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62. 신(god)⑫ - 싯다르타, 부처의 어린 시절, 부처의 출가, 불교의 교리와 전파
(9) 부처( = 붓다 Buddha)(佛陀, बुद्ध ) - 샤카 공화국 - 불교
1) 부처
① ‘부처( = 붓다)’의 의미 - ‘깨달은 자’, ‘눈을 뜬 자’
※ 깨달음을 얻은 사람
cf) 보살'(菩薩) - 붓다가 되기 직전의 존재.
② 이름 -
❶ 고타마 싯다르타(산스크리트어: सिद्धार्थ गौतम, Siddhārtha Gautama) - 출가 전
※ 의미 - ‘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진다’
❷ 불타(佛陀), 붓다(Buddha) - 출가 후
※ 의미 - ‘깨달은 자’, ‘눈을 뜬 자’
❸ 석가모니 - ‘샤캬무니’를 음역한 것.
※ 의미 - 샤캬족의 성자
❹ 이 외 10가지 - 세존(世尊), 석존(釋尊), 불(佛), 여래(如來) . . .
※ 실제로는 - 10가지 이상임.
cf) 대승불교 - 숫자에 의미를 부여해 10가지라고 함.
⇒ ‘여래십호(如來十號)’
⒈ 여래(如來, Tathāgata) - ‘그렇게 가신 분’ 의 의미.
※ 붓다가 - 자신을- ‘여래’라고 불렀고
또 남들에게도 - 그렇게 부르라고 함..
⒉ 아라한(阿羅漢, Arhat) - 세상 사람들의 공양과 존경을 받을만한
가치가 있는 분.
⒊ 정각자(正覺者, Sambuddha) - 올바로 깨달음을 얻은 분.
⒋ 명행족(明行足, Vidyācarana Sampanna) - 하는 일에 허물이 없는 분.
⒌ 선서(善逝, Sugata) - 뛰어나게 참됨에 다다른 분.
⒍ 세간해(世間解, Locavit) - 세상의 이치를 깨달은 분.
⒎ 무상사(無上士, Anuttara puruşa) - 가장 높은 자리에 계신 분.
⒏ 조어장부(調御丈夫, Puruşadamya sārathin) - 사람을 잘 길들이는 분.
⒐ 천인사(天人師, Śāstā devamanuşayānām) - 신들과 사람들을 가르치시는 분.
⒑ 세존(世尊, Bhagavat) - 세상에서 가장 높이 받들어지는 분.
③ 샤캬 공화국 국왕 슈도다나의 장남.
ⅰ) 샤카 족(Shakya)
Ⓐ 고대 인도-네팔의 부족 중 하나.
Ⓑ 인도 아리아인과 문다인의 혼혈.
Ⓒ 석가모니 - ‘샤캬무니’를 음역한 것.
※ 의미 - ‘샤캬 족의 성자’
ⅱ) 샤캬 공화국(샤캬 족 국가) 카필라바스투 - 오늘날 네팔 티라우라코트.
※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 부근 히말라야 기슭에 위치
❶ 카필라바스투(Kapilavastu) - 샤카 공화국의 수도
❷ 싯다르타가 - 29세까지 살았던 곳.
ⅲ) 태어난 곳 - 샤캬 공화국(샤캬 족 국가) 카필라바스투 룸비니 가든.
※ 오늘날 네팔 티라우라코트.
cf) 싯다르타가 태어난 곳이 - 2곳으로 알려져 있음.
❶ 인도 - 정확히는 인도가 아닌 인도의 문화권임.
※ 인도가 - 석가모니가 탄생한 곳이며 - 불교의 발상지로 여김.
cf) 그러나 - 인구의 - 80%가 - 힌두교
- 1%가 – 불교
❷ 네팔 - 현대 네팔인들이 주장.
④ 계급 - 크샤트리아 - 무사계급
⑤ 가족
ⅰ) 아버지 - 슈도다나(Śuddhodāna) - 가유국 왕
ⅱ) 어머니 - 마야부인(摩耶夫人) = 마야데비(मायादेवी) ) = 마하마야(Mahamaya)
※ 콜리야 족 선각왕(善覺王)의 딸
ⅲ) 이모이자 양모 - 마하파자파티(Mahapajapati)
cf) 언니인 마야부인과 함께 - 슈도다나 왕의 부인이 됨.
