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 (1460) 썸네일형 리스트형 194. 돌라(Tola) - 이스라엘 잇사갈 지파의 사사 194. 돌라(Tola) - 이스라엘 잇사갈 지파의 사사 ① 의미 - ‘낳는 자’② 잇사갈지파 부아의 아들. ③ 사사 - 잇사갈 지파(삿 10:1) cf) 아비멜렉③ 이후 사사가 됨. cf) 아비멜렉③ - 기드온(여룹바알)의 아들. 70형제들을 죽이고 왕이 됨. 폭정과 혼란 상태였음.(삿 8:33~9:57) .. 193. 도피성 -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도망하여 피신할 수 있는 성 193. 도피성 -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도망하여 피신할 수 있는 성① 히브리어 - ‘이르 미클라트'(עִיר מִקְלָט)’(민 35:6~32, 신 4:41~43, 신 19:1~13, 수 20:2)② 의미 – 우발적(부지중, 비고의적) 살인자가 도망하여 피신할 수 있는 성.(민 35:11) cf) 고의로 살인한 자는 - 죽임 당함.(민 35:31) ※ 민 35:11 - 너희를 위하여 - ※ 성읍을 - 도피성으로 정하여 .. 192. 도비야 - 암몬 사람, 느헤미야 성벽 재건을 방해 192. 도비야 - 암몬 사람, 느헤미야 성벽 재건을 방해① 의미 - ‘여호와는 (내게)선하시다’② 반쪽 유대인 인듯 함 - 이름의 의미로 추측. ③ 암몬 사람으로 관리(방백)이었다.(느 2:10) ※ 느 2:10 - 호론 사람 산발랏과 종이었던 암몬 사람 도비야가 - ※ 이스라엘 자손을 흥왕하게 하려는 사람이 왔다 함을 - 듣고 ⇒ .. 191. 도미티아누스 - 로마황제, 사도 요한②을 밧모 섬으로 유배시킴 191. 도미티아누스 - 로마황제, 사도 요한②을 밧모 섬으로 유배시킴① 티투스 플라비우스 도미티아누스(Titus Flavius Domitianus)(AD 51년~96년)② 로마의 황제 – 재위 AD 81년 9월 14일 ~ 96년 9월 18일(암살, 기록말살형) cf) 성경에는 - 11명의 로마황제(가이사르=가이사)가 나온다. ※ ❶ 아우구스투스(= 옥타비아누스) → ❷ 티베리우스(디베료) → ❸ 칼리큘라 → → ❹ 클라우디우스(글라우디오) → ❺ 네로 → ❻ 갈바 → ❼ 오토 → .. 169. 다메섹(Damascus)② - 앗수르에게 멸망, 바울의 회심과 전도 169. 다메섹(Damascus)② - 앗수르에게 멸망, 바울의 회심과 전도⑧ 르신 – 이스라엘 베가와 동맹을 맺고 - ⇒ 남유다 아하스를 치러 올라옴. ⇒ 크게 패하였다.(대하 28:5, 왕하 16:5, 사 7:3~25) ❶ 다메섹을 통치하였던 마지막 아람 왕. ❷ 앗수르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멸망당함.(왕하 15:28~29, 왕하 16:9) ⅰ) 아람 성읍을 회복함. - 북이스라엘 베가 때(왕하 16:6).. 169. 다메섹(Damascus)① - 아람(수리아 = 시리아)의 수도, 아람의 왕들 169. 다메섹(Damascus)① - 아람(수리아 = 시리아)의 수도, 아람의 왕들① 아람의 수도(BC 10~8세기) - cf) 다메섹 = 다마스쿠스 = 다마스커스 Damascus ❶ 수리아(시리아) - 아람의 헬라식 명칭 ※ 아람 = 수리아 = 시리아 = 메소포다미아 = 아람 나하라임 (민 23:7, 삼하 8:5, 왕상 20:20, 대상 1:17, 암 1.. 