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62. 신(god) ⑬ - 자라투스트라, 조로아스터교, 조로아스터교 교리
(10) 아후라 마즈다 - 페르시아( = 이란)의 고대 종교
※ 조로아스터교(Zoroastrianism) = 마즈다교(Mazdaism)
= 배화교(拜火敎)
① 창시자 - 조로아스터( = 자라투스트라 = 자라수슈트라 = 짜라투스트라)
cf) 의미 - ‘낙타를 다룰 수 있는 사람’
※ 생애와 출생 연대 및 활동 지역에 관해서 정확하지 않음.
ex) 출신 - 이란 북부지방(?) 이란 동부지역(?) 박트리아 출신(?)
출생 연도와 활동 시기 - BC 2,000년~ BC 600년(?) 중
어느 한 시점.
⇒ 약 BC 600년 경으로 보는 추세임.
② 가족
ⅰ) 아버지 - 푸루샤스파(Pourušaspa Spitāma)(의미 - 회색 말 소유)
ⅱ) 어머니 - 두그도바(Dughdova)(의미 - 우유 여성)
ⅲ) 형제 - 4명 - 2명의 형
2명의 남동생
※ 이들의 이름은 - 훨씬 후기의 팔라비 작품에 나옴.
ⅳ) 부인들 - 3명 - 조로아스터는 3번 결혼했음.
※ 1번째 2번째 부인들이 - 그에게 3아들와 3딸을 낳았다.(?)
3번째 부인 흐보비가 - 그에게 3아들와 3딸을 낳았다.(?)
❶ 1번째 부인 -
❷ 2번째 부인 -
❸ 3번째 부인 - 흐보비 - 자식이 없었다.
ⅴ) 아들 - 1째 부인으로부터 - 이사트 바스트라(Isat Vâstra),
2번째 부인으로부터 - 우르바타트 나라(Urvatat Nara) 흐바레 치트라(Hvare Chithra)
ⅵ) 딸 - 1번째 부인으로부터 - 프레니(Freni), 쓰리티(Thriti), 포우루치스타(Pourucista)
③ 조로아스터( = 자라투스트라)의 생애
ⅰ) 7세쯤 - 사제에게 맡겨져 - 종교 교사의 보살핌 아래 사제직의 훈련을 시작.
ⅱ) 15세쯤 - 사제가 된 걸로 추측 - 신성한 허리띠를 받았음.
ⅲ) 20세에 - 부모를 떠나 여행을 하면서 - 다른 교사들로부터 지식과 개인적인 경험을 얻음.
※ 부모의 뜻을 거스르고 - 집을 떠나 방황하며
삶에 대해 고뇌하기 시작
ⅳ) 30세 - 봄 축제에서 계시를 받음.
Ⓐ 봄 축제에 참석
Ⓑ 하오마 의식에 쓸 맑은 물을 긷기 위해 - 근처의 강물 속에 깊숙이 들어갔다 나옴.
Ⓒ 그때 그의 앞에 - 빛 자체처럼 빛나는 존재가 나타남.
※ 그는 자신을 - 보후 마나(Vohu Manah 선한 의지)라고 밝힘.
❶ 그에 의해 - 아후라 마즈다(Ahura Mazda)의 현신과
5명의 불사신 앞으로 불려 감.
⇒ 그들 앞에서 영적 깨달음을 얻었다.
❷ 아후라 마즈다는 - 그에게 자신을 위해 사역하라고 명했고,
⇒ 자라투스트라는 - 이 부름에 온 마음으로 순종함.
Ⓓ 2개의 원시 영혼의 존재를 알게 됨.
❶ 아샤(Asha 질서) ❷ 드루즈(Druj 기만)
Ⓔ 아샤를 찾는 법을 가르치는 데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함.
Ⓕ 이후 그는 - 더 많은 계시를 받았고
7 아메샤 스펜타의 시현을 봄.
⇒ 그의 가르침은 - 가타스와 아베스타에 기록됨.
Ⓖ 동료들에게 설파했으나 - 아무도 그 말을 제대로 들어주지 않았다.
⇒ 10년 동안 - 단 1 명만 개종시켰음.(자신의 사촌 마이드요이마흐)
ⓐ 전도의 어려움을 느낀 자라투스트라는 - 아후라 마즈다에게 하소연을 함.
ⓑ 사람들의 완고함에 좌절하여 - 고향을 떠남.
ⅴ) 40살일 때 - 첫 결혼을 함 - 총 3번 결혼했다.
ⅵ) 약 42세 - 왕비 후타오사(Hutaosa 박트리아 Bactria 출신)가 - 개종 됨.
⇒ 이후 왕비는 자신의 남편 카비 비쉬타스파 왕을 개종시킴.