최초의 여성 출가인( = 비구니)이 됨.
ⅳ) 부인 - 야쇼다라(Yaśodhara)
ⅴ) 아들 - 라훌라(Rahula)
⑥ 실존 인물이나 - 후에 신격화 됨.
ⅰ) 초기 불교 -
❶ 부처를 - 지극한 깨달음을 얻어 초인적인 존재로 거듭난 존재.
모든 인간적인 것을 초월한 존재로 여김.
❷ 부처 개인보다는 - 부처의 가르침인 법문과 계율을 중시.
ⅱ) 후기 불교 -
❶ 부처를 - 신적인 존재로 신격화됨.
❷ 석가모니 부처의 - 생애나 그의 이적들에 초점이 맞춰짐.
❸ 부처의 모습이 다양하게 형상화 됨.
⇒ 절과 부처상, 그림들이 많이 만들어 짐.
⑦ 팔상도(八相圖, Eight Scenes of Buddha’s life) - 부처의 생애를 8장의 그림으로 그려짐.
❶ 도솔래의상(兜率來儀相, Descent from Tushita Heaven)
※ 도솔천에서 내려오는 상
❷ 비람강생상(毘藍降生相, The Buddha’ Birth at Lumbini Grove)
※ 룸비니 동산에 내려와서 탄생하는 상
❸ 사문유관상(四門遊觀相, Four Encounters at the Palace Gates)
※ 사문에 나가 세상을 관찰하는 상
❹ 유성출가상(踰城出家相, The Renunciation of the Worldly Life)
※ 성을 넘어가서 출가하는 상
❺ 설산고행상(雪山修道相, Asceticism in Snow-Covered Mountains)
※ 설산에서 수도하는 상
❻ 수하항마상(樹下降魔相, The Buddha’ Taming of Mara and Attainment of Enlightenment)
※ 보리수 아래에서 마귀의 항복을 받는 상
❼ 녹원전법상(鹿苑轉法相, The First Turning of Wheel at Deer Park)
※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포교하는 상
❽ 쌍림열반상(雙林涅槃相, Parinirvana under Two Sala Trees)
※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는 상
⑧ 시대적 배경
ⅰ) 유목민 아리안족이 - 쳐들어와 - 농업을 기반으로 소도시를 형성.
⇒ BC 7세에는 - 군주가 이끄는 여러 도시 국가가 됨.
ⅱ) 아리안족들은 -
❶ 토착민들을 - 하층민으로 종속시키고
❷ 자신들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- 카스트 제도를 만듦.
❸ 브라만교를 믿음 - 태양, 바람 등 여러 자연신을 숭배.
각종 제사 의식과 계급을 강조
cf) 힌두교 - 브라만교에 여러 토착 신들이 더해진 종교.
★참고 - 662. 신(god)⑪ 힌두교
ⅲ) 브라만교에 반대하는 세력 나타남 - BC 6세기
※ 그중 한 명이 바로 석가모니 - 카스트 계급을 중시하는 브라만교에 대항함.
⑨ 출생
ⅰ) 왕비의 태몽 - 6개 이빨을 가진 흰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
ⅱ) 출산하러 - 친정 데바다하(Devadaha 구리성)로 향함.
Ⓐ 태어남 - 음력 4월 8일
※ 태어난 연도는 정확하지 않음 - 약 BC 300~600년 사이.
태어난 날도 정확하지 않으나 - 4월 8일로 지켜짐.
Ⓑ 태어난 장소 - 룸비니 동산 무수(無憂樹)아래서.
※ 룸비니에서 - 꽃이 만발한 무우수 나뭇가지를 잡고
오른쪽 겨드랑이 밑에서 석가모니를 낳음.
❶ 크샤트리아 무사계급임을 상징
❷ 제왕절개로 추측하기도 함.
cf) 싯다르타의 어머니가 - 출산 후 7일 만에 사망했음.
ⅲ) 이때 - 하늘에서 - 오색 구름과 무지개가 피었음.
- 가릉빈가(迦陵頻伽)가 - 아름다운 소리로 왕자의 탄생을 축하함.
- 구룡이 나타나 - 몸을 닦아 줌.
ⅳ) 석가모니는 태어나서 -
❶ 사방으로 7걸음을 걸었다.