168. 다말③(Tamar③) - 압살롬의 딸, 남유다 1대 왕 르호보암의 부인 168. 다말③(Tamar③) - 압살롬의 딸, 남유다 1대 왕 르호보암의 부인① 의미 - ‘종려나무’② 가족 ⅰ) 할아버지 - 다윗(삼하 3:2) ⅱ) 할머니 - 마아가ⓛ(그술왕 달매의 딸)(삼하 3:2~5) ⅲ) 아버지 - 압살롬(삼하 14:27) ※ 삼하 14:27 - 압살롬이 - 아들 3과 딸 1를 낳았는데 - ※ 딸의 이름은 - 다말③이라 .. 167. 다말②(Tamar②) - 다윗의 딸, 압살롬의 친 누이, 이복 오빠 암논①에게 강간당함 167. 다말②(Tamar②) - 다윗의 딸, 압살롬의 친 누이, 이복 오빠 암논①에게 강간당함① 의미 - ‘종려나무’② 다윗과 마아가①의 딸, 압살롬의 친누이. ③ 가족 ⅰ) 고조할아버지 할머니 - 보아스와 룻(다윗의 증조할아버지)(룻 4:17, 마 1:5~6) cf) 보아스 - 살몬➀과 라합의 아들(룻 4:21~22, 대상 2:11~12, 마 1:5~6) 살몬 – 여리고 정탐꾼 ⅱ) 증조할아버지 - 오벳(다윗의 할아버지)(룻 4:22, 대상 2:11~12, 마 1:5~6) ⅲ) 할아버지 – 이새(삼상 17:12~14, 대상 2:13~15) .. 166. 다말① - 유다의 며느리이자, 유다의 아들들 베레스와 셀라의 어머니 166. 다말① - 유다의 며느리이자, 유다의 아들들 베레스와 셀라의 어머니 ① 의미 - ‘종려나무’ ➁ 예수님의 족보에 오른 유다의 며느리.(창 38:6, 룻 4:12, 대상 2:4, 마 1:3) ③ 가족 ⅰ) 시고조 할아버지, 할머니 – 아브라함, 사라(대상 1:28, 대상 1:34, 대상 2:1~2) ⅱ) 시증조 할아버지, 할머니 – 이삭, 리브가(대상 1:34, 대상 2:1~2) ⅲ) 시할아버지, 할아버지 - 야곱, 레아(창 35:22~23, 창 46:19) ⅳ) 시아버지 - 유다(창 38:6) cf) 유다의 - 친형제와 누이 – ⒈ 르우벤 ⒉ 시므온①.. 165. 다리오④ 3세(Darius④ Ⅲ) - 페르시아 마지막 왕, 헬라 알렉산더 3세에게 멸망 165. 다리오④ 3세(Darius④ Ⅲ) - 페르시아 마지막 왕, 헬라 알렉산더 3세에게 멸망 ① 다른 이름 - ❶ 즉위 전 이름 – 아르타샤타(Artashata) ❷ 그리스인들에게 불린 이름 - 코도마누스(Codomanus) ② 페르시아(바사)제국의 마지막 왕.(BC 336~330) ❶ 아닥사스다④ 3세의 - 조카 손자 ❷ 헬라 마케도니아(마게도냐) 알렉산더 3세( = 알렉산더 대왕)에게 멸망함. ③ 페르시아(바사) 왕 - 재위 BC423-BC404(느 12:22) .. 164. 다리오③ 2세(Darius③ Ⅱ) - 페르시아 왕, 3차 펠로폰네소스 전쟁때 스파르타 도움 164. 다리오③ 2세(Darius③ Ⅱ) - 페르시아 왕, 3차 펠로폰네소스 전쟁때 스파르타 도움① 즉위 전 이름 - 오쿠스(Ochus) ② 페르시아(바사) 왕 - 재위 BC423-BC404(느 12:22) cf) ❶ 고레스② 2세(BC536~BC529)(바사) → → ❷ 아닥사스다①(= 캄비세스 2세)(BC529~BC521) → → ❸ 가짜 스메르데스(= 마시승 가우마타)(BC521) → → ❹ 다리오② 1세(= 다리우스 히스타스페스.. 163. 다리오② 1세(Darius② Ⅰ) - 페르시아 왕, 다리오 조서, 성전 재건 완공, 마라톤 전투 163. 다리오② 1세(Darius② Ⅰ) - 페르시아 왕, 다리오 조서, 성전 재건 완공, 마라톤 전투 ➀ 다리우스 히스타스페스(Darius Hystaspes)(재위 BC 521~ BC 486년) ② 바사(페르시아)의 왕 ★참고 - 346. 