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6. 바나바 ~ 빌하

(132)
413. 벳새다(Bethsaida)① - 그술, 오병이어 기적, 맹인을 고치심, 회개하지 않은 마을 413. 벳새다(Bethsaida)① - 그술, 오병이어 기적, 맹인을 고치심, 회개하지 않은 마을① 의미 - ‘어부들의 집’, ‘물고기의 집’② ‘벳세다①’라는 명칭은 - 로마 황제 옥타비아누스의 딸 - ‘벳새다 율리오’의 이름에서 비롯됨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옥타비아누스 = 아구스도 = 아우구스투스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45. 로마제국①② ③ 다른 이름 -               ❶ 구약시대 – 그술, 게술               ❷ 헤롯 빌립④ 2세에 의해 - ⒈ ..
412. 벨사살(Belshazzar) - 바벨론 마지막 왕, 벽에 나타난 손 글씨 412. 벨사살(Belshazzar) - 바벨론 마지막 왕, 벽에 나타난 손 글씨① 의미 - ‘벨이여 왕을 지켜주옵소서’, ‘벨 신이 그의 왕을 수호한다.’② 신바벨론 제국의 마지막 왕.(단 5:1, 단 5:30~3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44. 바벨론①~③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나보폴라살(BC 625~BC 605) → 느부갓네살 2세(BC 604~BC 562) →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→ 에월므로닥(BC 561~BC 560) → 네르갈 사레셀(BC 559~BC 556) →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411. 벨릭스(Felix) - 유대를 다스리던 로마 총독, 바울을 옥에 가둠 411. 벨릭스(Felix) - 유대를 다스리던 로마 총독, 바울을 옥에 가둠 ① 의미 - '행복② 유대를 통치한 로마 총독.(AD 52~60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글라우디오 황제 시대, 네로 황제 시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45. 로마제국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86. 글라우디오                ..
410. 벨드사살(Belteshazzar) - 다니엘①의 바벨론식 이름 410. 벨드사살(Belteshazzar) - 다니엘①의 바벨론식 이름① 의미 - ‘부인(벨 신의 아내)께서 왕을 수호하시길’,                 ‘벨이 사랑하는 자’, ‘벨이 그의 생명을 지키소서!’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409. 벨 ② 다른 이름 - 다니엘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의미 - ‘하나님이 심판하신다’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158. 다니엘①   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cf)  바벨론 이름 - 벨드사살(단..
409. 벨(Bel) - 바벨론의 국가신, 다니엘과 세 친구들에게 믿도록 강요한 신 409. 벨(Bel) - 바벨론의 국가신,  다니엘과 세 친구들에게 믿도록 강요한 신① 의미 - ‘주인’② 바벨론의 국가신(사 46:1, 렘 50:2, 렘 51:44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므로닥 = 벨 = 마르둑(히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44. 바벨론①~③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벨은 - 본래 바벨론의 작은 지방인 닙볼(Nippur)의 - 지방신이었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BC 18세기 함무라비 왕이 - 바벨..
408. 벧엘(Bethel) - 야곱이 제단을 쌓은 곳, 여로보암①의 금송아지 제단 408. 벧엘(Bethel) - 야곱이 제단을 쌓은 곳, 여로보암①의 금송아지 제단① 의미 - ‘하나님의 집’② 다른 이름               ❶ 베델              ❷ 루스①( = 루즈) - 이스라엘 민족이 이곳을 정복할 때까지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가나안 거주민들은 - 이곳을 ‘루스①’, ‘루즈’라고 불렀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창 28:19, 삿 1:22이하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창 28:19 - 그 곳 이름을 - ‘벧엘’이..
