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62. 신(god)⑪ - 인도 힌두교의 신들, 힌두교 교리와 힌두교 전파
(8) 인도 - 힌두교
① 힌두(Hindū)
ⅰ) 산스크리트어로 ‘거대한 물’을 가리키는 - ‘신두(Sindhu)’에서 유래.
※ 거대한 물 = 인더스 강.
ⅱ) 페르시아 다리우스 1세( = 바사 다리오② 1세)때부터 - ‘힌두’라고 부르게 됨.(BC 515년)
※ 다리우스 1세는 - 인더스 강 유역 일대를 정복.
⇒ 그 일대를 - ‘힌두’라고 칭함.
ⅲ) 아들 크세르크세스 1세( = 아하수에로②) 때 - 확장되어 -
⇒ 인더스 강 유역을 넘어 동쪽 갠지스 강 유역까지 가리킴.
cf) 아하수에로② - 에스더의 남편
② 힌두교란 - '힌두'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믿는 종교
ⅰ) 다신교 - 많은 신들이 있다.
ⅱ) 인도 신화를 바탕으로 - 인도, 네팔, 발리, 방글라데시, 스리랑카 등에서 주로 믿어지고 있음.
⇒ 동남아 문화에 크게 영향을 끼침.
ⅲ) 경전 - ❶ 베다 ❷ 푸라나
※ 신들의 기원이 기록됨.
최고의 경전 베다의 내용은 - 인도의 정치와 사회생활과 관습을 지배함.
ⅳ) 다르마(Dharma, 정의 또는 의무)에 따른 - 수도생활과 최고 정신을 탐구.
ⅴ) 소도 - 신성시함.
※ 이유 - 소의 몸에 많은 신들이 깃들어 있다고 믿음.
힌두교의 신 아디티(Aditi)가 항상 끌고 다녀 - 귀하게 여김.
ⅵ) 신이 - 동물의 형상이나 동물과 함께 표현된다.
ex) 가네쉬(Ganesh) 신 - 코끼리와 생쥐
둘가(Durga) 신 - 호랑이
하누만(Hanuman) 신 - 원숭이
ⅶ) 대부분이 사원이나 집안에서 - 정기적으로 종교의식을 행함.
ⅷ) 교리나 성찰보다는 - 많은 신들의 형상화를 통한 제나나 의식을 중요시 함.
ⅸ) 내세 구원보다는 - 개인의 현세의 복을 구함에 중점을 둠.
ⅹ) 카스트 제도를 정착시킴.
③ 힌두교와 카스트 제도
ⅰ) 카스트 제도 - 인도 내 힌두교도 특유의 신분제
※ 카스트 제도를 - 악습으로 여기나
힌두교와 강하게 밀착되어 폐지가 어렵다.
ⅱ) ‘카스트’를 산스크리트어로 - ‘색’이라는 뜻에서 - ‘바르나(Varna)’라고 부름.
ⅲ) 베다 경전에 따르면 - 모든 카스트는 - 브라흐마에게서 나왔다함.
※ 계급이 높을수록 - 브라흐마의 몸의 윗부분에서 나왔다고 함.
ⅳ) 힌두교 바르나에 의한 인도의 카스트 계급은 - 4개의 주요 계층으로 나뉨.
❶ 브라만 - 성직자, 학자, 승려 등
※ 사회인의 교육과 힌두교의 신들에게 기도를 드리는 일
❷ 크샤트리아 - 전사, 왕족, 귀족
※ 사회 제도와 안보를 유지하며 국가를 통치하는 일
❸ 바이샤 - 자작농, 상인, 수공업자, 하급 관리, 음악가 등
※ 생산 활동과 관련된 일
❹ 수드라 - 소작농, 어민, 노동자, 농노 등
※ 육체 노동과 관련된 일
ⅴ) 특히 관혼상제 등의 예식과 친목 교류는 - 일반적으로 동일 카스트 간에 이루어진다.