바사①② cf) ❶ 고레스② 2세(BC536~BC529)(바사) → → ❷ 아닥사스다①(= 캄비세스 2세)(BC529~BC521) → → ❸ 가짜 스메르데스(= 마시승 가우마타)(BC521) → .. 162. 다리오①(Darius①) - 메대의 마지막 왕, 다니엘을 사자굴에 162. 다리오①(Darius①) - 메대의 마지막 왕, 다니엘을 사자굴에 ① ‘다리오’는 - 메데-바사제국의 왕들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. ex) ‘아하수에로’(바사=페르시아)나 ‘간다게’(구스=에디오피아)처럼 ② 다른 이름 - 다리우스, 키악사레스 2세③ 메대의 마지막 왕.(단 5:31) ★ 참고 - 160번 - 다니엘서① .. 161. 다대오 - 12 사도 중 한 명, 아르메니아 선교 161. 다대오 - 12 사도 중 한 명, 아르메니아 선교 ➀ 의미 - ‘사랑받는 아들’➁ 야고보④의 아들(마 10:3, 막 3:18, 눅 6:14~16, 행 1:13, 요 14:22) ※ 어떤 야고보인지 분명치 않음 ③ 예수님의 12 사도(제자) 중 한 사람.(마 10:3, 막 3:18, 눅 6:12~16) ★ 참고 - 79번 - 그리스도(Christ)④ cf) ❶ 목적 - 예수님의 - 지상 사역과 - 장차 올 심판 때에 .. 190. 도마 - 예수님의 제자, 의심 많은 도마, 인도로 전도하러 간 도마 190. 도마 - 예수님의 제자, 의심 많은 도마, 인도로 전도하러 간 도마① 의미 - ‘쌍둥이’② 다른 이름 – 디두모(요 11:16, 요 20:24, 요 21:2) cf) 도마 - 히브리식 이름 디두모 - 헬라식 이름 ⅰ) 디두모(Didymus) 의미 - ‘쌍둥이’. ⅱ) 요한②이 별칭을 붙여 줌. ※ 요 11:16 - ‘디두모’라고도 하는 ‘도마’가 다른 제자들에게 말하되 - .. 189. 도르가 - 다비다, 욥바에 살았던 여제자, 선행과 구제, 베드로가 살려줌 189. 도르가 - 다비다, 욥바에 살았던 여제자, 선행과 구제, 베드로가 살려줌① 의미 - ‘영양’② 욥바에 살았던 여제자 - 초기 기독교 신자.(행 9:36) ※ 행 9:36 - 욥바에 ‘다비다’라 하는 - 여제자가 있으니 그 이름을 번역하면 - ‘도르가’라 ※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- 심히 많더니 ③ 다른 이름 - ‘다비다’(행 9:36, 행 9:40) c.. 188. 데오빌로 -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의 수신자, 개종한 고위층 그리스도인 188. 데오빌로 -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의 수신자, 개종한 고위층 그리스도인① 의미 - ‘하나님께 사랑 받는 자’, ‘하나님의 친구’② 누가복음(눅 1:3)과 사도행전(행 1:1)의 수신자 cf) 누가가 써서 보냄. ★참고 - 140번 - 누가복음① ⅰ) 누가복음 기록 목적 – 각하가 알고 있는 바를 - 더 확실하게 하려함.(눅 1:4) ※ 예수의 공생애 시작부터 부활까지(행 1:1~2) Ⓐ 우리 중에 이루어진 사실에 대하여(눅 1:1) - .. 187. 데살로니가 후서 - 바울이 고린도에서 데살로니가에 보낸 두 번째 편지 187. 데살로니가 후서 - 바울이 고린도에서 데살로니가에 보낸 두 번째 편지(1) 저자 - 바울(2) 기록 연대 - 데살로니가 전서를 보낸 몇 개월 후.