⇒ 그 걸음마다 - 연꽃이 피어올랐다.
❷ 오른손은 - 하늘을
왼손은 - 땅을 가리키며 -
※ “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”라고 외쳤다.
(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)
cf) 의미 - “우주 안에서 - 오직 나만이 높다.
삼계가 모두 괴로움이니 - 이제 내가 그들을 편안하게 하리라.”
⑩ 유년 시절과 청년 시
ⅰ) 생후 7일 만에 - 어머니 마야 부인( = 마야데비)이 죽음
ⅱ) 이모인 마하파자파티(Mahapajapati)가 - 양모가 되어 돌봄.
cf) 마하파자파티 - 언니인 마야부인과 함께 슈도다나 왕의 부인었음.
최초의 여성 출가인( = 비구니)이 됨.
ⅲ) 뛰어난 지혜로 -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.
ⅳ) 성장하면서 - 진리에 관해서도 명상했음.
ⅴ) 어느 날 - 궁 밖으로 나와 백성들의 삶을 보고 - 생로병사(生老病死)를 깨달음.
⇒ 우울해짐.
※ 카필라바스투 성 - 동문 밖에서 - 노인
- 남문 밖에서 - 병자
- 서문 밖에서 - 죽은 자
- 북문 밖에서 - 승려를 만났다
❶ 밭갈이하는 농부를 보고 -
⇒ 인간들이 수고해야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- 인간의 고통을 깨달음.
❷ 새에게 잡아먹히는 벌레를 보고 - 큰 충격을 받음.
❸ 쇠약한 노인을 보고 - 인생의 무상함을 느낌
❹ 태어나서 병들어 신음하고 죽어야 하는 운명에 - 슬퍼함.
⑪ 싯다르타( = 부처)의 결혼
ⅰ) 아버지 슈도다나 왕이 - 싯다르타의 우울함을 알아챔.
⇒ 싯다르타를 결혼 시킴.
ⅱ) 콜리야 왕국의 공주 야쇼다라(Yaśodhara)와 결혼시킴 - 싯다르타 16세.
※ 이유 - 싯다르타가 출가할까 걱정됨.
ⅲ) 아들을 낳음 - 라훌라(Rahula)
Ⓐ 싯다르타는 - 수행에 방해가 된다며 -
⇒ 아들 이름을 - ‘라훌라(Rahula)’라고 함.
❶ 자신을 묶는 인연이 하나 더 생긴 것을 탄식함.
❷ “나는 - 일체 중생에 대하여 - 아들과 같이 여기어 -
⇒ 아들인 라훌라를 대하는 것과 - 똑같이 한다.”고 말하게 됨.
Ⓑ 간난 아기 라훌라를 두고 - 싯다르타가 출가함.
Ⓒ 훗날 라훌라는 - 제자 가운데 한 명이 됨.
ⅳ) 아버지 슈도다나는 - 싯다르타를 위해 - 많은 미녀들을 시켜 주야로 향연을 베풀었으나 -
⇒ 오히려 싯다르타는 - 더욱 출가를 결심하게 됨.
⑫ 싯다르타( = 부처)의 출가 - 29세 때
ⅰ) 이유 - 인간의 삶이 생로병사가 - 윤회하는 고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자각.
⇒ “무상한 이 세상의 괴로움을 -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?”를 고민
ⅱ) 29세가 되던 해 어느 날 밤 - 번뇌에서 벗어나려면 깨우쳐야 한다고 결심.
⇒ 가족에게 - 무언의 이별을 고한 채 출가함.
ⅲ) 아들 라훌라가 있어 - 왕위 후계자에 대한 근심을 하지 않고 -
⇒ 시종 차닉(車匿)을 데리고 - 백마를 타고서 성문을 빠져나감.
⑬ 고행
ⅰ) 부다가야의 보리수 밑에서 - 수행함.
ⅱ) 브라만 고행자의 가르침을 받아 - 단식하고 고행함.
⇒ 온갖 고행을 하였으나 - 해탈에 이를 수 없음을 깨달음.
⇒ 혼자 성지를 찾아 수행하기로 결심함.
ⅲ) 그는 - 삭발하고, 옷을 갈아입고 구걸하면서 - 남쪽 마가다 왕국으로 감.