407. 벧세메스(Beth shemesh)② - 애굽의 온, 벧세메스의 석상들을 깨뜨리고 407. 벧세메스(Beth shemesh)② -  애굽 온, 벧세메스의 석상들을 깨뜨리고① 의미 - ‘태양의 집’, ‘ 태양의 궁’② 애굽( = 이집트)의 삼각주에 있는 한 도시.      ③ 현재 - 카이로 북동쪽 16km 지점.(텔 히슨, 마타리예)  ④ 다른 이름 -          ❶ 온 - 이집트어로 ‘빛’, ‘태양’을 의미함.(창 41:45)          ❷ 아웬(의미 - 우상숭배)(겔 30:1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겔 30:17 - 아웬과 비베셋의 장정들은 - 칼에 엎드러질 것이며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그 성읍 주민들은 - 포로가 될 것이라          ❸ 헬..
406. 벧세메스(Beth-shemesh)① - 유다 지파 성읍, 언약궤가 있던 곳 406. 벧세메스(Beth-shemesh)① - 유다 지파 성읍, 언약궤가 있던 곳① 의미 - ‘태양의 집’, ‘ 태양의 궁’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이름으로 보아 - 태양신을 섬기던 곳이었음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히브리어의 뜻 - ‘베이트’ - ‘집’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‘쉐메쉬’ - ‘태양’② 다른 이름 - 벳세메스③ 위치 - 유다 지파의 땅 - 블레셋 국경 근처 북서쪽 성읍.(수 15:10, 삼상 6:12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예루살렘에서 서남쪽으로..
405. 벤하닷③ 3세(Ben Hadad Ⅲ) - 아람 다메섹 왕, 요아스①와 전쟁 405. 벤하닷③ 3세(Ben Hadad Ⅲ) - 아람 다메섹 왕, 요아스①와 전쟁① 아람(다메섹)왕국의 왕 - BC 796~770년경 통치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하닷에셀 → 르손 → 벤하닷 1세 → 벤하닷 2세 → 하사엘 →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벤하닷 3세 → 르신        ② 왕위 찬탈자 하사엘의 아들.(왕하 13:3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왕하 13:3 -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노하사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늘 - 아람 왕 하사엘의 손과          ..
404. 벤하닷② 2세(Ben hadad Ⅱ)② - 나아만을 보냄, 사마리아 포위 404. 벤하닷② 2세(Ben hadad Ⅱ)② -  나아만을 보냄, 사마리아 포위⑩ 나아만 군대 장관의 나병( = 문둥병) 치료를 위해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편지를 써서 - 북이스라엘 여호람①에게 보냄.(BC 860~841년)(왕하 5:1~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나병을 고침 받음 (왕하 5:1~14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때 - 이스라엘(여호람①)과 아람(벤하닷 2세) 간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잠깐의 정전 기간인 것 같다.(왕하 5:1~17, 왕하 5:5~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404. 벤하닷② 2세(Ben Hadad Ⅱ)① - 아람 다메섹 왕, 북이스라엘 아합 공격 404. 벤하닷② 2세(Ben Hadad Ⅱ)①  - 아람 다메섹 왕, 북이스라엘 아합 공격① 아람(다메섹) 왕국의 왕 - BC 860~843년경에 통치.(왕상 20:1~43, 왕하 5:1~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하닷에셀 → 르손 → 벤하닷 1세 → 벤하닷 2세 → 하사엘 →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→ 벤하닷 3세 → 르신       ② 가족       ⅰ) 증조 할아버지 - 헤시온(왕상 15:18)       ⅱ) 할아버지 - 다브림몬(왕상 15:18)       ⅲ) 아버지 - 벤하닷 1세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403. 벤하닷 1세 ③ 북이스라..
403. 벤하닷① 1세(Ben-Hadad Ⅰ) - 아람 다메섹 왕, 아사를 도우려 바아사 공격 403. 벤하닷① 1세(Ben-Hadad Ⅰ) - 아람 다메섹 왕, 아사를 도우려 바아사 공격① 의미 - ‘하닷신의 아들’② 다메섹 아람 왕국을 통치(BC 900~BC 860년경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169. 다메섹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 아람( = 메섹 = 수리아 = 시리아)왕국의 왕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하닷에셀 → 르손 → 벤하닷 1세 → 벤하닷 2세 → 하사엘 →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→ 벤하닷 3세 → 르신..
