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62. 신(god)⑭ - 이슬람교, 알라, 무함마드( = 마호메트), 쿠란, 무슬림
(11) 알라(الله) - 무함마드( = 모하메드 = 마호메트 Muhammad, Mohammed, Mahomet)
① 알라(الله, Allāh)는 - ❶ ‘신’을 의미하는 - 아랍어 호칭
❷ 일반적으로 - 이슬람교의 신을 지칭.
※ 정관사 al(알) + 신을 의미하는 일라흐(ilāh) = 알일라흐(alilāh)
⇒ 알라흐(알라)(الله, Allāh)로 변함.
② 알라는 - 독존성, 무한성, 창조성, 자비성의 속성을 지님.
전지전능하고 우주를 창조하고 주관.
절대적 권위를 가짐
※ 알라와 하나님은 같은 신(神)인가?에 대한 의견이 분분함.
③ 알라는 - 전지전능한 유일한 존재로 - 눈이 없어도 보며
- 귀가 없어도 들으며
- 입이 없어도 말하는 존재.
④ 알라를 의미하는 - 그림이나 조각 등을 - 우상 숭배로 여겨 금지함.
⑤ 이슬람 - 아랍어로 ‘복종’, ‘순종’을 의미.
⑥ 이슬람을 믿는 신자 중 - 남자일 경우에는 - ‘무슬림’
- 여자일 경우에는 - ‘무슬리마’라 함.
⑦ 무슬림(Muslim)이 되려고 하는 사람은 -
※ 이슬람의 증인 앞에서 - 2가지 신앙고백(샤하다,Shahadah)을 해야함.
❶ “하나님 외에 - 하나님은 없다.”
❷ “무함마드는 - 하나님의 사도다.”
⑧ 이슬람교의 창시자 - 무함마드( = 모하메드 = 마호메트)
❶알라의 사도이자 - 최후이자 최대의 예언자로 여김.
❷무함마드는 단지 - 신이 창조한 피조물인 인간을 위해 부름 받은 존재다.
※ 무함마드를 - 신의 아들로 여기지 않음.
cf) 알라는 - “단 한 분이시며 영원하시며
성자와 성부도 두지 않았으며
그분과 대등한 것 세상에 없다.”고 믿음.
ⅰ) 출생 - 아라비아 히자즈 메카(현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주 메카)(570년)
ⅱ) 가족
Ⓐ 할아버지 - 압둘 무딸립
Ⓑ 아버지 - 압둘라
Ⓒ 어머니 - 아미나
Ⓓ 삼촌 - 아부 딸립(Abu Talib)
Ⓔ 부인 - 하디자 빈트후와일리드 외 12명
Ⓕ 아들 - 카심, 압둘라, 이브라힘, 자이드 이븐하리사(입양)
Ⓖ 딸 - 자이나브, 루카이야, 움쿨숨, 파티마
ⅲ) 무하마드( = 마호메트)의 어린 시절
Ⓐ 아버지 - 무함마드가 태어나기 전 - 죽음.
Ⓑ 어머니 아미나 - 메디나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중 병에 걸려 죽게 됨.
Ⓒ 하녀와 메카로 돌아와 - 할아버지 압둘 무딸립에 의해 자람.
Ⓓ 할아버지가 죽자 - 삼촌 아부 딸립에 의해 양육됨.
Ⓔ 삼촌 아부 딸립은 - 가난하고 식구들이 많아 -
⇒ 12세에 무함마드는 삼촌을 따라 - 시리아로 무역 대상으로 나감.
※ 그곳에서 - 네스토리아(경교) 수도사를 만나게 됨.
바히라라(Bahira)는 캬라반을 타고 가는 무함마드에게 - 예언자의 징표가 있다고
말하였다.
ⅳ) 카디자와의 결혼 - 15살 연상의 여인
Ⓐ 삼촌 아부 딸립의 소개로 - 부자였던 과부 카디자의 고용인으로 들어감.