Ⓐ 비쉬타스파 왕이 - 이웃 군주들과 전투를 벌이게 됨.
Ⓑ 이웃 군주들은 - 비쉬타스파의 개종과
자신들의 땅에 새 신앙이 자리 잡은 것에 - 분개함.
Ⓒ 이 싸움에서 - 비쉬타스파는 자기 형제 자이리바이리와 조카들의 지원을 받음.
cf) 전쟁의 최고 영웅은 - 비쉬타스파 왕의 아들 스펜토다타.
※ 그가 곧 - 페르시아 서사시의 - 이스판디야르.
Ⓓ 전투에서 승리했고 - 조로아스터교는 살아남아 명맥을 유지하게 됨.
ⅶ) 죽음 - 77세 때 살해당함.
※ 투이리야스 사람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-
⇒ Bradrēs라는 카라판(고대 이란 종교의 사제)에 의해 살해당함.
Ⓐ 기도하던 중 - 투라니아 가문의 카라판(karapan)에 의해 살해당함.
※ 살인자의 이름은 - 브라드레스(Tūr I Bradrēs)
Ⓑ 자라투스트라는 - 직접 하늘로 승천했음.
④ 조로아스터교가 시작된 나라 - 페르시아( = 이란)시작(BC 1,800년경 ~ BC 640년경)
cf) 현재 이란은 - 강한 이슬람 국가이다.
ⅰ) 본래 이란 국민들은 - 전통적인 페르시아를 상징하던 유서 깊은 종교로 여김.
ⅱ) 현재는 - 이슬람 근본주의 때문에 - 조로아스터교를 죄악으로 여김.
⑤ 유일신이자 최고의 신 - 아후라 마즈다(페르시아어: اهورا مزدا Ahura Mazdā)
※ 선한 신과 악한 신을 두고 - 이원적으로 세상을 보는 - 단일신교.
ⅰ) 아후라 마즈다 - 창조주, 선과 빛의 신,
지혜의 신, 풍요의 신, 정의의 신
ⅱ) 마즈다 - ‘지혜’를 의미
⇒ 훗날 조로아스터교를 - ‘마즈다 교’라 부르기도 함.
ⅲ) 창조신 아후라 마즈다를 중심으로 - 선과 악의 질서 및 세계를 구분.
ⅳ) 조로아스터교에 대한 오해 - “불을 숭상한다.”
Ⓐ 이유 - 조로아스터교는 하루에 5번 진행되는 의식을 - 신성히 여김.
※ 이 의식에 쓰이는 성화를 - 보존하기 위함.
Ⓑ 토속 신앙에서처럼 불을 숭배하는 종교는 아님.
ⅴ) 조로아스터교와 인도의 브라만교에서는 - 서로의 신과 악마가 뒤바뀌어 있다.
cf) 조로아스터교는 - 인도의 브라만교와 힌두교와
연관성이 깊으면서도 대립.
★참고 - 662. 신(god)⑪ - 인도 힌두교의 신들
❶ 조로아스터교의 최고의 신 아후라 마즈다(Ahura) - 인도의 악마 아수라(Asura)로
❷ 조로아스터교의 악마 다에바(Daeva)는 - 인도의 선한 신 데바(Deva)로.
⑥ 7명의 천사 - 아후라 마즈다를 보좌하며
선을 수호
❶ 인류의 수호자이자 최고 높은 천사 - 아메샤 스펜타
❷ 선과 동물의 수호자 - 보후 마나흐
❸ 빛과 불의 수호자 - 아샤 바히스타
❹ 신성함과 땅의 수호자 - 스펜타 아르마이티
❺ 정의와 광물,금속의 수호자 - 크샤트라 바이야르
❻ 영원함과 식물의 수호자 - 아메레타트
❼ 완벽함과 물의 수호자 - 스펜타 아르마이티
⑦ 경배 의식
ⅰ) 불을 - 빛과 순결의 상징으로 여김.
ⅱ) 아후라 마즈다를 - 불 앞에서 경배했다.
❶ 불 자체를 숭배한 것이 아님.
❷ 그러나 이 때문에 - 배화교(拜火敎)라고 불리게 됨.
ex) 아테슈카데(Ateshkadeh) 서원 - ‘불의 집’(1934년에 지어짐)
※ 470년부터 지금까지 약 1,500년이 넘게 꺼지지 않은 불이 있음.
cf) 이란이 이슬람 국가로 되면서 - 피난간 조로아스터교인들이
헌금하여 지어짐.
⑧ 조로아스터교 교리 - 선과 악의 투쟁
ⅰ) 이원론 - 2개의 영
※ 유일신 아후라 마즈다로부터 - 2개의 영이 나옴
❶ 선한 영 - 스펜타 마이뉴(Spenta Mainyu)
❷ 악한 영 - 앙그라 마이누(Angra Mainyu) - 샤이탄, 사탄
ⅱ) 선과 악의 투쟁 - 세상은 온통 선과 악의 투쟁이 가득 차 있다.
