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18. 아하수에로(Ahasuerus)②-1 - 바사( = 페르시아 왕) 크세르 크세스 1세
① 의미 - ‘위대한 사람’
② 다른 이름 - 크세르크세스 Ⅰ세.(Xerxes Ⅰ)
③ 바사(페르시아)제국의 왕 (BC 486~465년 통치)
★참고 - 346. 바사①②
※ ❶ 고레스② 2세( = 키루스 2세)(BC536~BC529) →
→ ❷ 아닥사스다①(= 캄비세스② 2세)(BC529~BC521) →
→ ❸ 가짜 스메르데스(= 마시승 가우마타)(BC521) →
→ ❹ 다리오② 1세(= 다리우스 히스타스페스)(BC521~485) →
→ ❺ 아하수에로② 1세(= 크세르크세스 1세)(BC485~BC465) →
→ ❻ 아닥사스다② 1세(= 롱기마누스)(BC465~BC423) →
→ ❼ 아하수에로③ 2세(크세르크세스 2세)(BC423) →
→ ❽ 다리오③ 2세( = 다리우스 2세)(BC423-BC404) →
→ ❾ 아닥사스다③ 2세(BC404~BC358) →
→ ❿ 아닥사스다④ 3세(BC358~BC338) →
→ ⓫ 다리오④ 3세( = 다리우스 3세)(BC338~BC330)
④ 가족 -
ⅰ) 외할아버지 - 고레스 2세
★참고 - 47. 고레스② 2세
ⅱ) 아버지 - 다리오② 1세( = 다리우스 1세) (스 4:24, 스5:1~2, 학1:1, 스 5:17~6:16)
★참고 - 163. 다리오②
Ⓐ 왕이 되기 전 - 이미 결혼하여 - 3명의 자식이 있었음.
Ⓑ 왕이 된 후 - 고레스(키루스 2세)의 딸 아토사와 결혼하여 -
⇒ 4명의 자식을 또 둠.
cf) 아하수에로②는 - 다리오② 1세와 아토사의 장남.
ⅲ) 어머니 - 아토사 - 고레스( = 키루스) 2세의 딸
ⅳ) 부인 -
❶ 아메스트리스 - 한 페르시아 장군의 딸
❷ 와스디(에스더서) - 4번째 부인이었다.
※ 왕의 부름에 나가지 않아 - 참수형 당한 이유 -
⒈ 국가 귀빈들과 최상급 매춘부들의 있는 - 술자리였음
⒉ 결혼 전에 - 사랑하는 남자가 있었음 -
⇒ 아하수에로②가 - 이미 알고 질투 중이었었음.
❷ 에스더(에스더서)
❹ 이 외 - 수많은 왕비들 . . .
ⅴ) 아들 -
❶ 아닥사스다② 1세 - 바벨론 2차 포로귀환(에스라), 3차 포로귀환(느헤미야①)
(스 7: 9~26, 느 6:15, 느 12:27)
cf) 아닥사스다② 1세 - 아하수에로②의 3번째 아들.
❷ 다리우스 외 수많은 왕자들 . . .
⑤ 아버지 다리오② 1세(다리우스 1세)의 죽음 – 아하수에로②가 왕위에 오름 (BC 486년)
ⅰ) 35세 - 아버지 다리오②( = 다리우스)가 죽음.
ⅱ) 그때 이미 - 12년 동안 바벨론( = 바빌로니아)를 통치한 경험이 있었다.
ⅲ) 다리오②( = 다리우스 1세)가 죽자 - 이집트와 바벨론에서 동시다발적인 반란이 일어나서 -
⇒ 즉위 후 - 반란자의 수중에 있는 이집트를 평정하고
바벨론의 반란을 진압해야했다
★참고 - 344. 바벨론①~③
⑥ 투서를 받음 - 사마리아인들로부터.
ⅰ) 예루살렘 성전건축에 관하여 - 아하수에로② 1세가 즉위할 때(스 4:6)
★참고 - 524. 성전①~⑩
cf) 이스라엘 백성의 성전건축을 반대하며 -
⇒ 아하수에로① 1세에게 - 고소문을 씀.(스 4:6)
※ 스 4:6 - 또 아하수에로②가 즉위할 때에 -
※ 그들이 글을 올려 -
⇒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을 고발하니라
ⅱ) 유대인에 관하여(에 3:8~4:8)
cf) 하만과 그를 따르는 자들이 - 모르드개①와 예루살렘 유대인에 대한 고소
(에 3:8~4:8)
⇒ 에스더 - 자기의 목숨을 걸고 왕에게 나아가 -
※ 하만의 계략을 알리고 - 유대민족을 구함.(에 4:11~17)
⇒ 부림절이 생김.(에 9:18~32) 사건
⑦ 건축
ⅰ) 방대한 건설계획을 추진함.