⇒ 그녀를 대신해 - 시리아 지방으로 대상 무역을 떠난다.
⇒ 큰 성공을 거두고 시리아 지방의 특산품을 구해 메카로 돌아옴.
Ⓑ 카디자는 - 무함마드의 정직성과 신실함에 깊은 감명을 받고 청혼하고 결혼.
※ 무함마드 - 25세
카디자 - 40세
Ⓒ 자녀들 - 4 명의 딸들은 - 잘 성장하였으나
아들들은 - 계속 유아 사망함.
⇒ 삼촌 아부딸립의 아들들을 양자로 들임.(가난한 삼촌을 위해)
ⅴ) 무함마드는 - 금식하며 사색하며 진리를 찾기 시작.
ⅵ) 알라로부터 파견된 대천사 지브릴(가브리엘)로부터 - 첫 계시를 받음(610년)
Ⓐ 장소 - 메카 인근 자발 알노우르(جبل النور, 빛의 산)에 있는 히라 동굴에서.
Ⓑ 무함마드가 겁에 질려 - 집으로 돌아옴.
ⓐ 부인 카디자가 - 무함드를 진정시키고
자신의 삼촌이자 에비온파 기독교인이었던 와라까 븐 나우팔에게
물어봄.
ⓑ 와라까는 - “무함마드가 만난 것이 - 천사 지브릴(가브리엘)이며
무함마드는 - 하느님의 예언자.”라고 말함.
ⓒ 카디자는 집으로 돌아와 - 무함마드에게 모두 말함.
ⅶ) 무하마드( = 마호메트)의 예언자직이 시작됨.
Ⓐ 무함마드의 양자들과 노예, 친한 친구들이 - 무슬림으로 개종.
Ⓑ 3년째 되던 해 - 자신의 친구와 친족을 모아놓고
단일신 알라에 대한 믿음을 선포함.
⇒ 친구와 친족들은 - 그를 비난하고 모욕하며 무시함.
Ⓒ 그러자 무함마드는 - 메카로 오는 순례객들에게
유일신 사상을 전하기 시작.
⇒ 메카의 카바 신전을 지키며 순례객들로 수입을 얻었던 부족원들이
무함마드를 박해함.
ⅷ) 부인 카디자와 삼촌 아부 딸립이 - 같은 해에 죽음( AD 619)
ⅸ) 무함마드는 - 박해와 핍박에 대항하기 위해 -
⇒ 무슬림 공동체를 더욱 강하게 만들기로 함.
ⅹ) 메디나로의 피신 - ‘헤지라( = 히즈라 = 이주)’라고 함.(AD 622년)
⇒ 이 해를 - 이슬람력의 기원으로 삼고 있다.
Ⓐ 핍박이 더욱 심해짐.
Ⓑ 이를 피해 - 메디나로 피신함.(메카에서 북쪽으로 약 400km 떨어짐)
⇒ 신도들도 - 메디나로 피난.
그곳 협력자들(안사르)의 집에 머뭄.
Ⓒ 메디나에 도착한 무함마드는 -
ⓐ 자신의 말이 멈춘 수하일의 과수원 땅을 삼.
⇒ 최초의 사원과
자신의 집을 지음.
ⓑ 메카를 향해 - 하루에 5번씩 - “알라는 위대하다.”고 암송하며 절했다.
Ⓓ 선지자의 권위를 확립하고
아라비아 부족의 통일을 꿈꾸기 위해 - 제정일치의 사회를 추구함.
※ 종교적인 일과 세속적인 일을 구별하지 않는 이슬람 조직.
ⅺ) 메카 정복(AD 630년)
Ⓐ 메카의 카바 신전을 순례하러 가기로 결정함(AD 628년)
Ⓑ 메카의 사람들은 - 무함마드가 전쟁을 하지 않을까 염려하여
2년에서 10년까지의 평화조약을 요구함.
⇒ 무함마드는 이에 응함.
