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18. 아하수에로(Ahasuerus)②-2 - 에스더 남편, 아하수에로 조서, 부림절
⑭ 에스더가 - 왕과 하만을 잔치에 청하다(에 5:1~8)
ⅰ) 에스더가 - 왕에게 나아감.
⇒ 왕이 - 금규를 내밈(에 5:1~2)
Ⓐ 제 3일에(에 5:1a)
Ⓑ 에스더가 - 왕후의 예복을 입고
왕궁 안 뜰 곧 어전 맞은편에 서니(에 5:1b)
ⅱ) 왕이 - 어전에서 전 문을 대하여 - 왕좌에 앉았다가(에 5:1c)
Ⓐ 왕후 에스더가 뜰에 선 것을 - 본즉 -
※ 매우 사랑스러우므로 -
⇒ 손에 잡았던 금 규를 - 그에게 내미니
Ⓑ 에스더가 - 가까이 가서 -
※ 금 규 끝을 - 만진지라(에 5:2)
※ 아하수에로② - “왕후 에스더여!.
그대의 소원이 무엇이며? 요구가 무엇이냐?
나라의 절반이라도 - 그대에게 주겠노라!.”(에 5:3)
에스더 - “오늘 내가 - 왕을 위하여 잔치를 베풀었사오니
※ 왕이 좋게 여기시거든 -
⇒ 하만과 함께 오소서!.”(에 5:4)
아하수에로② - “에스더가 말한 대로 하도록 -
※ 하만을 급히 부르라!.”
하고(에 5:5a)
ⅲ) 이에 왕이 - 하만과 함께 -
⇒ 에스더가 베푼 잔치에 가니라(에 5:5b)
ⅳ) 잔치의 술을 마실 때에 - 왕이 에스더에게 이르되 -
※ 아하수에로② - “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뇨?
⇒ 곧 허락하겠노라.
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뇨?
⇒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- 시행하겠노라.”(에 5:6)
에스더 - “나의 소청, 나의 요구가 이러하니이다(에 5:7)
내가 만일 -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고
왕이 - 내 소청을 허락하시며
- 내 요구를 시행하시기를 - 좋게 여기시면 -
⇒ 내가 왕과 하만을 위하여 베푸는 잔치에 - 또 오소서!.
※ 내일은 - 왕의 말씀대로 하리이다.”(에 5:8)
⑮ 모르드개①를 존귀하게 하다 - 모르드개①가 높임을 받다(에 6:1~14)
ⅰ) 아하수에로②가 - 모르드개①가 암살로부터 자신의 생명을 구한 것을
알게 됨.(에 6:1~3, 에 2:19~23)
※ 모르드개① → 에스더 → 아하수에로② 왕
Ⓐ 그날 밤에 - 왕이 잠이 오지 아니하므로 -
⇒ 명령하여 - 역대 일기를 가져다가 -
※ 자기 앞에서 읽히더니(에 6:1)
Ⓑ 그 속에 기록하기를 -
※ “문을 지키던 왕의 두 내시 빅다나와 데레스가
아하수에로② 왕을 암살하려는 - 음모를 -
⇒ 모르드개①가 - 고발하였다.”
하였는지라(에 6:2)
cf) ⓐ 때 - 처녀들을 다시 모을 때(에 2:19)
※ 에 2:19 - 처녀들을 다시 모을 때에는
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앉았더라
ⓑ 모르드개①가 암살음모를 듣고 - 에스더에게 알림(에 2:21)
※ 에스더는 왕에게 알렸음 - 모르드개①의 이름으로(에 2:22)
ⓒ 조사하여 실증을 얻었으므로 - 두 사람을 나무에 달고 -
※ 그 일을 - 왕 앞에서 - 궁중 일기에 기록하니라(에 2:23)
※ 아하수에로② - “이 일에 대하여
무슨 존귀와 관작을 - 모르드개①에게 베풀었느냐?”
(에 6:3a)
측근 신하들 - “아무것도 베풀지 아니하였나이다.”(에 6:3b)
아하수에로② - “누가 뜰에 있느냐?”(에 6:4a)
Ⓒ 마침 하만이 - 자기가 세운 나무에 모르드개① 달기를
왕께 구하고자 하여 -
⇒ 왕궁 바깥뜰에 이른지라(에 6:4b)
※ 측근 신하들 - “하만이 뜰에 섰나이다.”