⇒ 그동안 무거운 과세로 긁어 모은 - 막대한 자원과 부를 -
※ 더 많이 소모시키게 됨.
ⅱ) 수도 페르세폴리스를 완성시킴 - 아버지 다리오② 1세( = 다리우스 1세)때
미완성된 부분이 있었음.
❶ 아버지 다리오② 1세 때부터 - 대규모의 단일화된 계획에 따라
⇒ 아파다나의 거대한 테라스(청중 홀), 궁전인 트리필론, 보물창고 등을
건축함.
❷ 아버지 다리오② 1세의 궁전 완성시킴.
※ 아파다나의 외벽에- 법랑 벽돌이 붙혀짐으로써 - 완성 됨.
ⅲ) 자신의 궁전을 세움 - 다리오②( = 다리우스 1세)의 2배의 크기
※ 다리오② 1세(다리우스 1세)의 궁전 남동쪽에 -
⇒ 아버지 궁전처럼 매우 비슷한 설계로 2배 큼.
ⅳ) 하렘 - 아하수에로② 1세의 보물창고로 보이는
※ 작고 똑같은 방들이 줄지어 있음.
ⅴ) 일백열주의 홀(알현실 The great audience hall)
Ⓐ 그의 재위시에는- 단지 벽면의 기단과 포장공사만 끝남.
⇒ 벽면들과 이 거대한 다주 홀의 장식은 -
※ 아들 아닥사스다② 1세 때 - 완성됨.
Ⓑ 건축물들의 양식은 - 아버지 다리오② 1세 시대의 전형적인 양식보다
더 화려하고 거대하다.
⑧ 아하수에로②의 정복 전쟁 - 바사(페르시아) vs 그리스와 스파르타 연합군
ⅰ) 헤로도투스의 <역사>책 - ‘아하수에로②가 - 매우 잔인한 왕’으로 묘사 됨.
ⅱ) 아버지 다리오② 1세의 ‘마라톤 전투’ 실패가 - 그리스 정벌이 과제가 됨.
cf) 원래 전쟁을 싫어하는 성격이었으나 - 사촌 마르도니오스가
옆에서 자꾸 전쟁을 부추김.
⇒ 먼저 이집트를 응징하려했으나 - 최측근인 사촌 마르도니오스가 설득함.
⇒ 각 나라에서 징발한 군인들의 - 언어가 서로 달라서 -
※ 명령의 하달이 어려웠다.
ⅲ) 그리스가 전쟁을 준비했다 - 페르시아의 재침공에 대비해서.
★참고 - 78. 그리스①~③
※ 그 때 - 라우레이온 광산에서 - 어마어마한 은광 발견함.
⇒ 테미스토클래스 - “전쟁에 대비하여 배를 만들자.”
⇒ 아테네는 - 200척의 배를 만듦 ⇒ 해군국이 됨
⇒ 아하수에로②(크세르크세스 1세)를 - 살라미스 유인해 대승함.
ⅳ) 테르모필레 전투(육상전) - 아하수에로②( = 크세르크세스 1세)의 승리
Ⓐ 기원전 480년 - 테르모필레 지역에서.
Ⓑ 페르시아군과 그리스 연합군 사이의 전쟁
Ⓒ 페르시아의 승리.
cf) 스파르타의 레오니우스 왕과 그리스 연합군 대부분이 -
⇒ 아하수에로② 1세(크세르크세스 1세)가 이끈 페르시아군에게 -
※ 전멸 당함.
ⅴ) 살라미스 해전(해전) - 아하수에로②( = 크세르크세스 1세)의 패배
Ⓐ 제3차 페르시아 전쟁 중인 BC 480년 9월 23일
Ⓑ 장소 - 살라미스 해협에서(좁은 해안)
Ⓒ 그리스 연합군(380척) vs 페르시아함대(600~800척)
↳ 어마어마한 폭풍으로 400 척의 손실 후 함대 수.
Ⓓ 페르시아의 패전 - 그리스 연합군의 승리
ⓐ 패배 이유 - 좁은 해안인 살라미스로 유인함.
ⓑ 아프리카, 아시아, 유럽 3개 대륙의 - 20만 명 이상의 페르시아 군인이 투입된
역사상 유례없는 전쟁임.
