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9. 아가서 ~아히야

(188)
730. 아몬(Amon)④ - 노( = 테베)의 지방신이자 이집트 국가 신, 노 아몬 730. 아몬(Amon)④ - 노( = 테베)의 지방신이자 이집트 국가 신, 노 아몬① 의미 - ‘감추인 자’② 애굽의 국가신 - 바람과 관련된 신.       ⅰ) 처음에는 - 테베의 지방 신이었음.       ⅱ) 나중에는 - 태양신 ‘레( = 라)’와 결합하여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집트 제국의 - 국가 신이 됨.(BC 1,552년 이후)     ③ 다른 이름 - ❶ 아문(Amun)     ❷ 아멘(Amen)     ❸ 아몬 라(Amon Ra) ④ 도시 이름으로도 사용됨 -  노 아몬④( = 테베)(렘 46:25, 겔 30:14~16, 나 3:8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729. 아몬(Amon)③ - 솔로몬 신하, 이방인으로 포로로 잡혀 와 신하가 됨 729. 아몬(Amon)③ - 솔로몬 신하, 이방인으로 포로로 잡혀 와 신하가 됨① 의미 - ‘신뢰할 수 있는 자’, ‘충실한 자’② 솔로몬의 신하였음.(느 7:57~59)       ⅰ) 솔로몬의 신하의 자손은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소대 자손과 소베렛 자손과 브리다 자손과(느 7:5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야알라 자손과 다르곤 자손과 깃델 자손과(느 7:58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스바댜 자손과 핫딜 자손과 보게렛하스바임 자손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아몬③ 자손이니(느 7:59)       ⅱ) 모든 느디님 사람과             솔로몬의 신하의 자..
728. 아몬(Amon)② - 사마리아 성주, 미가야② 선지자를 옥에 가둠 728. 아몬(Amon)② - 사마리아 성주, 미가야② 선지자를 옥에 가둠① 의미 - ‘신뢰할 수 있는 자’, ‘충실한 자’② 북이스라엘 아합 시대 - 사마리아의 성주.(왕상 22:2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왕상 22:26 - 이스라엘의 왕이 이르되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“미가야①를 잡아 - 성주 아몬①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왕자 요아스③에게로 끌고 돌아가서” ③ 아합의 명령대로 - 참 선지자 미가야①를 옥에 가두었다(왕상 22:26~27)                ..
727. 아몬(Amon)① - 남유다 므낫세② 왕의 아들이며 우상을 섬김 727. 아몬(Amon)① - 남유다 므낫세② 왕의 아들이며 우상을 섬김① 의미 - ‘신뢰할 수 있는 자’, ‘충실한 자’② 제 15대 남유다 왕.       ⅰ) 아몬①이 왕위에 오를 때에 - 나이가 22세라       ⅱ) 예루살렘에서 - 2년 동안 다스리며(대하 33:21)      ③ 동시대 사람 - 므낫세②, 요시야, 여호아하스②, 여호야김, 시드기야①, 예레미야, 나훔 ④ 므낫세② 왕의 아들(대상 3:14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므낫세 ② ⑤ 가족(대상 3:13~15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대상 3:13 - 그의 아들은 아하스요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의 아들은 히스..
726. 아모스서(Amos)② - 아모스의 5개의 환상, 북이스라엘 멸망에 대한 예언 726. 아모스서(Amos)② - 아모스의 5개의 환상, 북이스라엘 멸망에 대한 예언⑧ 애가(암 5:1~3)       ⅰ) 이유 - 의인과 정직한 자를 미워하고 학대하는 북이스라엘.(암 5:1~17)       ⅱ) “들으라!”(암 5: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Ⓐ 이스라엘 족속아 - 내가 너희에게 대하여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애가로 지은 이 말을 - 들으라!.(암 5: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Ⓑ 처녀 이스라엘이 엎드러졌음이여 - 다시 일어나지 못하리로다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자기 땅에 던지움이여 - 일으킬 자 없으리로다(암 5:2)      ..