⇒ 다양한 고행을 철저히 이행 - 6년 동안
cf) 마가다 왕국의 수도 라자그리하(Rajagrha, 王舍城) - 정치, 경제의 중심지
많은 수도자가 모이는 곳
❶ 선정 수행 - 브라만교의 행자(行者)에게서 - 요가를 배움.
⇒ 정신적으로 만족하지 못함.
❷ 고행 수행 - 네란자나 강(Nairanjana) 부근에서 - 단식과 불면의 고행을 함.
ⅳ) 아버지 슈도다나 왕이 - 귀국을 권하였으나 - 석가의 마음은 변하지 않음.
⇒ 슈도다나 왕은 - 석가의 환국을 단념하고
※ 5명의 현자를 뽑아 - 태자인 싯다르타를 수행하게 함.
ⅴ) 6년의 고행 동안 했던 육체적인 고행이 - 무의미함을 알고 - 그만둠.
⇒ 그러자 지금까지 고행을 같이하던 - 5명의 수도자도 - 떠나감.
Ⓐ 고행으로 인한 상념들에서 벗어난 수행
※ 목욕을 하고 심신을 맑게 하여 - 마을 처녀가 갖다 준 젖과 죽을 마시고
체력을 회복함.
Ⓑ 그것을 본 5명의 수도자는 - 석가가 타락했다고 여겨 떠났다는 말도 있다.
ⅵ) 이후 부다가야 근처에 있는 - 우루베라 촌의 보리수 밑에서 수행함.
Ⓐ 풀을 깔고 - 법좌를 정하고
Ⓑ 깨닫지 못하면 - 그 자리를 떠나지 않겠다고 결심.
Ⓒ 조용히 내관(內觀 = 내면을 알아차림)의 고행을 계속함.
❶ 일체의 공리적 관념을 버리고 - 자기 마음속에 있는 욕망을 끊어 없애며
⇒ 세계를 - 있는 그대로 보고자 함.
❷ 마라 파피야스와의 싸움 - 고행의 길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 수 있음.
cf) 마라 파피야스 - 악의 화신
싯다르타의 도를 닦는 마음을 좌절시키려고
여러 모양으로 유혹함.
※ ‘마라’ - 죽이는 자(殺者), 악한 자(惡者)
‘파피야스’ - 이 이상 없을 사악
⑭ 깨달음 - 35세 12월 8일 이른 새벽 - 완전한 깨달음을 얻음.
⇒ 부처(Buddha, 佛陀)가 됨.
⇒ 이후 인도의 여러 지방에서 - 포교와 교화에 힘씀.
ⅰ) 큰 깨달음을 얻고 - 생·로·병·사의 본원을 끊어 없애는 확신을 얻게 됨.
※ 어떠한 번뇌에도 흔들리지 않는 절대 정적(靜寂),
즉 열반의 세계를 체현(體現)하게 됨.
※ 체현 - 사상, 이론, 특성 등을 자신의 몸에 완전히 지니다.
ⅱ) 올바른 자각을 얻어 눈을 뜬 - 부처가 됨.
ⅲ) 우주의 진리를 깨닫고는 - 보리수 밑에 대좌하여 -
⇒ 7일 동안 - 12연법을 달관하여 - 모든 의혹에서 완전히 벗어남.
ⅳ) 포교 - 이러한 깨달음의 기쁨을 - 다른 사람들에게도 나누어 주고자 함.
Ⓐ 사르나트 방문 - 최초의 설법을 함 - 초전법륜(初轉法輪)
❶ 전에 함께 고행하던 5명의 수행자들을 교화하기 위해 -
⇒ 바라나시 교외의 사르나트(鹿野苑)를 방문.
❷ 그들 5명은 - 고행을 그만둔 석가를 경멸했으나
※ 곧 쾌락과 고행의 양극단을 배제한 중도의 설법에 감화됨.
Ⓑ 이로 인해 - 붓다의 제자가 된 5인의 비구(比丘)가 생김.
⇒ ❶ 불(佛) ❷ 법(法) ❸ 승(僧)의 - 불교 교단이 성립됨.
Ⓒ 이후 45년간 - 라자그리하와 슈라바스티(Sravasti, 舍衛城)를 중심으로 설법.
ⅴ) 부처의 가르침의 방법.