402. 베스도(Festus) - 페스투스, 유다 다스리던 로마 총독, 바울을 로마로 보냄 402. 베스도(Festus) - 페스투스, 유다 다스리던 로마 총독, 바울을 로마로 보냄① 의미 - ‘즐거움’, ‘기쁨’② 다른 이름 - 페스투스 ③ 로마 총독(행 24:2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45.로마제국       ⅰ) 총독 벨릭스( = 펠릭스)를 계승하여 - 유다지방을 통치.(행 2:2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411. 벨릭스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행 2:27 - 이태(2년)가 지난 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401. 베뢰아(Berea) - 베레아, 너그러우며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상고함 401. 베뢰아(Berea) - 베레아, 너그러우며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묵상함① 의미 - ‘물이 풍부한’, ‘많은 물줄기’(well watered, place of many water)② 마케도니아에 있는 도시 중 하나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마게도냐 주요 도시 - 네압볼리, 빌립보, 암비볼리, 아볼로니아 데살로니가, 베뢰아 . 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247. 마게도냐      ③ 현대 이름 - 베리아(Verria) ④ 위치 -       ⅰ) 아테네와 데살로니가 사이에 위치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데살로니..
400. 베레스(Perez) - 유다①와 다말①의 아들, 베레스 가문을 통해 메시아가 400. 베레스(Perez) - 유다①와 다말①의 아들, 베레스 가문을 통해 메시아가 ① 의미 - ‘터짐’ ② 유다①와 다말① 사이에서 태어난 - 쌍둥이 형.(창38:13~29, 대상 2:4) cf) 다말① - 유다①의 며느리이자 아내.(창 38:6) ③ 가족 ⅰ) 고조 할아버지, 할머니 - 아브라함, 사라(대상 1:28, 대상 1:34, 대상 2:1~2) ⅱ) 증조 할아버지, 할머니 - 이삭, 리브가(대상 1:34, 대상 2:1~2) ⅲ) 할아버지 - 야곱(창 35:22, 창 46:19) ⅳ) 할머니 - 레아(창 35:23) ⅴ) 친삼촌들과 고모 - ❶ 르우벤 ❷ 시므온① ❸ 레위① ❹ 잇사갈 ❺ 스불론(창 35:23) ※ 딸 - 디나(창 30:21) ⅵ) 이복 삼촌들(창 35:22~26) Ⓐ 라헬로부..
399. 베들레헴(Bethlehem)② - 스불론 지파 땅에 있는 베들레헴 399. 베들레헴(Bethlehem)② - 스불론 지파 땅에 있는 베들레헴① 의미 - ‘떡집’, ‘빵집’② 스블론의 성읍 - 나사렛에서 11km 떨어짐.(수 19:15~16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수 19:15 - 또 갓닷과 나할랄과 시므론과 이달라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베들레헴②이니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모두 12 성읍과 그 마을들이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수 19:16 - 스불론 자손이 그들의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  ..
398. 베들레헴(Bethelehem)① - 유다 지파 땅, 다윗의 고향, 예수가 태어난 곳 398. 베들레헴(Bethelehem)① - 유다 지파 땅, 다윗의 고향, 예수가 태어난 곳① 의미 - ‘떡집’, ‘빵집’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2개의 설명이 있다.       ⅰ) 집을 의미하는 - ‘Beth’             고기, 빵을 의미하는 - ‘Lehem’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베들레헴 - ‘레헴의 집’이라는 뜻에서 이름 붙여짐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빵집       ⅱ) 레헴(Lehem) - 가나안 우상 중 별신이자 풍요의 신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베들레헴 - ‘레헴 신의 집’.          ..