726. 아모스서(Amos)① - 아모스서 특징, 아모스서 내용, 아모스의 예언 726. 아모스서(Amos)① - 아모스서 특징, 아모스서 내용, 아모스의 예언(1) 저자 - 아모스(암 1:1, 암 5:1)① 드고아 출신 - 남유다 예루살렘으로부터 남쪽으로 16km.(암 1:1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암 1:1 - 유다 왕 웃시야의 시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곧 이스라엘 왕 요아스①의 아들 여로보암②의 시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지진 전 2년에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드고아 목자 중 아모스가 - 이스라엘에 대하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725. 아모스(Amos) - 여로보암 2세 때 남유다 선지자로 북이스라엘 멸망을 예언 725. 아모스(Amos) - 여로보암 2세 때 남유다 선지자로 북이스라엘 멸망을 예언① 의미 - ‘무거운 짐을 진 자’② 시대 - 남유다의 웃시야( = 아사랴①)와 북이스라엘의 여로보암② 2세 때.(암 1:1)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암 1:1 - 유다 왕 웃시야의 시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곧 이스라엘 왕 요아스①의 아들 여로보암②의 시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지진 전 2년에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드고아 목자 중 아모스가 - 이스라엘에 대하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724. 아모리(Amorites)② - 이스라엘과 아모리의 전쟁, 아모리인과 통혼 724. 아모리(Amorites)② - 이스라엘과 아모리의 전쟁, 아모리인과 통혼⑭ 여호수아①가 - 아모리의 남은 자들 기브온과 - 화친조약 맺음(수 9:3~15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❶ 기브온과 기럇여아림의 주민들이 - 여호수아①를 속임(수 9:3~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기브온 주민에게 속아 - 화친조약을 맺었었음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여호와가 행한 일을 듣고 - 목숨을 잃지 않기 위해.(수 9:24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기브온 - 이스라엘 족속이 아님.(삼하 21:2)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724. 아모리(Amorite)① - 아모리 족속의 죄악, 아모리 왕 시혼과 바산 왕 옥 724. 아모리(Amorite)① - 아모리 족속의 죄악, 아모리 왕 시혼과 바산 왕 옥① 의미 - ‘산중 사람’, ‘산지에 거주하는 자’, ‘자랑하다’, ‘마음에 교만을 품다’② 함의 아들 가나안의 자손(창 10:15~16, 대상 1:13~16)        ⅰ) 가나안은 - 장자 시돈과 헷을 낳고(창 10:15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또 여부스 족속과 아모리 족속과 기르가스 족속과(창 10:1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히위 족속과 알가 족속과 신 족속과(창 10:1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아르왓 족속과 스말 족속과 하맛 족속을 낳았더니(창 ..
723. 아멘호텝 2세(Amenhotep Ⅱ)② - 장자의 죽음, 홍해에 빠져 죽음 723. 아멘호텝 2세(AmenhotepⅡ)② - 장자의 죽음, 홍해에 빠져 죽음       ⅹ) 10번째 재앙 - 장자의 죽음(출 11:1~10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❶ 재앙 - 장자들과 첫 생명들을 다 죽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바로 아멘호텝의 장자 위벤세누도 죽음 -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투트모세 4세가 왕이 됨.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심판 - 프타(Ptah : 생명의 신), 이시스(Isis : 어린이 수호신),           ..
723. 아멘호텝 2세(Amenhotep Ⅱ)① - 출애굽 때 애굽( = 이집트) 왕, 열 재앙 723. 아멘호텝 2세(Amenhotep Ⅱ)① - 출애굽 때 애굽( = 이집트) 왕, 열 재앙① 고대 이집트 제 18왕조의 왕(재위 BC 1453 ~ BC 1425년경) - 34년 간  통치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성경의 기록과 이집트 기록과 다름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성경 기록 - 이스라엘 출애굽 때 익사(BC 1448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집트 기록 - 출애굽 이후 20년 더 사역      ② 다른 이름 -..