아하수에로② - “들어오게 하라!.”(에 6:5)
ⅱ) 하만의 교만과 - 자기를 높이려는 계획 (에 6:6~9)
※ 아하수에로② - “존귀하게 하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-
⇒ 어떻게 하여야 하겠느냐?”(에 6:6)
Ⓐ 하만이 심중에 이르되 -
※ “왕이 존귀하게 하기를 원하시는 자는 - 나 외에 누구리요?”
하고(에 6:7)
Ⓑ 왕께 이르되 -
※ 하만 - “왕께서 입으시는 왕복과
왕께서 타시는 말과
머리에 쓰시는 왕관을 - 가져다가(에 6:8)
※ 그 왕복과 말을 - 왕의 신하 중
가장 존귀한 자의 손에 맡겨서 -
⇒ 왕이 존귀하게 하시기를 원하시는 사람에게 -
※ 옷을 입히고,
말을 태워서 - 성 중 거리로 다니며,
그 앞에서 반포하여 이르기를 -
※ “왕이 존귀하게 하기를 원하시는 사람에게는 -
⇒ 이같이 할 것이라!.”
하게 하소서!.”
하니라(에 6:9)
ⅲ) 하만이 - 의도치 않게 모르드개①를 높이게 됨.(에 6:10~11)
Ⓐ 이에 왕이 - 하만에게 이르되 -
※ 아하수에로② - “너는 - 네 말대로 - 속히 왕복과 말을 가져다가 -
⇒ 대궐 문에 앉은 - 유다 사람 모르드개①에게
행하되
무릇 네가 말한 것에서 -
※ 조금도 빠짐이 없이 하라!.”(에 6:10)
Ⓑ 하만이 - 왕의 명령을 따름(에 6:11)
※ 에 6:11 - 하만이 - 왕복과 말을 가져다가 –
❶ 모르드개①에게 옷을 입히고
❷ 말을 태워 - 성 중 거리로 다니며
그 앞에서 반포하되 -
※ “왕이 존귀하게 하시기를 원하시는 사람에게는 -
⇒ 이같이 할 것이라!.”
하니라
ⅳ) 번뇌하는 하만(에 6:12)
Ⓐ 모르드개①는 - 다시 대궐 문으로 돌아오고
Ⓑ 하만은 - 번뇌하여 -
⇒ 머리를 싸고 - 급히 집으로 돌아가서(에 6:12)
ⅴ) 하만이 당할 굴욕을 걱정하는 - 아내와 친구들.(에 6:13~14)
Ⓐ 자기가 당한 모든 일을 -
※ 그의 아내 세레스와 모든 친구에게 - 말하매(에 6:13a)
Ⓑ 그 중 지혜로운 자와 그의 아내 세레스가 이르되 -
※ “모르드개①가 과연 - 유다 사람의 후손이면 -
⇒ 당신이 - 그 앞에서 - 굴욕을 당하기 시작하였으니 -
❶ 능히 그를 - 이기지 못하고
❷ 분명히 그 앞에 – 엎드러지리이다.”(에 6:13b)
Ⓒ 아직 말이 그치지 아니하여서 - 왕의 내시들이 이르러 -
⇒ 하만을 데리고 - 에스더가 베푼 잔치에 빨리 나아가니라(에 6:14)
⑯ 에스더가 - 아하수에로②( = 크세르크세스 1세) 왕에게 알리며 -
⇒ 유다 민족의 구원을 요청함
ⅰ) 하만의 죄를 공개함(에 7:1~6)
Ⓐ 왕이 - 하만과 함께 - 또 왕후 에스더의 잔치에 가니라(에 7:1)
Ⓑ 왕이 - 이 2째 날 잔치에 - 술을 마실 때에 -
⇒ 다시 에스더에게 - 물어 이르되(에 7:2a)
※ 아하수에로② - “왕후 에스더여!.
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?
⇒ 곧 허락하겠노라.
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?
⇒ 곧 나라의 절반이라 할지라도 - 시행하겠노라.”
(에 7:2b)
에스더 - “왕이여!.
내가 만일 -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입었으며,
왕이 좋게 여기시면 -
❶ 내 소청대로 - 내 생명을 내게 주시고
❷ 내 요구대로 - 내 민족을 내게 주소서!.(에 7:3)
※ 나와 내 민족이 팔려서 -
⇒ 죽임과 도륙함과 진멸함을
당하게 되었나이다.