⇒ 인간은 자신의 의지력으로 - 선과 악을 선택하며 살아가야 함.
ⅲ) 최후의 심판과 만인 구원론
Ⓐ 사람이 죽으면 - 3일 동안 = 영혼이 시체에 머무른다.
※ 이때 - 평생 행한 일을 되돌아 본다.
⇒ 이를 위해 - 유족들은 시신을 훼손하지 않고 풍장을 해서
기다려야 함.
cf) 풍장 - 시신을 지상에 노출시켜 풍화시키는 장례법
Ⓑ 4일째에 - 인간의 영혼은 심판대에 나아가 -
※ 마드라 천사의 저울에 - 자신이 세상에서 행한 행위를 달아봄.
⇒ 그 결과에 따라 - 천국과 지옥으로 보내짐.
cf) 이것이 마지막이 아님.
Ⓒ 최후의 심판 때는 - ❶ 사탄과 악령은 - 소멸됨
❷ 악한 영혼들 - 순화되어 - 선한 영혼들과 합류함.
⑨ 조로아스터교의 대표 상징 – 파라바하르(Faravahar)
ⅰ) 사람의 양측에 - 2개의 날개가 있고,
ⅱ) 각 날개에는 - 3개의 중요한 깃털이 있다.
❶ 파라바하르의 얼굴 - 인간의 얼굴 - 인간과의 관계를 나타냄.
❷ 양쪽에 2개의 날개 - 그 날개에는 - 3개의 주요 깃털이 있다.
※ 좋은 생각, 좋은 말, 좋은 행위를 의미
❸ 파라바하르의 하부는 - 3가지를 의미함.
※ 인간에게 불행과 불행을 가져오는 - 나쁜 마음, 나쁜 말, 나쁜 행위
❹ 양쪽의 2개의 고리 - Sepanta Minu와 Ankareh Minu를 나타냄.
※ 선을 향해 나아가고 악에서 떠나야 함을 나타냄.
❺ 몸통 중앙의 원 – 영원한 영 - 우리의 영이 불멸이며 시작도 없고 끝도 없음을 나타냄.
❻ 한 손은 - 위쪽을 가리킴 - 진실을 향한 진심과 감사, 인간의 인도를 나타냄.
❼ 다른 손에는 - 정성을 상징하는 원 - 자라투스트라 철학의 기초가 되는
충성과 신실함, 순결함, 젊음을 상징하는 언약의 반지로
여김.
⑩ 경전 - 개인의 심판, 천국과 지옥, 구원, 영생 등 유대교에서 많이 차용되었으나 - 많이 변형됨.
ⅰ) 아베스타(Avesta)
Ⓐ 아베스타 경전이 쓰여진 언어 - 아베스탄(Avestan)
※ 힌두교 베다 경전이 쓰여진 산스크리트어와 - 동일한 어족.
Ⓑ 아베스탄과 팔라비는 - 현대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죽은 언어(死語).
ⓐ 소수의 학자들과 파르시 다스투르스(Parsi Dasturs) 대제사장들만이
알고 있는 문자임.
⇒ 현대어로 번역 출판하는 것을 원치 않음.
ⓑ 아베스타 3권과
막스 뮬러의 동방의 성전(The Sacred Books of the East) 49권에 포함된
팔라비에 관한 책(The selections of Pahlavi) 5권만을 통해 알 수 있음.
ⅱ) 편찬
Ⓐ 원전 아베스타 - 총 21권 - BC 400년경에 편찬됨.
※ 알렉산더 대왕의 침략으로 - 불타 없어지고 - 단 1권 남음.
Ⓑ 경전 편수 사업(AD 220~ AD 641년) 벌임 - 현재까지 남아 있음.
※ 사산조(Sassan Dynastry) 아르타 크세르크스(Arta Xerxes, AD 226~240)
ⅲ) 종류
Ⓐ 대 아베스타(The Great Avesta) - 희생 제사(sacrifice)
❶ 야스나(Yasna) - 신께로부터 받은 계시와 교훈
❷ 비스파르드(Vispard) - 제사적 예배에 사용하는 기도문
천상의 권위자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24기도
❸ 벤디다드(Vendidad) - 의식적 율법과 우주론, 역사, 종말론 등이 기록됨.
ex) 레위기
Ⓑ 소 아베스타(The Little Avesta) - 평신도들 기도서
❶ 야슈트(The Yashts) - 특별한 신격들과 천사 숭배의 21가지 찬가로 구성
❷ 아프링간(The Apringan) - 의식에 대한 기록.
ex) 레위기
❸ 시로자(The Sirozah) - 1달 즉 30일 동안 경건한 생활을 해나가도록
지도해 주는 역서(曆書)
❹ 가쉬즈(The Gashs) - 하루 5번 드리는 기도문
❺ 니야위시(The Nyayish) - 자연의 능력들을 찬송
Ⓒ 종교시 - 교리와 일상생활의 교훈은 시인들이 쓴 시(詩)를 통해 알 수 있음.