722. 아말렉 자손(Amalekites)- 아말렉을 쳐서 진멸하고 죽이라 722. 아말렉 자손(Amalekites) - 아말렉을 쳐서 진멸하고 죽이라① 아말렉①의 후손들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아말렉① - 에서와 아다의 손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아다 - 헷 족속( = 호리 족속)(창 36:2, 창 36:20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엘리바스①와 딤나④의 아들(창 36:12, 대상 1:3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※ 딤나④ - 엘리바스①의 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721. 아말렉(Amalek) - 엘리바스①와 딤나④의 아들, 아말렉 자손의 조상 721. 아말렉(Amalek) - 엘리바스①와 딤나④의 아들, 아말렉 자손의 조상① 의미 - ‘골짜기에 사는 자’② 엘리바스와 첩 딤나④의 아들 ③ 가족 -       ⅰ) 증조 할아버지 - 이삭       ⅱ) 증조 할머니 - 리브가       ⅲ) 할아버지 - 에서(창 36:12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창 36:12 - 에서의 아들 엘리바스①의 - 첩 딤나④는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아말렉을 - 엘리바스①에게 낳았으니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들은 - 에서의 아내 아다의 자손이며       ⅳ) 할머니 - 아다 - 헷 족속( = 호리 족속)(창 36:..
720. 아마샤(Amaziah)② - 여로보암 2세 때 벧엘 제사장, 아모스와 대결 720. 아마샤(Amaziah)② - 여로보암 2세 때 벧엘 제사장, 아모스와 대결① 의미 - ‘여호와는 강하시다’② 북이스라엘 여로보암② 2세 때 사람.(암 7:10) ③ 벧엘 제사장(암 7:10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408. 벧엘 ④ 선지자 아모스와 대결(암 7:10~1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아모스를 - 모반자로 고소함.(암 7:10~17)            ⅰ) 때 - 아모스의 5개의 환상 중 - 3번째 환상 직후에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❶ 메뚜기 재앙 환상(암 7:1~3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❷ 불 환상(암 7:4~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719. 아마샤(Amaziah)① - 남유다 왕, 에돔 정복, 북이스라엘 요아스①에게 패함 719. 아마샤(Amaziah)① - 남유다 왕, 에돔 정복, 북이스라엘 요아스①에게 패함① 의미 - ‘여호와는 강하시다’② 제 9대 남유다 왕 - 25세에 왕이 되어 - 29년 동안 통치.(BC 796년 ~ BC 781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왕하 14:2, 대하 25:1)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왕하 14:1 - 이스라엘의 왕 여호아하스①의 아들 - 요아스① 제 2년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유다의 왕 요아스②의 아들 아마샤①가 - 왕이 되니              ..
718. 아마새(Amasai)④ - 히스기야 시대 레위인 마핫의 아버지 718. 아마새(Amasai)④ - 히스기야 시대 레위인 마핫의 아버지① 의미 - ‘무거운 짐’② 레위인 그핫( = 고핫) 자손 - 히스기야 시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★참고 - 243. 레위지파 레위인①~⑤ ③ 마핫의 아버지(대하 29:11~15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마핫 - 히스기야 시대에 - 성전을 깨끗하게 하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거룩하게 하는 일을 함.(대하 29:11~15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히스기야 - “내 아들들아! 이제는 게으르지 말라..
717. 아마새(Amasai)③ - 언약궤를 옮길 때 나팔을 불던 제사장 717. 아마새(Amasai)③ - 언약궤를 옮길 때 나팔을 불던 제사장① 의미 - ‘무거운 짐’② 제사장 - 다윗 시대(대상 15:24) ③ 다윗이 법궤를 - 오벳에돔①의 집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길 때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그 앞에서 - 나팔을 불던 제사장.(대상 15:24)            ⅰ) 제사장 스바냐④와 요사밧과 느다넬과 아미새③와 스가랴⑨와              브나야⑤와 엘리에셀은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하나님의 궤 앞에서 - 나팔을 부는 자요             오벧에돔②과 여히야는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궤 앞에서 - 문을 지키는 자이더..