만일 우리가 - 노비로 팔렸더라면 - 내가 잠잠하였으리이다.
그래도 대적이 - 왕의 손해를 보충하지 못하였으리이다.”(에 7:4)
아하수에로② - “❶ 감히 이런 일을 - 심중에 품은 자가 누구며
❷ 그가 어디 있느냐?”(에 7:5)
에스더 - “대적과 원수는 - 이 악한 하만이니이다!.”(에 7:6a)
Ⓒ 하만이 - 왕과 왕후 앞에서 - 두려워하거늘(에 7:6b)
Ⓓ 왕이 노하여 일어나서 -
⇒ 잔치 자리를 떠나 - 왕궁 후원으로 들어가니라(에 7:7a)
Ⓔ 하만이 일어서서 -
⇒ 왕후 에스더에게 - 생명을 구하니 -
※ 이는 - 왕이 자기에게 벌을 내리기로 결심한 줄
앎이더라(에 7:7b)
Ⓕ 왕이 - 후원으로부터 잔치 자리에 돌아오니 -
※ 하만이 - 에스더가 앉은 걸상 위에 엎드렸거늘 -
❶ 왕이 이르되 -
※ 아하수에로② - “저가 - 궁중 내 앞에서
왕후를 강간까지 하고자하는가?”
하니(에 7:8a)
❷ 이 말이 - 왕의 입에서 나오매 -
⇒ 무리가 - 하만의 얼굴을 싸더라(에 7:8b)
ⅱ) 하만이 죽임당함(에 7:9~10)
Ⓐ 왕을 모신 내시 중에 - 하르보나가 왕에게 아뢰되 -
※ 하르보나 - “왕을 위하여 충성된 말로 고발한 - 모르드개①를 달고자 하여 -
⇒ 하만이 - 고가 50 규빗(23m) 되는 나무를
준비하였는데
이제 그 나무가 - 하만의 집에 섰나이다.”(에 7:9a)
아하수에로② - “하만을 - 그 나무에 달라!.”(에 7:9b)
Ⓑ 모르드개①를 매달려고 한 나무에 - 하만을 다니 -
⇒ 왕의 노가 - 그치니라(에 7:10)
⑰ 유다 민족을 위한 아하수에로 왕의 칙령 - 유다 사람에게 살 길이 열리다 (에 8:1~17)
ⅰ) 그날 아하수에로② 왕이 -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집을 -
⇒ 왕후 에스더에게 - 주니라(에 8:1a)
ⅱ) 에스더가 - 모르드개②는 자기에게 어떻게 관계됨을 - 왕께 아뢰었으므로 (에 8:1b)
Ⓐ 모르드개①가 - 왕 앞에 나오니(에 8:1c) -
Ⓑ 왕이 - 하만에게서 거둔 반지를 빼어 -
⇒ 모르드개①에게 준지라(에 8:2a)
ⅲ) 에스더가 - 모르드개①에게 -
⇒ 하만의 집을 - 관리하게 하니라(에 8:2b)
ⅳ) 유다 민족이 전멸의 위기에서 구해짐 -
※ 에스더가 - 조서 취하를 요구함(에 8:5)
Ⓐ 에스더가 - 다시 왕 앞에서 말씀하며 -
- 왕의 발 아래 엎드려 -
⇒ 아각 사람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 한
악한 꾀를 - 제거하기를 -
※ 울며 구하니(에 8:3)
Ⓑ 왕이 - 에스더를 향하여 - 금 규를 내미는지라(에 8:4a)
Ⓒ 에스더가 일어나 - 왕 앞에 서서(에 8:4b)
※ 에스더 - “왕이 만일 - 즐거워하시며
내가 - 왕의 목전에 은혜를 입었고
또 왕이 - 이 일을 좋게 여기시며
- 나를 좋게 보실진대 -
⇒ 조서를 내리사 -
※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이
왕의 각 지방에 있는 유다인을 진멸하려고
꾀하고 쓴 - 조서를 -
※ 철회하소서!.(에 8:5)
내가 어찌 - ❶ 내 민족이 - 화 당함을 - 차마 보며
❷ 내 친척의 - 멸망함을 - 차마 보리이까?”(에 8:6)
ⅴ) 에스더가 - 왕 대신 조서를 작성하여 -
⇒ 왕의 이름으로 - 조서를 내림(에 8:8)
Ⓐ 아하수에로① 왕이 - 왕후 에스더와
유다인 모르드개①에게 이르되 -
※ 아하수에로① - “하만이 유다인을 살해하려 하므로 -
⇒ ❶ 나무에 매달렸고
❷ 내가 그 집을 - 에스더에게 주었으니(에 8:7)
너희는 - ❶ 왕의 명의로 - 유다인에게 조서를 - 뜻대로 쓰고
❷ 왕의 반지로- 인을 칠지어다.