Ⓐ 심오한 내용을 - 상대에 따라 - 문답 형식이나 비유를 들고 인연 설화(因緣說話)를 활용.
Ⓑ 쉬운 말로 친절하게 설법함.
ⅵ) 자신의 가르침을 - 글로 남기지 않고 말로 전함.
⇒ 불교 경전이 됨.
ⅶ) 점차 제자가 늘어남 - 경제적으로 돕는 귀의자도 생김
ex) 마가다의 왕 빔비사라가 - 가란타의 동산에 건물을 짓고 헌납함.
⇒ 승가람의 시초가 됨.
※ 이를 - 죽림정사라고 부름.
ⅷ) 고국에도 돌아와 설법함.
Ⓐ 부인 야쇼다라는 - 아들 라훌라에게 -
※ “네 아버지를 찾아가 - 유산(왕위계승권)을 물려달라고 청하여라!.”고 시켰다.
Ⓑ 석가모니의 대답.
※ “나의 유산은 - 너를 고통스럽게 할 것이니 -
⇒ 법의 유산을 물려받아라!.”
❶ 그 자리에서 - 제자 사리푸트라를 - 라훌라의 스승이 되게하고
라훌라를 출가시켜 버림.
❷ 그리고 - “다시 세속에 돌아가지 말거라!”고 말함.
Ⓒ 석가모니의 아버지 슈도다나가 - 아들에게 후계자 문제를 따짐.
⇒ 석가모니는 - 새 계율을 만듦.
❶ 부모가 살아 계실 적에 출가하려면 - 허락을 받아야 한다.
❷ 부모를 모시고 집안을 이끌 장자는 - 원칙적으로 출가할 수 없다.
Ⓓ 석가모니의 사촌 마하나마가 - 왕이 됨.
⇒ 이후 코살라국의 침략으로 - 멸망함.
⑮ 죽음(입적 = 입멸) - 80세에 - 쿠시나가라에서.
ⅰ) 심한 이질에 걸림 - 파바시에서 받은 공양이 부패 된 것인 듯.
※ 고령인데다 - 금식을 자주 했었기에 - 장이 매우 약했다.
ⅱ) 병이 위독함을 깨달은 부처는 - 최후의 목욕을 마치고 -
⇒ 사라(沙羅)나무의 숲속으로 들어가 -
Ⓐ 북쪽을 바라보고 - 오른쪽으로 누워 발을 포갠 다음 -
※ 밤중에 - 제자들에게 최후의 가르침을 폈다.
Ⓑ 이후 - 쉬지 말고 수행에 임할 것을 유언으로 남김.
ⅲ) 그리고 조용히 쿠시나가라에서 죽음( = 입적 = 임멸)함.
※ 유골과 사리는 - 왕후, 귀족들이 분배하여 -
⇒ 각자의 나라에 가지고 가서 - 탑파를 세우고 봉양함.
2) 불교
① 석가모니( = 싯다르타 = 부처 = 붓다)와 그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.(BC 5C)
cf) 힌두교에서는 부처를 - 비슈누의 9번째 아바타로서,
악인들을 잘못된 길로 이끌어 파멸시키는 존재로 여김.
② 경전 - 그는 자신의 가르침을 - 글로 남기지 않고 말로 전했음.
⇒ 이것이 구전되어 - 불교 경전이 됨.
③ 카스트 계급을 중시하는 브라만교에 - 대항함.
ⅰ) 유목민 아리안족이 - 쳐들어와 - 농업을 기반으로 소도시를 형성.
⇒ BC 7세에는 - 군주가 이끄는 여러 도시 국가가 됨.
ⅱ) 아리안족들은 -
❶ 토착민들을 - 하층민으로 종속시키고
❷ 자신들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- 카스트 제도를 만듦.
❸ 브라만교를 믿음 - 태양, 바람 등 여러 자연신을 숭배.
각종 제사 의식과 계급을 강조
cf) 힌두교 - 브라만교에 여러 토착 신들이 더해진 종교.
ⅲ) 브라만교에 반대하는 세력 나타남 - BC 6세기
※ 그중 한 명이 바로 석가모니.
④ 인도에서 일어나 - 아시아 전역에 퍼짐.
ⅰ) 네팔과 인도를 거쳐 → 중앙아시아 → 동북아시아 → 전 세계로 퍼져나감.
※ 한국에는 - 삼국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불교가 전해짐.