716. 아마새(Amasai)② - 다윗의 군대 지휘관, 시글락에서 다윗에게 충성을 맹세 716. 아마새(Amasai)② - 다윗의 군대 지휘관, 시글락에서 다윗에게 충성을 맹세① 의미 - ‘무거운 짐’② 다윗의 30인 두목(대상 12:18a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삼하 20장 대상 11장에는 - 그의 이름이 빠졌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대상 12:18a - 그 때에 성령이 - 30명의 우두머리 아마새②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감싸시니 ③ 시글락에 있던 다윗에게 가서 - 합세함.(대상 12:18a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715. 아마새(Amasai)① - 고핫의 후손, 마핫의 아버지 헤만의 조상 715. 아마새(Amasai)① - 고핫의 후손, 마핫의 아버지 헤만의 조상① 의미 - ‘무거운 짐’② 레위 자손 고핫의 후손. ③ 마핫의 아버지(대상 6:35) ④ 헤만의 조상(대상 6:25, 33, 35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헤만 - 사무엘과 다윗 시대에 성전에서 노래하는 자.              ※ 대상 6:33 - 직무를 행하는 자와 그 아들들이 이러하니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핫의 자손 중에 - 헤만은 찬송하는 자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저는 - 요엘①의 아들이요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714. 아마사(Amasa)② - 베가 때 에브라임 자손의 두목, 남유다 포로 돌려 보냄 714. 아마사(Amasa)② - 베가 때 에브라임 자손의 두목, 남유다 포로 돌려 보냄① 의미 - ‘무거운 짐’② 북이스라엘 에브라임 지파의 두목 중 한 사람 - 북이스라엘 베가 왕 때(대하 28:5~15) ③ 하들래의 아들 ④ 오뎃의 예언을 들음 - 남유다 포로를 돌려보내야 한다는 오뎃의 예언을 듣고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포로들을 - 극진히 먹이고 입혀 - 돌려보냄.(대하 28:12~15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유다 자손들을 노예로 두는 것에 - 반대함(대하28:12)            ⅰ) 아하스가 왕위에 오를 때에 - 나이가 20 세라(대하 28:1a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713. 아마사(Amasa)① - 아비갈 아들, 압살롬 군지휘관, 요압에게 죽임 당함 713. 아마사(Amasa)① - 아비갈 아들, 압살롬 군지휘관, 요압에게 죽임 당함① 의미 - ‘무거운 짐’② 가족       ⅰ) 외할아버지 - 나하스②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이부동복 - 다윗과 누이 스루야와 아비가일②( = 아비갈)은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아버지는 - 다르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어머니만 - 같다.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아마사의 외할아버지는 - 이새가 아닌 나하스②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대상 2:13 - ..
712. 아리마대(Arimathea) - 라마①의 옛 이름 , 아리마대 요셉③의 고향 712. 아리마대(Arimathea) - 라마①의 옛 이름 , 아리마대 요셉③의 고향① 의미 - ‘높이 있음’② 위치       ⅰ) 예루살렘 서북 32km 지점       ⅱ) 현대 - 벨라(Shephelah) 지방 구릉지대의 - 렌티스(Rentis)로 추측함.    ③ 다른 이름 -            ❶ 라마①(삼상 8:4, 삼상 25:1)            ❷ 라마다임소빔(삼상 1: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베냐민 산지 라마②와 구분하기 위해 - ‘라마다임소빔’이라고도 부름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삼상 1:1 - 에브라임 산지 라마다임소빔에 -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711. 아르사(Arza) - 북이스라엘 엘라④ 왕의 왕궁 맡은 자 711. 아르사(Arza) - 북이스라엘 엘라④ 왕의 왕궁 맡은 자① 의미 - ‘호의적인’② 북이스라엘 왕 엘라④의 - 궁내대신.(왕상 16:9)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왕상 16:9a - 엘라④가 - 디르사에 있어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왕궁 맡은  아르사의 집에서 - 마시고 취할 때에 ③ 집이 디르사에 있었다.(왕상 16:9)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디르사 - 북이스라엘의 수도 중 하나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솔로몬의 사망 이후 왕국이 분열되었을 때부터 - 오므리 왕 때가지.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710. 아르박삿(Arphaxad) - 셈의 3번째 아들, 대홍수 뒤 2년 후에 태어나 710. 아르박삿(Arphaxad) - 셈의 3번째 아들, 대홍수 뒤 2년 후에 태어나① 의미 - ‘범위’, ‘경계’ , ‘영역’② 다른 이름 -            ❶ 아박삿(눅 3:3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눅 3:36 - 그 위는 - 가이난이요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 위는 - 아박삿( = 아르박삿)이요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 위는 - 셈이요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 위는 - 노아요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 위는 - 레멕( = 라멕②)이..