ⓒ 아테네 함대를 주력으로 한 그리스 연합해군이 - 우세한 페르시아 해군을
전멸시킨 해전.
❶ 테르모필레 전투에서의 승리 이후 - 사기가 높아진 페르시아 군은 -
⇒ 아르테미시온까지 뚫고 - 아테네로 진격함
⇒ 살라미스 해전에서 - 그리스군에게 크게 패함.
⇒ 아케메네스왕조의 몰락이 - 시작됨.
❷ 패배에 불쾌해진 아하수에로② 1세(크세르크세스)는-
⇒ 수사와 페르세폴리스에 틀어 박혔다.
※ 이때 - 에스더를 만나서 결혼하게 됨.(에스더서)
ⅵ) 페르시아의 역사에서 - 살라미스 해전에 대한 기록의 거의 남겨놓지 않음.
⇒ 이유 - 패전 국가는 - 패전 기록을 잘 남기지 않는다.
⑨ 아하수에로② 1세가 실의에 빠짐 - 서서히 몰락하는 과정임.
ⅰ) 원인 - 살라미스 해전 패배에 이어 다음해 플라타이아 전투, 마카레 전투에 - 연이은 패배.
ⅱ) 페르시아로 퇴각함
⇒ 그리스에서 귀환한 뒤 - 하렘에 칩거함.
⇒ 잔치를 즐김 - 억지로라도 권위를 세우고자 함.
⇒ 그 곳에서 벌어지는 음모 속에서 - 사실상 하나의 볼모에 불과함
ⅲ) 이 시기에 - 에스더를 만나게 됨 - 에스더서
⑩ 에스더서 배경 -
❶ 스룹바벨 성전은 - 다리오 1세때 완성되고
❷ 느헤미야의 성벽은 - 완성되지 않은 중간기.(스 7: 9~26, 느 6:15, 느 12:27)
cf) 투서들로 인해 - 성벽 재건이 중단되고 있었다.
⇒ 예루살렘 성벽 - 아닥사스다② 1세 때 완공됨.
cf) 에 1:3과 에 2:16 사이에는 - 약 4년의 시간차가 있다.
※ 에 1:3a - 왕위에 있은 지 제 3년에
※ 에 2:16 - 아하수에로② 왕의 제 7년 10월
곧 데벳월에 에스더가 - 왕궁에 인도되어 들어가서 -
⇒ 왕 앞에 나가니
⑪ 하만과 그를 따르는 자들로로부터 - 모르드개①와 유대인에 대한 고소문을 받음.(에 3:8~4:8)
ⅰ) 아각 사람 하만이 화가 남 - 모르드개①가 자신에게 절하지 않아서.(에 3:5~6)
Ⓐ 하만이 - 모르드개①가 - 꿇지도 아니하고
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-
⇒ 매우 노하더니(에 3:5)
Ⓑ 그들이 - 모르드개①의 민족을 하만에게 알리므로 -
※ 하만이 - 모르드개①만 죽이는 것이 부족하다 생각하고
⇒ 아하수에로②의 온 나라에 있는 - 유다인 곧 모르드개①의 민족을
※ 다 멸하고자 하더라(에 3:6)
ⅱ) 아각 사람 하만 - 아말렉의 후예이다.(에 3:1)
ⅲ) 에스더와 유대민족이 - 대학살 당할 위기에 놓임.
※ 하만이 - ❶ 왕의 조서를 요구함(에 3:7~11)
❷ 아하수에로② 왕에게 - 뇌물을 줌(에 3:9)
Ⓐ 때 - 아하수에로② 왕 제 12년 1째 달 곧 니산월에(에 3:7a)
Ⓑ 무리가 - 하만 앞에서 날과 달에 대하여
※ ‘부르’ 곧 제비를 뽑아 - 12째 달 곧 아달월을 얻은지라(에 3:7b)
Ⓒ 하만이 - 아하수에로② 왕에게 아뢰되 -
※ 하만 - “한 민족이 - 왕의 나라 각 지방 백성 중에 - 흩어져 거하는데
그 법률이 - 만민의 것과 달라서 -
⇒ 왕의 법률을 - 지키지 아니하오니
※ 용납는 것이 - 왕에게 무익하니이다.(에 3:8)
왕이 옳게 여기시거든 -
⇒ 조서를 내려 - 그들을 진멸하소서!.