ⅱ) 석가가 태어난 곳 - 샤캬 공화국(샤캬 족 국가) 카필라바스투 룸비니 가든.
※ 오늘날 네팔 티라우라코트.
⇒ 부처( = 싯다르타)가 태어난 곳이 - 2곳으로 알려져 있음.
❶ 인도 - 정확히는 인도가 아닌 인도의 문화권임.
※ 인도가 - 석가모니가 탄생한 곳이며 - 불교의 발상지로 여김.
cf) 그러나 - 인구의 - 80%가 - 힌두교
- 1%가 – 불교
❷ 네팔 - 현대 네팔인들이 주장 - “불교는 네팔에서 시작되었다.”
⑤ 종파
ⅰ) 각 나라 별로 많은 종파들이 생김.
Ⓐ 대승불교 - 주로 동북아
ex) 인도의 북동쪽 지역 - 티베트, 중국, 몽고, 아프가니스탄, 카쉬미르,
네팔, 부탄, 시킴 등
러시아의 동쪽과 남쪽 지역들
일본과 한국
Ⓑ 소승불교 - 주로 동남아
ex) 스리랑카, 미얀마, 태국, 라오스 등
Ⓒ 라마 불교 - 대승불교의 한 종파
ex) 네팔, 티벳, 몽골 등
ⅱ)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차이
Ⓐ 대승 불교 - 혁신적
❶ 목표 - 중생의 구제 - 불교를 널리 전한다
❷ 재가 중심적
❸ 중요 개념 - 보살 - 깨달음의 지혜를 추구하는 중생
❹ 중시 - 불탑, 석탑, 불상
❺ 부처의 말을 - 개방적, 진보적으로 해석
Ⓑ 소승 불교 - 보수적
❶ 자기만의 해탈 - 자기의 정신 세계에 집중함.
❷ 출가 중심적
❸ 중요 개념 - 아라한 - 수행 끝에 번뇌가 소멸되어
더 이상 윤회하지 않는 경지에 도달한 사람
❹ 중시 - 계율과 수행
❺ 부처의 말에 - 절대성을 부여함.
ⅲ) 각 나라나 각 종파 별로 - 하부 종파나 부수적인 상(象)들과 모습이 다양해짐.
⑥ 궁극적인 목표 - 인생이 생로병사(生老病死)의 괴로움의 세계임을 깨닫고 -
⇒ 그로부터 해탈하여 - 열반에 이르는 것
⑦ 인도 불교의 흥망성쇠
ⅰ) 인도 불교의 정점기는 - 하르샤바르다나왕 재위 시대(7세기).
cf) 중국 현장 스님 - 인도의 여러 나라를 여행한 뒤 쓴 '대당서역기’
※ 인도 전역에 - 불교 사원이 - 1,000개가 넘고
수행자가 - 50,000명 정도였음.
ⅱ) 불교가 인도에서 - 급속히 쇠퇴함.
Ⓐ 12~13세기 초 - 인도 땅에서 거의 소멸함.
※ 원인 - 많은 의견이 있음.
❶ 불교 교리가 – 너무 철학적이고 심오해 이해하기 어렵다.
❷ 승려들이 큰 사원에 승려들이 집단 거주하게 되면서 - 일반 민중과 단절됨.
❸ 점차 브라만교에서 발전한 힌두교와 - 비슷하게 변함.
cf) 초기 불교가 - 브라만교에 반발해 각종 의례 행위를 거부해었음.
⇒ 그러나 점점 불교에서도 온갖 의식이 중시됨.
Ⓑ 10세기 - 이슬람 세력이 인도를 침략함.
❶ 불교 사원을 파괴하고 - 승려들을 박해함.
cf) 이슬람 교리 - 사원과 불상 모두 우상 숭배이기 때문.
❷ 불교 승려들은 살아남기 위해 - 네팔·티베트 등지로 도피함.
❸ 결국 인도에서 - 불교가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됨.
ⅲ) 신(新)불교 부흥운동 일어남.(1950년대) - 빔 라오 암베드카르(1891~1956)
Ⓐ 카스트 제도 가운데 가장 낮은 불가촉천민.
⇒ 나중에 장관직에까지 오름.
Ⓑ 미국과 영국에서 석-박사 공부를 하고 - 변호사가 된 후 인도로 돌아옴.