Ⓓ 팔라비(Pahlavi) 문서들 - 팔라비어로 쓰여짐.
⑪ 조로아스터교의 흥망성쇠
ⅰ) 동부 이란을 중심으로 - 여러 이란계 종족들에게 전파됨.
ⅱ) 급성장 - 조로아스터교를 추종하는 - 메디아( = 메대)와 페르시아( = 바사)아케메네스 왕조가
서아시아의 패권을 쥐면서 급성장.
❶ 다리우스 1세(다리오②BC 550 ~ BC 486) - 왕권 강화를 위해 조로아스터교를 이용.
※ “나는 - 아후라 마즈다의 선택을 받은 정당한 왕이며
아후라 마즈다가 - 나에게 왕국을 주었다.”고 말함.
★참고 - 163. 다리오②
cf) 베히스툰 비문 - ‘다리우스 1세가 아후라 마즈다로부터 황제로 간택받았다’
새겨짐.
❷ 국교의 지위를 갖게 됨.
❸ 일부 소수민족들은 - 출세를 위해 자발적으로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하기도.
❹ 그러나 아케메네스 왕조는 - 식민지의 안정적 통치를 위해 토착 종교와 관습을 견제함.
⇒ 조로아스터교는 - 이란계 종족들의 범위 이상으로 전파되지 못함.
ⅲ) 그리스 알렉산더( = 알렉산드로스) 대왕 - 페르시아 멸망시킴.
⇒ 헬레니즘 시대 열림 - 많은 그리스 신들을 섬기게 됨.
Ⓐ 조로아스터교 역시 - 국교의 지위를 잃고 약화 됨.
※ 알렉산더 대왕의 침략으로 - 원전 아베스타가 21권 중 다 불타 없어지고
단 1권 남음.
Ⓑ 아나히타나 미트라 등 하위신 격들을 숭배하는 - 변종 분파들이 퍼짐.
※ 특히 미트라 숭배는 - 헬레니즘 세계를 거쳐 이후
로마 제국까지 전파되기도 했다.
ⅳ) 사산 왕조 페르시아(AD 224~AD651) -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삼음.
Ⓐ ‘아베스타’를 집대성함 - 아르타 크세르크스(Arta Xerxes, AD 226~240)
❶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오던 경전들을 - 모아 기록.
cf) 원전 아베스타 - 총 21권 - BC 400년경에 편찬됨.
※ 알렉산더 대왕의 침략으로 - 불타 없어지고
단 1권 남았었음.
❷ 경전 편수 사업 벌임(AD 220~ AD 641년) ⇒ 현재까지 남아 있음.
Ⓑ 사산 왕조(Sassanian Dynasty는 - 조로아스터교 이외의 다른 종교는 박해 함.
ex) 유대교, 기독교, 불교, 마니교 등
ⅴ) 실크로드를 따라 - 중국 북위에 전파됨.(AD 386~534년)
⇒ 불을 숭배한다고 여겨 - 배화교(拜火敎)로 불림.
⇒ 당나라 때는 - 수도 장안에 배화교 사원이 생김.
⇒ 신라에까지 전해짐.
ⅵ) 7세기 - 이슬람교에 정복됨.
⇒ 아라비아는 - 페르시아 땅을 정복하고
조로아스터교를 박해함.
ⅶ) 현대 - 인도, 이란, 아제르바이잔 일부에서 약 15만 명이 믿음.
cf) 인도에서는 - 조로아스터교 신자를 - ‘파르시(Parsi)’라고 부름.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63. 신년제(New year festival) - 이스라엘 유대인들의 봄 신년과 가을 신년 (0) | 2024.05.06 |
---|---|
662. 신(god)⑭ - 이슬람교, 알라, 무함마드( = 마호메트), 쿠란, 무슬림 (0) | 2024.05.05 |
662. 신(god)⑫ - 싯다르타, 부처의 어린 시절, 부처의 출가, 불교의 교리와 전파 (0) | 2024.05.04 |
662. 신(god)⑪ - 인도 힌두교의 신들, 힌두교 교리와 힌두교 전파 (0) | 2024.05.02 |
662. 신(god)⑩ - 그리스의 신 티탄과 올림포스 신들, 로마의 신들 (0) | 2024.05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