왕의 이름을 쓰고
왕의 반지로 인친 - 조서는 -
※ 누구든지 - 철회할 수 없음이니라.”(에 8:8)
Ⓑ 그 때 시완월 - 곧 3월 23일에(에 8:9a) -
ⓐ 왕의 서기관이 - 소집되고(에 8:9b)
ⓑ 모르드개①가 시키는 대로 - 조서를 써서(에 8:9c)
❶ 인도로부터 구스③까지의 127 지방 -
⇒ 유다인과 대신과 지방관과 관원에게 - 전할새(에 8:9d)
❷ 각 지방의 문자와 각 민족의 언어와
유다인의 문자와 언어로 쓰되(에 8:9e)
❸ 아하수에로 왕의 명의로 - 쓰고 -
⇒ 왕의 반지로 - 인을 치고(에 8:10a)
ⓒ 그 조서를 - 역졸들에게 부쳐 - 전하게 하니(에 8:10b) -
※ 그들은 - 왕궁에서 길러서 왕의 일에 쓰는
준마를 타는 자들이라(에 8:10c)
ⅵ) 유다인 스스로 생명을 보호할 수 있게 됨.(에 8:11~17)
Ⓐ 조서에는 - 왕이 여러 고을에 있는 유다인에게 허락하여(에 8:11a)
❶ 그들이 함께 모여 -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(에 8:11b)
❷ 각 지방의 백성 중 - 세력을 가지고 -
⇒ 그들을 치려하는 자들과
그들의 처자를 - 죽이고 도륙하고 진멸하고
- 그 재산을 탈취하게 하되(에 8:11c)
❸ 아하수에로② 왕의 각 지방에서 -
※ 아달월 곧 12월 13일 - 하루 동안에 하게 하였고(에 8:12)
Ⓑ 이 조서 초본을 - 각 지방에 전하고
- 각 민족에게 반포하고 -
※ 유다인들에게 - 준비하였다가 -
⇒ 그 날에 - 대적에게 원수를 갚게 한지라(에 8:13)
Ⓒ 왕의 어명이 - 매우 급하매 -
⇒ 역졸이 - 왕의 일에 쓰는 준마를 타고 빨리 나가고 -
※ 그 조서가 - 도성 수산에도 반포되니라(에 8:14)
ⅶ) 모르드개①가 - 푸르고 흰 조복을 입고
- 큰 금관을 쓰고
- 자색 가는 베 겉옷을 입고 -
⇒ 왕 앞에서 나오니
❶ 수산 성이 -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고(에 8:15)
❷ 유다인에게는 - 영광과 즐거움과 기쁨과 존귀함이 있는지라(에 8:16)
ⅷ) 왕의 어명이 이르는 - 각 지방, 각 읍에서 -
※ 유다인들이 - ❶ 즐기고 기뻐하여 - 잔치를 베풀고
❷ 그 날을 - 명절로 삼으니(에 8:17a)
ⅸ) 본토 백성이 - 유다인을 두려워하여 -
⇒ 유다인 되는 자가 - 많더라(에 8:17b)
⑱ 유다사람이 대적들을 진멸하다 - 유다 민족들이 구원 받음(에 9:1~16)
※ 에스더가 - 하만의 아들 10명의 시체를
나무에 달리게 함(에 9:13~14)
ⅰ) 때 - 아달월 곧 12째 달 13일은 -
※ 왕의 어명을 시행하게 된 날이라(에 9:1a)
ⅱ) 유다인의 대적들이 - 그들을 제거하기를 바랐더니 -
※ 유다인이 도리어 -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
제거하게 된 그 날에(에 9:1b)
ⅲ) 유다인들이 - 아하수에로② 왕의 각 지방, 각 읍에 모여 -
⇒ 자기들을 해하고자 한 자를 - 죽이려 하니(에 9:2a)
Ⓐ 모든 민족이 - 그들을 두려워하여 - 능히 막을 자가 없고(에 9:2b)
Ⓑ 각 지방 모든 - 지방관과 대신들과 총독들과
왕의 사무를 보는 자들이 -
※ 모르드개를① 두려워하므로 -
⇒ 다 유다인을 도우니(에 9:3)
ⅳ) 모르드개①가 - 왕궁에서 존귀하여 점점 창대하매 -
⇒ 이 사람 모르드개①의 명성이 - 각 지방에 퍼지더라(에 9:4)
ⅴ) 유다인이 -
Ⓐ 칼로 그 모든 대적들을 쳐서 - 도륙하고 진멸하고
자기를 미워하는 자에게 - 마음대로 행하고(에 9:5)
또 도성 수산에서 - 500 명을 죽이고 진멸하고(에 9:6)
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10 아들을 - 죽였으나(에 9:7~10a)
Ⓑ 또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보라다와 아달리야와
아리다다와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 -
※ 그들의 재산에는 -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(에 9:10b)
cf) 이유 - 이들의 재산이 탐이 나서 진멸한 것이 아니기 때문.