내가 - 은 10,000 달란트(340톤)를 -
※ 왕의 일을 맡은 자의 손에 맡겨 -
⇒ 왕의 금고에 - 드리리이다.”(에 3:9)
Ⓓ 왕이 - 반지를 손에서 빼어 -
⇒ 유다인의 대적
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에게 - 주며(에 3:10)
※ 아하수에로② - “그 은을 - 네게 주고 그 백성도 - 그리하노니 -
⇒ 너의 소견에 좋을 대로 - 행하라!.”(에 3:11)
⑫ 아하수에로②( = 크세르크세스 1세)의 서기관들이 - 하만의 명령을 따라 -
⇒ 아하수에로②의 이름으로 - 조서를 씀
cf) 1월13일(에 3:12)
ⅰ) 때 - 1째 달 13일에(에 3:12a)
ⅱ) 왕의 서기관이 소집되어 - 하만의 명령을 따라(에 3:12b)
ⅲ) 대상 - 왕의 대신과 각 지방의 관리와 각 민족의 관원에게(에 3:12c)
ⅳ) 아하수에로② 왕의 이름으로 - 조서를 쓰되 -
❶ 곧 각 지방의 - 문자와 각 민족의 - 언어로 쓰고(에 3:12d)
❷ 왕의 반지로 - 인치니라(에 3:12e)
ⅴ) 조서 내용(에 3:13~14)
❶ 12째 달 곧 아달월 13일 - 하루 동안에(에 3:13)
※ 12월 13일
❷ 모든 유다인을 - 젊은이 늙은이 어린이 여인들을 막론하고
※ 죽이고 도륙하고 진멸하고 ⇒ 또 그 재산을 - 탈취하라(에 3:13b)
❸ 이 명령을 - 각 지방에 전하기 위하여 -
※ 조서의 초본을 - 모든 민족에게 선포하여 -
⇒ 그 날을 위하여 준비하게 하라!. (에 3:14)
ⅵ) 역졸이 - 왕의 명령을 받들어 - 급히 나가매 -
❶ 그 조서가 - 도성 수산에도 반포되니
❷ 왕은 - 하만과 함께 앉아 마시되
❸ 수산 성은 - 어지럽더라(에 3:15)
⑬ 에스더와 모르드개①가 - 지혜를 모으고 금식 기도함.(에 4:16~17)
★참고 - 276. 모르드개①
ⅰ) 모르드개① - 에스더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- 왕께 알리라 충고함.(에 4:13~14)
※ 모르드개① - “ ❶ 너는 - 왕궁에 있으니 -
※ ‘모든 유다인 중에 - 홀로 목숨을 건지리라’
생각하지 말라!.(에 4:13)
❷ 이 때에 네가 만일 - 잠잠하여 말이 없으면 -
⇒ 유다인은 - 다른 데로 말미암아 놓임과 구원을 얻으려니와 -
※ 너와 네 아버지 집은 - 멸망하리라.
❸ 네가 -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-
※ 이때를 위함이 아닌지 - 누가 알겠느냐?”
(에 4:14)
ⅱ) 에스더의 대답(에 4:16~17)
❶ 모르드개①에게 - 금식과 중보기도를 요청함(에 4:16)
❷ 에스더와 모르드개①가 - 지혜를 모으고 금식 기도함.
※ 에스더 - “당신은 - ⒈ 가서 - 수산에 있는 유다인을 다 모으고
⒉ 나를 위하여 금식하되 -
※ 밤낮 3일을 - 먹지도 말고 마시지도 마소서!.
나도 - 나의 시녀로 더불어 - 이렇게 금식한 후에 -
⇒ 규례를 어기고 - 왕에게 나아가리니
※ 죽으면 죽으리이다.”(에 4:16)
ⅲ) 모르드개①가 가서 -
※ 에스더가 명령한 대로 - 다 행하니라(에 4:17)
'9. 아가서 ~아히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19. 아하스(Ahaz) - 히스기야의 아버지, 성전에 다메섹 신을 위해 제단을 세움 (0) | 2024.09.28 |
---|---|
818. 아하수에로②-2 - 에스더 남편, 아하수에로 조서, 부림절 (0) | 2024.09.26 |
817. 아하수에로(Ahasuerus)① - 아스티아게스, 메대( = 메디아) 마지막 왕 (0) | 2024.09.26 |
816. 아프리카(Africa)③ - 서부 아프리카 구스③와 스바①, 남부 아프리카 (0) | 2024.09.25 |
816. 아프리카(Africa)② - 성경 속 북아프리카 애굽( = 이집트)과 구레네 (0) | 2024.09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