Ⓒ 2년 후 - 메카로 향함.(AD 630년)
ⓐ 10,000명의 무슬림은 무기를 지니지 않은 채 - 무혈입성이 이루어짐.
ⓑ 메카로 입성한 무함마드는 -
❶ “알라후 아크바르(신은 가장 위대하시다.)”를 - 외쳤고
⇒ 무슬림들이 따라 외쳤다.
❷ 카바 신전의 우상들을 다 부숴버렸고 -
※ 유일신 알라 외에 다른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포.
⇒ 메카의 모든 집에 있던 우상들이 - 다 파괴됨.
ⓒ 메카에서 보름을 지내고 - 메디나로 돌아옴.
ⅻ) 아라비아 북서쪽 타북 지방으로 - 원정을 떠났다.(AD 631년)
xiii) 죽음 - 632년 6월 8일(62세)
※ 메카의 카바 신전을 참배하고 메디나로 돌아오던 중 심각한 열병에 걸려 죽음.
⑨ 이슬람의 경전
ⅰ) 꾸란(코란 quṙān) - 알라의 계시를 집대성한 책.
Ⓐ 의미 - ‘읽기’
※ 무함마드가 받은 첫 계시가 - “읽어라!
창조주이신 너의 주님의 이름으로.”라고
시작되기 때문.
Ⓑ 무함마드가 23년간 신에게 받은 계시를 - 기록한 책
※ 신이 파견한 대천사 가브리엘로부터 무함마드에게 말하게 한 내용.
Ⓒ 현존하는 쿠란은 - 선지자 무함마드가 계시받은 순서와는 다르다.
※ 알라의 계시가 잊힐 것을 두려워한 무슬림들이 책을 만들면서
현존하는 순서로 만듦.
Ⓓ 원문이 변질되지 않도록 - 아랍어 원문을 그대로 담은 판본만 정본으로 인정.
※ 번역 자체가 금기는 아니라 - 번역본은 쿠란으로 인정하지 않음.
Ⓔ 쿠란은 소리내어 낭송하기를 - 가장 중요시함.
ⓐ 이유 - 그것만이 - 쿠란의 의미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고 선행이 쌓인다 여김.
ⓑ 낭독자마다, 낭독을 하는 날짜마다, 절기마다 - 낭독법이 달라짐.
ⓒ 예배에서 쿠란을 암송할 때는 - 무조건 원문 그대로의 아랍어만 사용.
※ 국적에 관계없이 - 모든 무슬림에게 적용.
Ⓕ 쿠란을 만지거나 읽을 때는 - 깨끗한 곳에서 손을 씻고 단정한 자세로 책을 봐야 함.
Ⓖ 우리나라에는 - 고려 왕실에까지 전파됨 – 실크로드를 타고.
ⓐ 원나라의 무역로를 타고 - 많은 위구르인이 고려에 정착.
ⓑ 조선 초에 - 특정한 날마다
무슬림 원로가 - 왕과 신하 앞에서 쿠란을 낭독하며
나라의 안녕과 평화를 기도했음.
Ⓗ 하루에 5번 있는 예배마다 - 이 구절을 항상 암송
ⅱ) 주석 - 타프시르 - 무난한 이해를 도움.
※ 주석 없이 문자 그대로 읽을 경우 - 오해할 수 있기 때문.
❶ 극단주의적 타프시르 - 와하브파, 살라프파
❷ 전통적 이슬람에 기초한 타프시르 - 하나피, 샤피이파, 말리키파 등
cf) 한국어 의미 번역본은 - 한발리나 와하브파에 근거하므로 주의!.
※ 전통적 타프시르 추천!
ⅲ) 하디스 -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
⑩ 이슬람의 대표적인 종파 - 수니파(Sunni), 시아파(Shia), 수피파(Sufism)
❶ 무함마드의 계승자를 - 누구로 보느냐에 따른 차이.