397. 베드로 후서 - 베드로의 두 번째 편지, 거짓 선지자와 선생을 조심하라 397. 베드로 후서 - 베드로의 두 번째 편지, 거짓 선지자와 선생을 조심하라 (1) 저자 – 베드로( = 시몬①, 게바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395. 베드로(2) 기록 연대 - AD 66년경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네로 황제의 기독교 박해가 극심하던 집권말기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바울의 순교 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베드로 전서 - AD 64년경 기록됨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396. 베드로 전서 - 베드로의 첫번째 편지, 베드로 전서의 특징과 목적 396. 베드로 전서 - 베드로의 첫번째 편지, 베드로 전서의 특징과 목적(1) 저자 - 베드로( = 시몬①, 게바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실라( = 실루아노)의 도움을 받아 기록함.(벧전 5:12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벧전 5:12 - 내가 신실한 형제로 아는 실루아노로 말미암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너희에게 간단히 써서 권하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것이 하나님의 참된 은혜임을 증언하노니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너희는 이 은혜에 굳게 서라!.  (2) 기록 ..
395. 베드로(Peter)⑤ - 베드로의 로마 선교, 베드로의 순교 395. 베드로(Peter)⑤ - 베드로의 로마 선교, 베드로의 순교⑩ 고넬료가 베드로를 청하다 - 고넬료 사건 – 이방인에게도 성령이 임함(행 10:1~48)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베드로의 설교를 통해 - 온 일가와 친한 친구들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함께 복음을 듣고 -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성령을 받음.(행 10:24, 행 10:45~48)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 이로 말미암아 - 예루살렘 초대교회는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395. 베드로④ - 예루살렘 초대교회의 수장 베드로, 베드로의 이방인 선교 395. 베드로④ - 예루살렘 초대교회의 수장 베드로, 베드로의 이방인 선교 (3) 오순절 이후 - 예루살렘 초대교회와 교회를 중심으로 이방인 선교를 이끔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사도행전, 바울 서신서들, 베드로 전후서를 통해 알 수 있음.① 오순절(Pentecost, Shavuot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1월 16일(초실절)   →   →   →   →   →  오순절(초실절로부터 50일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↳     칠칠절(맥추절)    ←ㅣ       ⅰ) 오순절 - 초실절(16일)부터 50일 되는 날.(레 2..
395. 베드로(Peter)③ - 베드로가 3번 부인,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395. 베드로(Peter)③ - 베드로가 3번 부인,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⑭ 예수께서 체포되심 - 베드로가 대사장의 종 말고의 귀를 자름 - 금요일(유월절) 새벽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눅 22:47~53, 마 26:47~56, 막 14:43~50, 요 18:3~1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가룟 유다②가 - 무리들을 데리고 예수를 잡으러 옴.(마 26:46~50)       ⅰ) 말씀하실 때에 - 12 중의 하나인 - 유다②가 왔는데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Ⓐ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에게서 파송된 - 큰 무리가 -         ..
395. 베드로(Peter)② - 제자로 부름 받음 베드로, 베드로의 고백 395. 베드로(Peter)② - 제자로 부름 받음 베드로, 베드로의 고백(1) 제자로 부름받은 베드로와 그의 사도로서의 삶① 예수님이 - 베드로를 ‘제자’로 부르심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‘사도’가 됨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때 - 예수님이 갈릴리 사역을 시작하기 전에              ⅰ) 요한복음의 기록 - 세례요한①의 말을 들은 형제 안드레가 - 베드로를 예수님께 데리고 감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395. 베드로(Peter)① - 사도 베드로의 중요한 내용, 베드로의 특징 395. 베드로(Peter)① - 사도 베드로의 중요한 내용, 베드로의 특징① 의미 - ‘반석’② 다른 이름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히브리명 - 시므온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헬라명 - 시몬①(요 1:42)                  ❸ 아람어 - 게바(요 1:42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‘게바’의 헬라어 번역 - 베드로(요 1:42) ③ 가족       ⅰ) 아버지 – 요한④(마 16:17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마 16:17 -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..
