
⇒ 그녀에게 - 생명의 징표인 앙크를 주고 있다.
❷ 토트(Thoth)는 그녀의 뒤에서 - 그녀의 오른팔을 쥐고 보호의 주술을 걸어 줌.
Ⓔ 이시스는 - 호루스가 성년이 될 때까지 숨어서 키움.
※ 자기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하고 세습권을 주장할 수 있을 때까지.
ⅳ) 독사에 물린 호루스를 - 치료해 줌.
Ⓐ 호루스가 - 독사로 변한 세트에게 물려 혼수상태로 빠졌다.
⇒ 토트가 내려와 - 태양신 ‘라’의 힘으로 - 호루스를 치료하고
- 태양이 보호받는 마법으로 호루스가 보호 받을 것을
약속하고 태양신 ‘라’에게 돌아갔다.
Ⓑ 호루스가 치료 받는 기간 동안 - 토트의 말대로 태양의 배는 멈추어
암흑이 이집트를 다스렸다
ⅴ) 그 호루스가 점점 자라 - 삼촌 세트와 싸워 이겨 이집트의 새로운 왕이 됨.
⑬ 호루스와의 관계
ⅰ) 호루스와 세트 사이의 전쟁을 - 말림
※ 죽은 아버지의 왕위를 되찾기 위해 - 삼촌 세트와 맞서 전쟁을 함.
⇒ 결국 왕위를 되찾음.
Ⓐ 세트와 호루스의 싸움이 80년간 계속 될 때
❶ 세트의 공격으로 - 호루스의 왼쪽 눈(즉 달)을 잃게 됨.
❷ 이때 지혜의 신 토트가 - 산산 조각난 호루스의 왼쪽 눈을 치유해 줌.
Ⓑ 호루스는 - 여신 네이트의 도움을 받아 - 세트의 한쪽 다리와 성기를 잘라
그를 살해했다.
ⅱ) 신들의 법정에서 - 호루스의 정통성을 인정해주었다.
⇒ 호루스가 - 세트로부터 왕위를 되찾음.
ⅲ) 호루스의 즉위 후에도 - 그는 호루스의 충직한 재상이 됨.
⑭ 호루스가 물러난 이후로는 - 토트가 위를 이어 이집트를 통치하기도 함.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62. 신(god)⑧ - 이집트 신 바스테트, 소벡, 네이트, 크눔, 아포피스, 두아트, 암두아트 (0) | 2024.05.01 |
---|---|
662. 신(god)⑦ - 이집트 신 마트의 깃털, 미이라 신 아누비스, 암무트, 네페르템 (0) | 2024.05.01 |
662. 신(god)⑤ - 이집트 신 오시리스, 이집트 여신 이시스, 이집트 신 세트 (0) | 2024.04.30 |
662. 신(god)④ - 이집트 창조의 신, 태양신 아툼과 라, 열 재앙 심판 받은 신들 (0) | 2024.04.29 |
662. 신(god)③ - 가나안 신들, 메소포타미아 신들, 수리아( = 아람) 신들 (0) | 2024.04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