❷ 종교적 관행, 예배 의식, 결혼, 상속, 이슬람 법률 등의 교리 차이
ⅰ) 수니파(Sunni)
Ⓐ 초대 칼리파 아부 바크르와
뒤를 이은 칼리파( = 할리파)를 계승자로 여김.
Ⓑ 전체 무슬림의 - 80~90% 차지.
Ⓒ 나라 - 사우디 아라비아, 아라비아, 이집트, 수단, 리비아, 차드, 오만,
아랍에미리트, 터키, 파키스탄 등
cf) 인도네시아 - 77%
ⅱ) 시아파(Shia)
Ⓐ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인 - 알리를 계승자로 여김.
Ⓑ 전체 무슬림의 - 10~20%를 차지.
Ⓒ 나라들 - 이란, 이라크, 바레인, 아제르바이잔 등
ⅲ) 수피파( = 수피즘 Sufism) - 이슬람 신비주의 분파
※ 교리나 율법보다 - 개인의 신앙과 각성을 중시하는 신비주의적 분파.
Ⓐ 이슬람의 전통적인 율법은 존중하되 - 일체의 형식은 배격함.
Ⓑ 신도의 내면적 각성과 코란의 신비주의적 해석을 강조.
Ⓒ 강조된 행위 - 금욕, 청빈, 명상 등
Ⓓ 정신적인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- 지성보다 체험을 중시.
Ⓔ 유일한 목표 - 신과의 하나됨.
❶ 그러기 위해서는 - 진정한 자아를 찾아야 함.
❷ 다른 이슬람교 종파와는 달리 - 전통적인 교리 학습이나 율법이 아닌
현실적인 방법을 통해
신과 합일되는 것을 최상의 가치로 여김.
❸ 이를 위해 - 춤과 노래로 구성된 독자적인 의식이 있음.
※ 세마 - 흰옷을 입고 한 방향으로 계속 돌며
신과 교감하려는 의식을 함.
Ⓕ 예수를 특히 존중했음.
※ 예수를 - 사랑의 복음을 설교한 이상적인 수피로 봄.
⑪ 이슬람의 주장.
ⅰ) 이슬람에서의 신(알라)는 - 유대교 및 기독교의 야훼를 지칭한다.
ⅱ) 알라는 - 6일 만에 - 천지를 창조했으며
언젠가 최후의 날에 - 전 인류를 죽음에서 부활시키고 최후의 심판을 내린다.
ⅲ) 전능의 신은 - 휴식이 필요없다 - 제 7일의 안식이 필요없음.
cf) 유대교 기독교의 하나님 - 6일 동안 천지창조 제 7일에 - 안식함.
ⅳ) 삼위일체론 부정 - 기독교와 확연한 차이.
※ 쿠란 112:3~4 - "하나님은 - 1분 뿐이시고 영원하시며,
낳지도 태어나지도 않으셨고
이 세상에 그분과 같은 자 없노라"
⇒ 기독교가 믿는 - ❶ 성자 예수 그리스도 부정
❷ 성령 부정.
⑫ 교리
ⅰ) 이만 - 6가지 종교적 신앙 - 6가지 믿음.
❶ 하나님(神, 알라).
❷ 천사(天使, 말라이카)
❸ 성전(聖典, 꾸루안) - 경전
❹ 예언자 또는 사도(使徒, 나비)
❺ 내세 또는 부활, 심판(復活, 아힐라)
❻ 예정 또는 정명, 운명(定命, 카달)
ⅱ) 이슬람의 5 기둥 - 5가지 종교적 의무
cf) 수니파에게는 - 샤리아(이슬람법)에 근거하며 가장 중요한 의무.
시아파에는 - ‘종교의 뿌리’(Usul-ad-Deen)로 알려진 - 5가지 믿음과
‘종교의 가지’(Furoo-ad-Deen)로 알려진 - 10가지 의례가 있음.
※ 이 10가지는 - 수니파의 이슬람의 기둥과 비슷.