⇒ 불가촉천민 인권 운동을 펼침.
Ⓒ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불교 교리에 따르면 - 신분 차별은 부당하다 여김.
※ 힌두교에서 불교로 개종하는 행사를 주도함.
⇒ 수십만 명이 불교로 개종함.
⑧ 불교 기본 교리
ⅰ) 윤회 - 모든 생물은 - 전생의 업보를 안고 살며
그 업보가 사라질 때까지 윤회한다.
Ⓐ 힌두교의 천신과 아수라 역시 - 윤회를 벗어날 수 없다.
Ⓑ 해탈에 이르러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면 - 윤회를 벗어난다.
Ⓒ 6도 위계 - 생명이 6도 위계에 따라 윤회함.
❶ 지옥도 → ❷ 아귀도 → ❸ 축생도 → ❹ 수라도(아수라) →
→ ❺ 인간도 → ❻ 천신도
Ⓓ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중생은 - 자신이 지은 업에 따라
다음 생애에 육도 중 하나에 태어난다
Ⓔ 부처 - 윤회의 업장을 해탈한 존재.
ⅱ)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
Ⓐ 성불(成佛) - 부처가 되는 것.
Ⓑ 깨달은 자는 - 누구든 부처가 될 수 있다.
cf) 그러나 일반적으로 - 석가모니불(Gautama Buddha)을 가리킴.
ⅲ) 자비 - 연기를 깨달을 때 나타나는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사랑.
Ⓐ 우주 만물과 타인들과의 불가피한 인과관계를 깨닫게 되면 -
⇒ 내가 소중하듯 - 남도 소중함을 알게 되고,
남의 기쁨을 - 같이 기뻐하게 되고
남의 슬픔도 - 같이 슬퍼하게 된다.
Ⓑ 자타불이(自他不二)를 전제로 한 무조건적인 사랑.
Ⓒ 진정한 자비 - 사랑이 인간뿐 아니라
살아있는 모든 생명체 즉 미물에까지 미침.
⑨ 주요 사상
ⅰ) 무아(無我) - 나는 없다.
ⅱ) 변(變) - 모든 것은 변한다.
ⅲ) 탐진치(貪瞋癡) - 괴로움에 빠지지 않기 위해 경계해야 할 - 3가지 악덕.
❶ 탐욕 ❷ 성냄 ❸ 어리석음
Ⓐ 동굴에서 떠나라! - 스스로가 ‘좋다’고 생각한 것에 머물려고 하는
마음가짐에서 떠나라!.
※ 가진 것에 대한 집착
Ⓑ 내가 옳다고 - 남을 비난하지 마라!.
※ 견해의 집착
Ⓒ 결점 없는 완벽한 순수를- 찾지 마라!.
※ 결점과 완벽에 대한 집착
Ⓓ 최고와 - 비교하지 마라!.
※ 더 좋은 것에 대한 집착
ⅳ) 명상(冥想) - 괴로움을 벗어나기 위해 할 수 있는 궁극적인 방법
Ⓐ 희론(Papañca) - 왜곡된 방식으로 생각이 계속 확장되어 나가는 것 -
⇒ 어떤 평범한 사건이 발생하면 - 연상작용을 통하여
이에 대한 생각을 확대 재생산함.
Ⓑ 결론 - 호불호를 버리고자 하는 마음마저 - 버려야 함.
ⅴ) 명색(名色) - ‘정신과 형체’ - 물질에 뜻을 부여하는 것
ⅵ) 오온(五蘊)과 행위(카르마)
Ⓐ 영혼(아트만)은 - 끊임없이 생성 소멸하는 몸'을 빌려서 윤회를 하며
천당과 지옥을 넘나든다.
※ 이는 - 자신의 행위(카르마 = 업보)에 따라 정해짐.
Ⓑ '자아(오온)'는 - 나의 행위들이 쌓여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-
⇒ 선한 행위들을 쌓아가면 - 선한 자아가 만들어지고
악한 행위들을 쌓아가면 - 악한 자아가 만들어짐.
Ⓒ 괴로움에서 벗어나려면 - 올바른 행위를 통해
올바른 자아를 만들어야 됨.
