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6. 바나바 ~ 빌하

(132)
344. 바벨론(Babylon)② - 성경에 나오는 바벨론(바빌론) 왕들 344. 바벨론(Babylon)② - 성경에 나오는 바벨론(바빌론) 왕들(1) 신바벨론 왕들과 남유다와의 관계1) 나보폴라살(BC 625 ~ BC 605)① 의미 - ‘나부는 아들을 보호한다.’② 신바벨론 제국(가르테아 왕조)의 초대 왕.(BC 626~BC605)       ③ 가족 -       ⅰ) 아들 - 느부갓네살 2세.       ⅱ) 손자 - 에월 므로닥       ⅲ) 손녀 - 리토크리스(벨사살 어머니)       ⅳ) 손자사위 - ❶ 나보니두스(벨사살 아버지)    ❷ 네르갈 사레셀(라바시 마르둑의 아버지)       ⅴ) 증손자 - ❶ 벨사살    ❷ 라바시 마르둑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나보폴라살(BC 625~BC 605) → 느부갓네살 2세(BC 604~BC 562) → ..
344. 바벨론(Babylon)① - 바빌론, 바벨론의 특징, 바벨론을 다스린 왕들 344. 바벨론(Babylon)① - 바빌론, 바벨론의 특징, 바벨론을 다스린 왕들① 의미 - ‘신의 문’② 다른 이름 - 바빌론 = 바빌로니아 ③ 수도 - 바벨론( = 바빌론 = 바빌로니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제국의 정치적, 종교적 수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나라 이름과 수도 이름이 - 같다.       ④ 위치 - 현대 이라크 지역         ⅰ)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 위치         ⅱ)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발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메소포타미아               ⅲ) 현재 서남 아시아 이라크의 유프라테스( = 유브라데) 강..
343. 바리새인(Pharisees) - 엄격한 율법주의 자들, 외식하는 자들, 화 있을 진저 343. 바리새인(Pharisees) - 엄격한 율법주의 자들, 외식하는 자들, 화 있을 진저① 의미 - ‘분리된 자들’② 유대인의 3대 분파 중 하나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바리새파( = 바리사이파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사두개파( = 사두가이파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에세네파 ③ 기원 - 마카비 혁명 때(BC 165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요한 힐카누스 통치(BC 135년) 때 - 처음 ‘바리새’라는 이름이 등장함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맛다디아  ..
342. 바르실래(Barzillai) - 다윗이 압살롬을 피해 도망할 때 대접한 80세 노인 342. 바르실래(Barzillai) - 다윗이 압살롬을 피해 도망할 때 대접한 80세 노인① 의미 - ‘냉철한 사람’, ‘경멸받을 정도로 차가운 사람② 아들 - 김함(삼하 19:3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삼하 13:17b - “그러나 왕의 종 김함이 - 여기 있사오니 -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청컨대 - ❶ 저로 - 내 주 왕과 함께 - 건너가게 하옵시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왕의 처분대로 - 저에게 베푸소서!.”(삼하 19:37) ③ 길르앗 사람으로 - 로글림에 살았다.(삼하 ..