❶ 샤하다 - 이슬람의 신앙 고백 - "알라 외에 신은 없으며
무함마드는 알라의 예언자이다"라는 고백.
❷ 살라트 - 매일 5회의 기도
❸ 사움 - 이슬람력 9월(라마단) 1달 동안 - 일출부터 일몰까지
⒈ 모든 음식 섭취를 금한다.
⒉ 성행위를 금한다.
※ 라마단을 잘 지키면 - 3일간 축제로 축하한다.
cf) 무함마드가 도주 계획(헤지라)을 세울 때
머리가 흐려지지 않도록 단식한 데서 유래.
❹ 자카트 - 돈이나 생산물을 가난한 사람들과 나눔.
※ 부자 - 재산의 2.5% 정도
농민들 - 연 생산의 10~20% 정도.
❺ 하즈 - 메카의 성지를 순례하며 종교적 의례에 참가 - 이슬람력 12월(둘 힛자)
※ 경제적 신체적으로 가능한 자는 - 일생에 1번은 행해야 한다.
cf) 그 외에 - 지하드( = 고투, 노력)
※ 이슬람 공동체를 비이슬람 공동체로부터 지키기 위한
모든 수단과 방법.
⑬ 카바(الكعبة, Kaaba) 신전 - 이슬람의 제1성지이자 신전
ⅰ) 위치 - 사우디아라비아 메카.
ⅱ) 전 세계의 이슬람 교도들은 - 메카의 카바를 향하여 예배를 드린다.
ⅲ) 건축자 - 아브라함과 이스마엘①
❶ 알라가 직접 건설을 지시했고
❷ 알라에게만 봉헌된 첫 신전.
ⅳ) 시간이 지나며 - 카바가 우상들로 더럽혀졌다.
⇒ 무함마드( = 마호메트)가 - 다시 유일신 알라에게만 바쳐진 신전으로 정리함.
ⅴ) 생애 1번은 - 반드시 순례해야 함.
ⅵ) 카바 신전 내부는 - 향로와 3개의 기둥만 있는 빈 공간임.
⑭ 유대교, 기독교, 이슬람교 비교
※ 코란과 성경의 내용이 유사해 보이나 - 확연히 근본적으로 다르다
❶ 성경의 이야기가 - 쿠란의 여러 곳에 틈틈히 등장함.
❷ 그러나 - 일부 내용이 빠져 있거나, 변형되거나, 다른 해석을 함.
★참고 - 92. 기독교
ⅰ) 아담과 이브의 불순종 – 선악과 사건의 결과
❶ 유대교, 기독교 – 에덴동산에서 쫒겨남.
❷ 이슬람 - 알라가 아담과 하와를 용서함.
ⅱ) 아브라함이 모리아 산에서 제물로 바쳤던 아들
❶ 유대교, 기독교 - 이삭(아브라함과 사라의 아들)
❷ 이슬람 - 이스마엘(아브라함과 하갈의 아들)
ⅲ) 이스마엘①이 아라비아로 간 이유
❶ 유대교, 기독교 - 이삭을 놀리고 박해해 하갈과 함께 쫒겨 남.
❷ 이슬람 - 아브라함과 메카로 가서 성전을 지었다
ⅳ) 출애굽때 유월절 사건
❶ 유대교, 기독교 - 기록됨.
❷ 이슬람 - 없다.
ⅴ) 금송아지 사건후 - 모세가 돌판을 던진 사건
❶ 유대교, 기독교 - 기록됨
❷ 이슬람 - 없다.
ⅵ) 물을 핥는 300 용사를 이끈 사람
❶ 유대교, 기독교 - 사사 기드온
❷ 이슬람 - 사울①
ⅶ) 다윗의 본래 직업
❶ 유대교, 기독교 - 목자
❷ 이슬람 - 최초로 철갑을 만든 대장장이
ⅷ) 하만에 대하여
❶ 유대교, 기독교 - 에스더 시대에 유다인을 멸족시키려 했던 아각 사람.