ⅶ) 연기(緣起) - 결과에 따른 원인
Ⓐ 괴로움의 원인을 - 추측해보는 과정
Ⓑ ‘무명과 행’ - 어리석은 생각(무명)과 행동(행)으로 인해서 -
⇒ 올바른 생각과 행동'을 쌓지 못하게 되므로 - 괴로워진다.
ⅷ) 공(空)
Ⓐ 모든 가치적 판단이 - 상대적 기준에 의해 달라지므로 -
⇒ 그 어떤 것도 다 될 수 있다
Ⓑ 비어 있기 때문에 – 모든 것을 할 수 있다
Ⓒ '반야'도 - '공(空)'과 비슷한 개념
※ '분별하지 않는 지혜'(나누어 보지 않는 지혜)를 의미.
ⅸ) 유식(唯識) - 오직 생각의 문제 - 생각하기 나름.
ex) 나뭇가지를 - 뱀으로 착각하고 두려워함.
ⅹ) 이타심
Ⓐ 자리이타(自利利他) - '나의 이익은 - 남을 이롭게 하는 데서 나오게 된다’
Ⓑ 자비(慈悲)라는 개념이 생김.
Ⓒ 수행 방법 - ‘남이 나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’에 집중하지 않고
‘내가 남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’에만 집중
Ⓓ 사무량심 - 측정할 수 없이 큰 마음가짐을 갖는 - 4가지 수행법
❶ 자(慈) ❷ 비(悲) ❸ 희(喜) ❹ 사(捨)
ⅺ) 상징과 신(神)
Ⓐ 진언이나 수인, 노래나 문양 등의 상징을 통해 - 끊임없이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는
계기를 만든다.
Ⓑ 감정을 컨트롤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됨.
ex) 진언 - ‘나무아미타불, 관세음보살’을 외침.
수인 - 손가락 동작으로 깨달음'을 상기시키는 것.
반야심경 등을 노래로 만들어 - 끊임없이 상기시키는 것,
불상을 볼 때마다 - ‘깨달음’에 대한 생각을 하는 것 등등
ⅻ) 사성제 - 고(苦), 집(集), 멸(滅), 도(道)의 4가지 진리
※ 욕심이 없으면 - 고통이 사라지고
올바른 수행생활로 열반과 해탈에 이를 수 있음.
❶ 고(苦)성제 - 모든 것은 다 고통이다
❷ 집(集)성제 - 그 고통은 탐욕과 진노와 어리석음에서 비롯된다.
❸ 멸(滅)성제 - 번뇌와 무명을 모두 끊어 버린
절대평화, 절대자유 해탈의 경지.
❹ 도(道)성제 - 멸의 세계에 이르기 위한 8가지의 올바른 수행 생활 - 팔정도.
※ 팔정도(八正道) - 지나친 쾌락과 지나친 계율, 고행을 금지한 중도로서의
8가지 바른 수행법.
⒈ 정견(正見) - 불법의 진리인 사성제(四聖諦)를 바르게 인식
⒉ 정사유(正思惟) - 올바르게 사유
cf) 사유 -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
헤아리고 판단하는 것
⒊ 정어(正語) - 올바르게 사유하고 그에 따라 말함
⒋ 정업(正業) - 올바르게 사유하고 그에 따라 행동함
⒌ 정명(正命) - 올바른 생활방식으로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
⒍ 정정진(正精進 - 바른 마음가짐으로 노력하는 것
⒎ 정념(正念) - 실체와 사고· 감정의 움직임에 대하여 깨어 있는 것
⒏ 정정(正定) - 바른 선정으로 심신을 조용히 갖고
무상무아(無常無我)를 깨달음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62. 신(god)⑭ - 이슬람교, 알라, 무함마드( = 마호메트), 쿠란, 무슬림 (0) | 2024.05.05 |
---|---|
662. 신(god)⑬ - 자라투스트라, 조로아스터교, 조로아스터교 교리 (0) | 2024.05.05 |
662. 신(god)⑪ - 인도 힌두교의 신들, 힌두교 교리와 힌두교 전파 (0) | 2024.05.02 |
662. 신(god)⑩ - 그리스의 신 티탄과 올림포스 신들, 로마의 신들 (0) | 2024.05.02 |
662. 신(god)⑨ - 이집트 신 샤브티, 사자의 서, 안크, 우레우스, 미이라, 호루스 아들들 (0) | 2024.05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