(AD 50~51년) ※ 바울의 2차 선교 여행 중 – 고린도에서 (3) 기록 목적① 올바른 재림 신앙을 갖게 하기 위함 - 거짓 종말론을 경계(살후 2장) ⅰ) 그리스도 재림에 대한 오해를 풀어 주기 위함. ❶ 거짓 종말론자를 피하라!. ❷ 두려워하거나 미혹되지 마라!.(살후 2:2~3) ⅱ) 예수님 재림 전에 생길 분명한 사건들에 대해 설명.. 186. 데살로니가 전서② - 데살로니가 전서 세부 내용, 데살로니가 교회에 권면 186. 데살로니가 전서② - 데살로니가 전서 세부 내용, 데살로니가 교회에 권면(6) 세부 내용1) 문안 및 감사, 바울의 데살로니가 사역, 디모데의 보고(살전 1~3장) ① 인사(살전 1:1) ※ 살전 1:1 -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② 데살로니가 교인의 믿음에 대한 감사 -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믿음의 본 (살전 1:2~10) .. 185. 데살로니가 - 마게도냐의 수도, 바울로부터 데살로니가 전-후서 받음 185. 데살로니가 - 마게도냐의 수도, 바울로부터 데살로니가 전-후서 받음① 의미 - ‘텟살리의 승리’② 테살로니카 ③ 마게도냐(마케도니아)의 수도 - 카산더에 의해 건설된 마케도니아의 수도. cf) 카산더 - 알렉산더의 사망 이후(BC 332년) 그리스를 통치했던 알렉산더의 부하 장군. ④ 카산더의 아내이자 알렉산더 대왕의 이복 누이인 - ‘데살로니카’의 이름을 본 땀. ⑤ 중요한 국제 무역로의 교차로였음. ※ 북방의 상업도로와 아드리아해-비잔티움 도로의 교차점. .. 184. 데메드리오② - 에베소에서 아데미를 섬기는 은장색, 소동으로 바울을 쫓아냄 184. 데메드리오② - 에베소에서 아데미를 섬기는 은장색, 소동으로 바울을 쫓아냄 ① 의미 - ‘백성의 어머니’② 에베소에 사는 은장색 조합장 – 아데미 상을 만들어 팔아 큰 부를 이룸.(행 19:24) ※ 행 19:24 - 즉' 데메드리오'라 하는 - 어떤 은장색이 - ※ 은으로 - 아데미의 신상 모형을 만들어 - ⇒ 직공들에게 적지 않은 벌이를 하게 하더니 .. 183. 데메드리오① - 사도 요한②이 칭찬한 제자, 요한 삼서를 가이오④에게 전달 183. 데메드리오① - 사도 요한②이 칭찬한 제자, 요한 삼서를 가이오④에게 전달① 의미 - ‘백성의 어머니’② 요한②이 가이오④에게 보낸 편지에서 - 칭찬한 제자.(요삼 1:12) ★ 참고 - 16번 - 가이오④ cf) 요한 삼서 - ❶ 사도 요한②이 에베소에서 보냄 ❷ 수신자 - 가이오④ (개인적 서신임 – 빌레몬서처럼) ※ 어느 지역인지 기록이 안됨. .. 182. 데만②(Teman②) - 에돔의 페트라 위쪽 지역, 왕의 대로가 지나감 182. 데만②(Teman②) - 에돔의 페트라 위쪽 지역, 왕의 대로가 지나감① 의미 – ‘남쪽 땅’ ※ 이스라엘 쪽에서 볼 때 남쪽 땅 ② 현대이름 – 타윌란(Tawilan) ③ 위치 - ⅰ) 에돔 북쪽의 한 지역 - 페트라에서 북쪽으로 약 48km 지점. cf) 데만에서 드단까지 = 에돔 북경에서 남경까지를 의미(겔 25:13) ex) 단에서 브엘세바까지 – 이스라엘의 북에서 남까지 의미 ※.. 181. 데만①(Teman①) - 에서의 손자, 데만 족속의 조상 181. 