❷ 이슬람 - 파라오와 함께 모세를 핍박한 사람.
ⅸ) 요셉①이 보디발의 아내 때문에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갇힌 사건.
❶ 유대교, 기독교 – 보디발이 화가나서 감옥에 가둠.
❷ 이슬람 - 요셉①이 스스로 감옥에 들어감.
ⅹ) 레위기의 피의 제사와 속죄
❶ 유대교, 기독교 - 피의 제사와 속죄를 중요시함
※ 속죄는 - 죄인의 죄를 전가받은 흠 없는 양 같은 제물
❷ 이슬람교 - 문에 들어가 빌며 '용서를'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속죄가 이루어진다
※ 이스마엘①을 대신하여 잡은 숫양을 기념하는 제사.
ⅺ) 엘리야, 엘리사, 이사야에 대한 중요도
❶ 유대교, 기독교 - 인물과 사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많은 분량으로 기록됨.
❷ 이슬람 - 일리아스( = 엘리야)가 바알의 선지자들과 싸웠다는 문장 정도만.
ⅻ) 예수에 대해
❶ 유대교 - 선지자, 신성모독자
❷ 기독교 - 메시야, 구세주, 하나님의 아들( = 성자 하나님)
❸ 이슬람 - 예언자, 선지자, 마리아의 아들
※ 십자가에 죽은 자는 - 가룟 유다②이다.
※ 코란 19:34 - 예수는 - 마리아①의 아들이며
알라께서는 - 아이를 갖지 않으신다
xiii) 마리아①에 대해
❶ 기독교 - 헬리의 딸, 동정녀, 예수의 어머니
❷ 이슬람 - 이므란( = 아므람)의 딸, 아론의 누이
cf) 아므람은 - 아론과 모세의 아버지
‘미리암’의 헬라식 이름 - 마리아
xiv) 선지자들의 잘못과 회개에 대한 기록
❶ 유대교, 기독교 - 사실대로 기록하고 교훈으로 삼는다.
❷ 이슬람 - 바로 회개하는 것으로 기록.(자세히 기록할 필요가 없다고 여김)
⇒ 모세의 토라나 예수의 복음서는 참조만 함.
⇒ 일반 무슬림 - 선지자들의 죄에 대해 잘 모름.
※ 선지자들은 잘못이 없다고 여김.
cf) 꾸란만이 - 변하지 않은 책이므로
성경과 대치되는 부분은 - 꾸란이 옳다고 여김.
⑮ 이슬람교 전파
ⅰ) 무함마드 사후 - 장로들 중에서 이슬람 최고 지도자인 후계자인 칼리파를 선출.
Ⓐ 칼리파 정권의 전성기 - 아바스 왕조 초기 100년간(750~1258년)
Ⓑ 이후 점차 축소됨.
※ 이베리아가 - 우마이야가(家) 일파에 의해 독립.
모로코, 튀니스, 중앙아시아, 이란 동부, 이집트 등도 - 독립정권이 세워짐.
ⅱ)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리아, 이라크·북부, 아르메니아, 이란, 이집트, 유럽, 중국 등으로
교세가 확장됨.
'8. 서기관 ~ 십자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64. 신명기(Deuteronomy)① - 신명기 개론, 신명기 특징과 목적, 신명기 내용 (0) | 2024.05.11 |
---|---|
663. 신년제(New year festival) - 이스라엘 유대인들의 봄 신년과 가을 신년 (0) | 2024.05.06 |
662. 신(god)⑬ - 자라투스트라, 조로아스터교, 조로아스터교 교리 (0) | 2024.05.05 |
662. 신(god)⑫ - 싯다르타, 부처의 어린 시절, 부처의 출가, 불교의 교리와 전파 (0) | 2024.05.04 |
662. 신(god)⑪ - 인도 힌두교의 신들, 힌두교 교리와 힌두교 전파 (0) | 2024.05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