341. 바룩(Baruch)③ - 느헤미야와 함께 언약에 인친 제사장 341. 바룩(Baruch)③ - 느헤미야와 함께 언약에 인친 제사장 ① 의미 - ‘축복 받은 자’ ② 느헤미야①와 함께 - 언약에 인친 제사장.(느 10:6) ※ 느 10:1 - 그 인봉한 자는 하가랴의 아들 총독 느헤미야①와 시드기야, 느 10:6 - 다니엘, 긴느돈, 바룩③
340. 바룩(Baruch)② - 느헤미야① 때 예루살렘 성벽 재건 도움 340. 바룩(Baruch)② - 느헤미야① 때 예루살렘 성벽 재건 도움 ① 의미 - ‘축복 받은 자’ ② 바벨론 포로 귀환자(느 3:20) ③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할 때 - 도왔던 사람.(느 3:20) ※ 느 3:20 - 그 다음은 삽배의 아들 바룩②이 - 한 부분을 힘써 중수하여 - ⇒ 성 굽이에서부터 -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집 문에 이르렀고
339. 바룩(Baruch)① - 예레미야의 친구, 예레미야가 불러주는 대로 기록 339. 바룩(Baruch)① - 예레미야의 친구, 예레미야가 불러주는 대로 기록① 의미 - ‘축복 받은 자’② 가족          ⅰ) 아버지 - 네리야          ⅱ) 형제 - 스라야(렘 36:4, 렘 36:32)  ③ 직분 -          ❶ 서기관 - 예레미야의 서기(대필자)이며 진실한 친구.(렘 36:4, 렘 36:18, 렘 36:32, 렘 45:1)          ❷ 유대인들은 - 에스라의 선생이라고 말함. ④ 바룩①은 - 예레미야가 예언을 불러 준대로 기록했다.(렘 36:4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렘 36:4 - 예레미야가 - 네리야의 아들 바룩①을 부르매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338. 바로(Pharaoh) - 이집트 파라오, 성경에 나오는 이집트(애굽) 왕들 338. 바로(Pharaoh) - 이집트 파라오, 성경에 나오는 이집트(애굽) 왕들① 의미 - ‘큰 집’② 파라오 = 애굽(이집트)의 왕을 칭함.         ③ 총 26 왕조가 있었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메네스(BC 3,400) ~ 페르시아에 의해 폐위된 프삼틱 3세까지(BC 525) ④ 개개인 바로의 이름은 출생시에 붙여짐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ex) 바로 시삭, 바로 느고, 바로 호프라 등 . . . ⑤ 이집트가 다른 나라의 식민지가 되면 - 그 정복자가 이집트의 파라오가 되었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앗수르(앗시리아) → 바벨론(바빌론) → 바사(페르시아) → 헬라(그리스) →       ..
337. 바란(Paran) - 가데스바네아와 신(Zin)야가 연결된 광야, 크고 두려운 광야 337. 바란(Paran) - 가데스바네아와 신(Zin)야가 연결된 광야, 크고 두려운 광야① 의미 - ‘장식품’② 다른 이름 - 엘바란(창 14: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창 14:6 - 호리 족속을 - 그 산 세일에서 쳐서 -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광야 근방 엘바란까지 이르렀으며 ③ 시나이반도의 중앙의 동쪽에 있는 광야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59. 광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   ④ 성경에 기록된 광야 중 가장 큰 광야이..
336. 바락(Barak) - 여선지자 드보라의 군대장관, 하솔①의 시스라를 물리침 336. 바락(Barak) -  여선지자 드보라의 군대장관, 하솔①의 시스라를 물리침① 의미 - ‘번갯불’② 납달리 지파 게데스(도피성이 위치한 곳) 출신.(삿 4: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6. 게데스①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삿 4:6 - 드보라가 - 사람을 보내어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아비노암의 아들 바락을 - 납달리 게데스①에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불러다가 그에게 이르되 -      ..
335. 바돌로매 - 사도 나다나엘,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느냐 335. 바돌로매 - 사도 나다나엘,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느냐① 의미 - ‘탈마이의 아들’② 사도 - 예수님의 12 사도 중 한 .(마 10:2~4, 행 1:13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시몬① 베드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야고보①(큰 야고보, 세대배의 아들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요한②(세대배의 아들)              ❹ 안드레(베드로와 형제)        ❺ 빌립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❻ 바돌로매(나다나엘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❼ 마태(레위②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❽ 도마(디두모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❾ 야고보②(작은 야고보, 알패오②의 아들 )  ..
334. 바나바(Banabas) - 구브로 출신의 바울의 동역자, 마가의 외삼촌 334. 바나바(Banabas) - 구브로 출신의 바울의 동역자, 마가의 외삼촌① 의미 - ‘권위자’, ‘위로의 아들’② 다른 이름 - 요셉⑤(행 4:3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행 4:36 - 구브로에서 난 -  레위족 사람이 있으니 -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❶ 이름은 - ‘요셉⑤’이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사도들이 일컬어 - ‘바나바’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