※ 단지 유대인을 전멸시키려 대적했기 때문이었음.
ⅵ) 그 날에 - 도성 수산에서 도륙한 자의 수효를 - 왕께 아뢰니(에 9:11)
Ⓐ 왕이 - 왕후 에스더에게 이르되 -
※ 아하수에로② - “유다인이 - 도성 수산에서 - 이미 500명을 죽이고 멸하고
- 또 하만의 10 아들을 - 죽였으니
왕의 다른 지방에서는 - 어떠하였겠느냐?
이제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?
⇒ 곧 허락하겠노라.
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?
⇒ 또한 시행하겠노라!.“(에 9:12)
에스더 - “왕이 만일 좋게 여기시면 -
❶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이 -
⇒ 내일도 오늘 조서대로 - 행하게 하시고
❷ 하만의 10 아들의 시체를 - 나무에 매달게 하소서!.”(에 9:13)
Ⓑ 왕이 - 그대로 행하기를 허락하고 -
⇒ 조서를 수산에 내리니 -
※ 하만의 10 아들의 시체가 - 매달리니라(에 9:14)
ⅶ) 아달월 14일에도 - 수산에 있는 유다인이 모여 -
※ 또 300명을 - 수산에서 도륙하되
⇒ 그들의 재산에는 -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(에 9:15)
ⅷ) 왕의 각 지방에 있는 - 다른 유다인들이 모여 -
❶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- 대적들에게서 벗어나며
❷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 - 75,000명을 도륙하되 -
⇒ 그들의 재산에는 -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(에 9:16)
ⅸ) 부림일이 지켜지다 – 12월 13~14일(에 9:18~32)
Ⓐ 모르드개①가 - “이 날을 - 기념일이 되게 하라!” 명령함.
cf) 아달월(12월) 13일, 14일(에 9:17~22)
ⓐ 아달월 13일에 - 그 일을 행하였고 -
14일에 - 쉬며 -
※ 그 날에 -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(에 9:17)
ⓑ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은 - 13일과 14일에 모였고
※ 15일에 쉬며 - 이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긴지라(에 9:18)
ⓒ 그러므로 시골의 유다인 - 곧 성이 없는 고을고을에 사는 자들이 -
※ 아달월 14일을 명절로 삼아 -
❶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
❷ 서로 예물을 주더라(에 9:19)
ⓓ 모르드개①가 - 이 일을 기록하고
- 아하수에로② 왕의 각 지방에 있는 - 모든 유다인에게
원근을 막론하고 -
※ 글을 보내어 - 이르기를(에 9:20)
❶ 한 규례를 세워 - 해마다 아달월(12월) 14일과 15일을 지키라!(에 9:21)
❷ 이 두 날을 지켜 - ⒈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
⒉ 서로 예물을 주며
⒊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!.(에 9:22a)
※ 이유 - 이달 이날에
유다인들이 -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-
⇒ 평안함을 얻어 -
※ 슬픔이 변하여 - 기쁨이 되고
애통이 변하여 - 길한 날이 되었으니
(에 9:22b)
Ⓑ 유다인이 - 자기들이 이미 시작한 대로
- 또한 모르드개①가 보낸 글대로 - 계속하여 행하였으니(에 9:23)
ⓐ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-
❶ 유다인을 - 진멸하기를 꾀하고
❷ ‘부르’ 곧 제비를 뽑아 - 그들을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
(에 9:24)
ⓑ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감으로 말미암아 -
⇒ 왕이 - 조서를 내려 -
※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- 그의 머리에 돌려보내어
⇒ 하만과 그의 여러 아들을 -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
(에 9:25)
Ⓒ ‘부르’ - 메길롯(오축)(에 9:26~31)
※ 매년 부림절마다 - 회당에서 에스더서가 읽혀짐.