709. 아론(Aron)③ - 아론의 싹 난 지팡이, 백성들을 위해 속죄, 아론의 죽음 709. 아론(Aron)③ - 아론의 싹 난 지팡이, 백성들을 위해 속죄, 아론의 죽음⑯ 아론의 지팡이 - 대사장직의 권위를 드러냄.(민 17:1~8)                ※ 지팡이 - ❶ 바로 앞에서 이적을 행했던 지팡이(출 7:9~12, 출 7:19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권위 -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은 대제사장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합법적인 임무를 행할 수 있는 권위(민 17:1~8)       ⅰ) 고라 -모세와 아론에게 반역해 반란을 일으켰다. - 시기와 질투(민 16:3~35, 민 26:9~1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709. 아론(Aron)② - 최초의 대제사장, 거룩한 옷, 제사장 위임식과 직무 709. 아론(Aron)② - 최초의 대제사장, 거룩한 옷, 제사장 위임식과 직무 ⑬ 최초의 대제사장이 됨 - 제사장 위임식(출 28:1~3, 레 8:1~36)            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❶ 대제사장 성별 - 아론과 그 아들들을 대제사장으로 성별함.(출 28:1, 레 8~9장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모세 - 특별 제사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178. 대제사장①②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709. 아론(Aron)① - 모세의 형, 모세의 대언자, 아론의 금송아지 사건 709. 아론(Aron)① - 모세의 형, 모세의 대언자, 아론의 금송아지 사건① 의미 - ‘고귀하다’, ‘강하다’② 레위지파 - 고핫 자손.(출 2:1, 출 4:14, 출 6:16~20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아브라함 → 이삭 → 야곱 → 레위① → 고핫 → 아므람 → 아론 →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→ 나답①, 아비후, 엘르아살①, 이다말 → . . . ③ 가족 -       ⅰ) 아버지 - 아므람(출 6:20)       ⅱ) 어머니 - 요게벳(출 6:20)       ⅲ) 남동생 - 모세(출 6:20, 출 7:7, 민 56:29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708. 아레다 4세(Aretas IV) - 나바테아 왕, 아레다 고관이 바울을 잡으려함 708. 아레다 4세(Aretas IV) - 나바테아 왕, 아레다 고관이 바울을 잡으려함① 의미 - ‘선함’, ‘탁월’② 다른 이름 - 아레타스 4세 ③ 가장 유명한 나바테아 왕(BC 9 ~ AD 40년경)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나바테아인들은 - 요단강 동쪽과 북아라비아에서 시내 반도까지 광범위하게 살았음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특히 주로 북아라비아를 지배함.      ④ 아레다 4세는 - '아레다'라는 이름을 가진 마지막 왕.              ❶ 아레타스 1세(Aretas I)(BC 168 ~ BC 144)              ❷ 랍벨 1세 (Rabbel I)(BC 140 ~ BC 120)              ❸ 아레타스 2세(Ar..
707. 아레다 1세(Aretas I)① - 나바테아( = 나바트) 왕국의 최초의 왕 707. 아레다 1세(Aretas I)① - 나바테아( = 나바트) 왕국의 최초의 왕 ① 의미 - ‘선함’, ‘탁월’② 다른 이름 - 아레타스 1세③ 나바테아( = 나바트) 왕국의 최초의 왕 - BC 170년경(마카비 2서 5:8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아레다 1세의 이름이 - 할루차(Halutza)에서 발견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가장 오래된 나바테아 비문에 나타났음.(BC 168년)          ❶ 아레타스 1세(Aretas I)(BC 168 ~ BC 144)           ❷ 랍벨 1세 (Rabbel I)(BC 140 ~ BC 120)          ❸ 아레타스 2세(Aretas ..
706. 아람(Aram)② - 아람을 정복한 나라들, 신약시대 아람 수리아 706. 아람(Aram)② - 아람을 정복한 나라들, 신약시대 아람 수리아(3) 아람을 정복한 나라① 앗수르( = 아시리아)의 지배를 받게 됨.               cf) 수리아( = 시리아 = 아람) 멸망 - 앗수르( = 아시리아) 디글랏 빌레셀 3세 에게(BC 732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수도 다메섹( = 다마스쿠스)을 점령 당함(BC 732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르신 왕이 - 죽임 당함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60. 르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앗수르 유수 - 아람(다메섹) 사람들이 끌려감.(왕하 16:9)   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