④ 힌두교와 시크교의 관계
ⅰ) 시크교 - 힌두교에서 파생됨.
cf) 시크교 - 15세기 인도 펀자브 지방에서 이슬람교와 힌두교의 영향을
많이 받아 창시됨.
ⅱ) 인도는 - 석가모니가 탄생한 곳이며 - 불교의 발상지이다.
※ 그러나 - 인구의 - 80%가 - 힌두교
- 1%가 - 불교
cf) 네팔은 - 불교의 발상지가 네팔이라 말한다.
⑤ 힌두교와 불교의 관계
※ 힌두교와 불교를 - 친족지간으로 보기도 하나 다르다.
ex) 그리스도교와 이슬람 사이처럼.
❶ 불교 - 힌두교의 신들을 - 호법신, 천인으로 낮게 여김.
❷ 힌두교 - 부처를 - 비슈누의 화신 수준으로 낮게 여김.
⑥ 힌두교의 주요한 신 - 3명의 남신(南神).
❶ 브라흐마 - 우주의 창조자
❷ 비슈누 - 우주의 질서를 보존하고 유지.
❸ 시바 - 파괴자 또는 변형자
ⅰ) 브라흐마 - 세상을 창조한 이후 공기화되었다
ⅱ) 비슈누와 시바 - 실재하는 신으로서 - 세상을 관장.
⑦ 2개의 - 힌두교 종파.
❶ 비슈누 파
❷ 시바 파
⑧ 신들을 - 천신(天神, Devas, 빛나는 존재)이라 부름.
※ 영어로는 - ‘Celestial deities (천계의 신들)’
산스크리트어 - ‘데바(देव)’의 음차 표기인 ‘데바 Deva’ = 수라(Sura) cf)
❶ 데바 또는 수라는 - 힌두교의 신들 전체 또는 힌두교의 남신들.
❷ 데비(Devi) - 여신들
⑨ 선한 신과 악한 신.
ⅰ) 선한 신 - 데바와 데비(Deva, Devi) - 무시무시한 신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선한다 여김.
ⅱ) 악한 신 -아수라(Asura)
cf) 아수라(Asura) = 수라(Sura) + ‘아니다’의 아(a)
⑩ 남신
ⅰ) 트리무르티(Trimūrti) - 3명의 주신 - 3신1체(삼위일체)
❶ 브라흐마(Brahmā) - 우주의 창조자
❷ 비슈누(Viṣṇu) - 우주의 질서를 보존하고 유지.
Ⓐ 비슈누파의 최고신 – 비로자나(毘盧遮羅)
Ⓑ 부인 - 락슈미
Ⓒ 태양신
Ⓓ 제례와 관련이 깊음.
Ⓔ 가장 자비로운 신
Ⓕ 세상을 구제하는 수호신
Ⓖ 평소에는 - 바다의 바닥에서- 아내인 슈리 라크슈미를 껴안고
뱀의 왕 셰샤를 베개 삼아 편안히 잠을 잠.
※ 유사시에는 - 악마를 물리치고 - 정의를 지킨다.
Ⓗ 아바타라(Avatara) - 세계의 질서와 도덕의 위기가 다가오면
아바타라가 인간 세상을 구원하러 온다.
※ 비슈누 신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- 인간으로 형상을 바꾼 화신.
⒈ 마츠야(Matsya 물고기) ⒉ 쿠르마(Kurma 거북이)
⒊ 바라하(Varāhā 멧돼지) ⒋ 나라심하(Narasiṁha 반인반수)
⒌ 바마나(Vāmana 난쟁이) ⒍ 파라슈라마(Paraśrama)
⒎ 라마(Rāma) ⒏ 크리슈나(Kṛiṣhṇa)
⒐ 부처(Gautama Buddha) ⒑ 칼키(Kalki 백마)
❸ 시바(Śiva) - 파괴자 또는 변형자 시바파의 최고신
Ⓐ 요괴와 괴물, 가축 떼의 우두머리
Ⓑ 전신에 - 시체의 재를 바르고
- 코끼리 가죽을 걸치고 있음.