ⓐ 무리가 - ‘부르’의 이름을 따라 -
⇒ 이 두 날을 - ‘부림’이라 하고(에 9:26a)
ⓑ 유다인이 - 이 글의 모든 말과
-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으로 말미암아 (에 9:26b)
⇒ 뜻을 정하고 - 자기들과 자손과 자기들과 화합한 자들이
해마다 그 기록하고 정해 놓은 때 - 이 두 날을 -
❶ 이어서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- 작정하고
❷ 각 지방, 각 읍, 각 집에서 -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
(에 9:27)
❸ 이 부림일을 -
※ 유다인 중에서 - 폐하지 않게 하고 -
⇒ 그들의 후손들이 -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
(에 9:28)
Ⓓ 아비하일②의 딸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①가 -
❶ 전권으로 글을 쓰고 -
※ 부림에 대한 이 2째 편지를 - 굳게 지키게 하되(에 9:29)
❷ 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- 편지를 써서 -
❸ 아하수에로②의 나라 127 지방에 있는 -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(에 9:30)
❹ 정한 기간에 -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(에 9:31a)
❺ 이는 - 유다인 모르드개①와 왕후 에스더가 명령한 바와
-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으로 말미암아 -
⇒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-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(에 9:31b)
ⅹ) 에스더의 명령이 -
⇒ ❶ 이 부림에 대한 일을 - 견고하게 하였고
❷ 그 일이 - 책에 기록되었더라(에 9:32)
ⅺ) 모르드개①의 광명 - 왕과 모르드개①가 높임을 받다(에 10:1~3)
Ⓐ 왕이 - 모르드개①를 높여 - 존귀하게 했다.(에 10:2)
※ 에 10:2 - 왕의 능력 있는 모든 행적과
모르드개①를 높여 존귀하게 한 사적이
메대와 바사 왕들의 일기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
Ⓑ 모르드개①가 - 아하수에로② 왕의 다음이 되고 -
⇒ 바사에 남아 있는 남유다 백성의 -
※ 든든한 조력자가 되었다.(에 10:3)
※ 에 10:3 - 유다인 모르드개①가 -
⇒ ❶ 아하수에로② 왕의 - 다음이 되고
❷ 유다인 중에 - 크게 존경받고
❸ 그의 허다한 형제에게 - 사랑을 받고
❹ 그의 백성의 - 이익을 도모하며
❺ 그의 모든 종족을 - 안위하였더라
⑲ 아하수에로② 왕이 - 그의 본토와 바다 섬들로 하여금 -
※ 조공을 바치게 하였더라(에 10:1)
⑳ 살해당함 - 장남 다리우스와 신하들에게(BC 465년)
※ 장남 다리우스가 - 아르타바누스등의 신하들과 쿠테타를 일으킴.
⇒ 3번째 아들 아닥사스다② 1세가 - 장남 다리우스를 찾아 죽임.
㉑ 3째 아들 아닥사스다② 1세가 - 왕위를 이음.
★참고 - 693. 아닥사스다② 1세
'9. 아가서 ~아히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20. 아하시야(Ahaziah)① - 북이스라엘 왕, 아합의 아들, 바알세붑에게 물어 (0) | 2024.09.28 |
---|---|
819. 아하스(Ahaz) - 히스기야의 아버지, 성전에 다메섹 신을 위해 제단을 세움 (0) | 2024.09.28 |
818. 아하수에로(Ahasuerus)②-1 - 바사( = 페르시아 왕) 크세르 크세스 1세 (0) | 2024.09.26 |
817. 아하수에로(Ahasuerus)① - 아스티아게스, 메대( = 메디아) 마지막 왕 (0) | 2024.09.26 |
816. 아프리카(Africa)③ - 서부 아프리카 구스③와 스바①, 남부 아프리카 (0) | 2024.09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