394. 베데스다(Bethesda) - 치유의 연못이라 믿는 38년 된 병자를 고치심 394. 베데스다(Bethesda) - 치유의 연못이라 믿는 38년 된 병자를 고치심① 의미 - ‘자비의 집’, ‘올리브의 집’, ‘흘러나오는 장소’ ② 다른 이름 - 베짜타, 벳자타 ③ 예루살렘에 있는 연못들 중 하나.(요 5:2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요 5:2 - 예루살렘에 있는 양문 곁에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히브리 말로 - ‘베데스다’라 하는 못이 있는데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거기 행각 다섯이 있고       ④ 위치 - 예루살렘의 동쪽 스테반 문( = 양문 = 사자문 = 마리아①문)을 통해 성안으로 들어가 약 40m쯤.            ..
393. 베다니(Bethany)② - 세례 요한①의 세례 장소, 예수님이 세례 받은 장소 393. 베다니(Bethany)② - 세례 요한①의 세례 장소, 예수님이 세례 받은 장소① 의미 - ‘가난한 자의 집’, ‘슬픔의 집’② 요단 동편 지역 베다니②.(요 1:28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요 1:28 - 이 일은 요한②이 - 세례 베풀던 곳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요단 강 건너편 베다니②에서 일어난 일이니라       ③ 세례요한①이 세례를 주던 여러 장소 중 - 한 곳(요 1:28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cf) 세례요한①은 - 여러 곳에서 설교와 세례를 주었다.      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유대광야 - 설교함(마 3:1)  ..
392. 베다니(Bethany)① - 요단 서쪽 베다니, 마르다와 마리아②의 마을 392. 베다니(Bethany)① - 요단 서쪽 베다니, 마르다와 마리아②의 마을을① 의미 - ‘무화과 동네’, ‘가난한 자의 집’, ‘슬픔의 집’② 요단 서쪽 베다니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예루살렘에서 남동쪽으로 2~3km 떨어진 마을.(요 11:1, 요 11:18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10리 – 4km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5리 - 2km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요 11:1 - 어떤 병자가 있으니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391. 베니게(Phoenicia) - 페니키아, 포에니, 해상무역국가, 페니키아 문명 391. 베니게(Phoenicia) - 페니키아, 포에니, 해상무역국가, 페니키아 문명① 의미 - ‘자주색’, ‘붉은’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들이 - 뿔고동에서 자주색 물감을 발견했기 때문. ② 다른 이름 -            ❶ 페니키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f) 페니키아는 - ‘자주색’이라는 Phoinike 헬라어(그리스어)에서 유래함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이유 - 이들이 뿔고동에서 자주색 물감을 발견했기 때문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⇒ 자주색 옷감을 만들어 그리스에 수출함..
390. 베냐민 지파 - 베냐민의 자손들, 베냐민 지파에 속한 유명한 사람들 390. 베냐민 지파 - 베냐민의 자손들, 베냐민 지파에 속한 유명한 사람들  ① 베냐민의 후손들.② 출애굽 시대 - 모세와 함게 출애굽함.(출 12:40~41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★참고 - 모세①~⑨            ⅰ)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 거주한 지 - 430 년이라(출 12:40)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430년이 끝나는 그 날에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⇒ 여호와의 군대가 다 - 애굽 땅에서 나왔은즉(출 12:41)       ⅱ) 제 3대로 - 서쪽 진영에 진을 쳤다.(민 2:18~23)  ..
389. 베냐민(Benjamin)② - 베냐민과 형 요셉①이 만남 389. 베냐민(Benjamin)② - 베냐민과 형 요셉①이 만남⑰ 요셉①의 시험(창 44:1~34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동생 베냐민과 형제들의 우애와 효심은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❶ 요셉①의 용서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❷ 유다①의 위치에게 - 결정적인 역할이 주어진다.       ⅰ) 요셉①이 - 그의 집 청지기에게 명하여 이르되 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※ 요셉 - “양식을 - 각자의 자루에 운반할 수 있을 만큼 채우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