Ⓒ 산중에 살면서 제사를 줄임.
Ⓓ 흉포하고 파괴적인 성격
Ⓔ 요괴와 괴물의 우두머리
Ⓕ 화장터를 방황함.
ⅱ) 가네샤(Gaṇeśa)
Ⓐ 모습 - 인간의 몸과 코끼리의 머리
Ⓑ 지혜와 재산의 신
ⅲ) 데바(Deva) 또는 수라(Sura) - 남신
ⅳ) 라마(Rāma) - 비슈누의 7번째 아바타
ⅴ) 무루간(Murugan) - 전쟁과 승리의 신
ⅵ) 수리야(Sūrya) - 태양신
ⅶ) 아그니(Agni) - 불의 신
ⅷ) 아이야나르(Ayyanar) - 마을 신, 시골 마을을 수호하는 수호신
ⅸ) 인드라(Indra) - 신들의 왕, 날씨와 전쟁의 신,
음역하여 인다라(因陀羅)
ⅹ) 크리슈나(Kṛṣṇa) - 비슈누의 8번째 아바타 인도 서사시 《마하바라타》의 영웅.
ⅺ) 하누만(Hanumān) - 원숭이 모습의 신으로 라마의 제자이자 헌신적인 숭배자
⑪ 여신
ⅰ) 트리데비(Tridevi) - 트리무르티(3명의 주신)의 배우자
❶사라스바티(Sarasvatī) 또는 사라스와티(Saraswati) - 브라흐마의 배우자
❷ 락슈미(Lakṣmī) - 비슈누의 배우자
❸ 파르바티(Pārvatī) - 시바의 2번째 부인.
※ 1번째 배우자인 닥샤야니의 재화신.
별칭 - ‘설산의 처녀( = 히말라야의 딸)’
ⅱ) 가야트리(Gāyatrī)
Ⓐ 학문과 지식의 여신
Ⓑ 브라흐마의 배우자들 중 하나
ⅲ) 닥샤야니(Dākshāyani) 또는 사티(Satī)
Ⓐ 시바의 1번째 배우자
Ⓑ 결혼 생활의 행복과 지속을 관장하는 여신.
ⅳ) 데비(Devi) -
Ⓐ 의미 - 여신
Ⓑ 최고신의 여성적 측면
Ⓒ 힌두교 모든 여신들의 핵심
ⅴ) 두르가(Durgā)
Ⓐ 전쟁의 여신
Ⓑ 아수라를 제압함.
ⅵ) 라다(Rādhā)
Ⓐ 크리슈나 어린 시절의 - 친구이자 연인
Ⓑ 여신 락슈미의- 아바타(화신)들 중 하나
ⅶ) 마리암만(Mariamman) - 질병, 비, 보호의 여신
ⅷ) 마하비드야(Mahavidya) - 지식과 지혜의 여신
ⅸ) 샥티(Śakti) - 우주의 여성적 창조력이 의인화 · 인격화된 여신
ⅹ) 시타(Sītā)
Ⓐ 라마의 배우자
Ⓑ 모든 힌두 여성의 - 미덕의 표준으로 존중받음.
ⅺ) 칼리(Kālī) - 파괴, 시간, 변화, 죽음의 여신
⑫ 아수라(Asura) - 악한 신
ⅰ) 아수라(Asura) - 악한 신을 총칭
cf) 데바와 데비 - 선한 신들.
Ⓐ 인간과 신의 혼혈인 - 반신반인.
Ⓑ 선한 신들에 대적하는 - 악한 무리임.
Ⓒ 불교에서 인드라와 아수라의 싸움을 생생하게 전하는 불경 – 잡아함경
ⅱ) 선한 아수라들도 있음 - 마하발리나 프랄라다 . . .
※ 이는 - 태생이나 환경보다 행동과 신념이 선악을 가른다고 여겨짐.
ⅲ) 아수라 신들
❶ 마히쉬아수라(Mahishasura) - 물소 모습의 악신(Buffalo-demon)
❷ 나무치 - 브리트라와 함께 인드라의 숙적
❸ 다누 - 물을 관장하는 여신
다크샤의 딸.
아디티, 비나타, 사티 등의 여신들과는 자매
❹ 스바르바누(이후의 라후, 케투) - 모히니가 모든 신들에게 암리타를 나눠줄 때
신으로 위장.
⇒ 눈치챈 달의 신 찬드라와 태양신 수리야에게 - 들킴.
⇒ 모히니는 - 즉시 자신의 원반 수다르사나를 던져 그의 목을 베어버림.
⇒ 우유 바다 휘젓을때 - 머리와 몸통이 분리됨.
※ 이때 얻은 이름 - ‘라후’와 ‘케투’
cf) 라후 - 스바르바누의 머리 부분.
일식 상징 - 일식 때 태양을 가리는 그림자를 상징
케투 - 스바르바누의 몸통 부분.
월식을 상징. - 월식 때 달을 가리는 그림자를 상징
❺ 마하발리 - 강력한 힘과 지혜, 뛰어난 성품을 가짐.
Ⓐ 아수라의 왕이 되어 현명한 통치 함.
Ⓑ 아수라는 신족 데바와 숙적이지만 - 발리는 비슈누를 열렬히 따랐음.
Ⓒ 불멸의 존재 치란지비의 중 1 명.
⇒ 현대까지 살아서 지상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믿음.
❻ 브리트라 - 물을 가두어 가뭄을 불러오는 자
❼ 칼리 - 부도덕이 의인화 됨.
Ⓐ 아버지 크로다(분노)가 여동생 힘사(폭력)와 근친상간을 해 태어난 자식
Ⓑ 모습 - 튀어나온 송곳니와 새까만 피부, 큰 몸집과 짐승 같은 얼굴을 가진 남자
Ⓒ 도박, 술, 매춘, 학살을 즐김.
❽ 잘란다라 -
Ⓐ 인드라의 무지로 인해 - 시바의 제3의 눈의 분노의 힘이 바다로 날라가 탄생.
Ⓑ 시바와 싸우다 죽음.
❾ 안다카 –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함.
⑦ 로카팔라(Lokapala) - 동서남북을 포함한 8방위의 신.
cf) 디크팔라 - 중간 방위의 신들
ⅰ) 3대신의 바로 아래
ⅱ) 불교에서도 - 로카팔라를 받아들임
⇒ 십이천 및 사천왕 신앙이 발달.
ⅲ) 세계의 수호신 - 세계를 다스리는 주신
ⅳ) 로카팔라 8명의 신들
❶ 인드라 - 동쪽
❷ 바루나 - 서쪽
❸ 야마 - 남쪽
❹ 쿠베라 - 북쪽
❺ 아그니 - 동남쪽
❻ 찬드라(소마) - 동북쪽
❼ 수리야 또는 니르리티 - 남서쪽
❽ 바유 - 서북쪽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62. 신(god)⑬ - 자라투스트라, 조로아스터교, 조로아스터교 교리 (0) | 2024.05.05 |
---|---|
662. 신(god)⑫ - 싯다르타, 부처의 어린 시절, 부처의 출가, 불교의 교리와 전파 (0) | 2024.05.04 |
662. 신(god)⑩ - 그리스의 신 티탄과 올림포스 신들, 로마의 신들 (0) | 2024.05.02 |
662. 신(god)⑨ - 이집트 신 샤브티, 사자의 서, 안크, 우레우스, 미이라, 호루스 아들들 (0) | 2024.05.01 |
662. 신(god)⑧ - 이집트 신 바스테트, 소벡, 네이트, 크눔, 아포피스, 두아트, 암두아트 (0) | 2024.05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