데만①(Teman①) - 에서의 손자, 데만 족속의 조상① 의미 – ‘남쪽 땅’② 에서의 손자(창 36:11, 창 36:15) ③ 가족 ⅰ) 할아버지 – 에서(창 36:9~10) ⅱ) 아버지 – 엘리바스(창 36:11) ※ 창 36:9 - 세일 산에 있는 에돔 족속의 조상 에서의 족보는 이러하고 창 36:10 - 그 자손의 이름은 이러하니라 .. 180. 데마(Demas) - 바울의 동역자, 바울을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감 180. 데마(Demas) - 바울의 동역자, 바울을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감① 의미 - ‘통속적인’② 바울의 동역자 - 바울이 그를 동역자라고 부름.(몬 1:24) ※ 몬 1:24 - 또한 나의 동역자 마가, 아리스다고, 데마, 누가가 문안하느니라 ③ 데살로니가의 시민으로 추측됨.(딤후 4:10) ※ 딤후 4:10 - 데마는 - 이 세상을 사랑하여 - .. 179. 데라(Terah) - 아브라함의 아버지,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에 정착 179. 데라(Terah) - 아브라함의 아버지,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에 정착① 의미 - ‘야생 염소’② 아브라함의 아버지(창 11:27)③ 가족 - ⅰ) 아버지 - 나홀① ※ 창 11:24 – 나홀①은 29세에 - 데라를 낳았고 ⅱ) 아들 - Ⓐ 육적 계보 - 하란① → 나홀② → 아브라함 Ⓑ 영적 계보 - 아브라함 → 나홀② → 하란①.(창 11:27, 대상 1:26~27) ※ 창 11:27 -.. 178. 대제사장② - 신구약 중간기, 신약시대 대제사장, 대제사장 예수 그리스도 178. 대제사장② - 신구약 중간기, 신약시대 대제사장, 대제사장 예수 그리스도(2) 신구약 중간기 대제사장 ※ 참고 - 박윤식 목사 - ‘맹세 언약의 영원한 대제사장’(휘선)① 프톨레미, 셀류쿠스 지배 시대(BC 320~BC 175년 – 7명) → 30. 오니아스 1세 → 31. 시몬 1세 → 32. 엘르아살 → 33. 므낫세 → → 34. 오니아스 2세 → 35 . 시몬 2세 → 36. 오니아스 3세 → ❶ 3.. 178. 대제사장① - 아론의 후손으로 최고 높은 제사장, 평화언약, 대제사장 계보 178. 대제사장① - 아론의 후손으로 최고 높은 제사장, 평화언약, 대제사장 계보(1) 구약시대 대제사장① 제사장직의 최고 높은 제사장 – 최고 높은 영적 권위자 ★ 참고 - 242번 - 레위기③② 하나님 앞에서 - ❶ 백성을 대표하고 중보하며 ❷ 제사를 베풀고 인도함.③ 하나님께서 친히 정해 주신 직분 - 성막이 완성된 후.(출 27:21, 출 28장) ④ 대상 – 아론과 그의 장남에게 대제사장직을 위임함(레 21:16~23)(출 27:21) .. 177. 대속죄일 - 속죄제, 7월 10일, 회개와 속죄로 정결해지는 날, 아사셀 177. 대속죄일 - 속죄제, 7월 10일, 회개와 속죄로 정결해지는 날, 아사셀① ‘욤 키푸르’(Yom Kippur), Day of Atonement ⅰ) 의미 - 속죄의 날(7월 10일)(레 23:27) ❶ 인간의 죄를 속함 받는 날 ❷ 인간이 - 죄를 회개하며 속죄제를 드리고 - ⇒ 하나님께서 - 죄를 사해 주시는 날 ⅱ) 대제사장이 집례. - 아론과 그의 자손들(레 23:26~32) .. 176. 단 지파 - 단의 자손들, 오홀리압, 삼손, 여로보암①의 금송아지, 앗수르 유수 176. 단지파 - 단의 자손들, 오홀리압, 삼손, 여로보암①의 금송아지, 앗수르 유수 ① 단의 자손들 cf) 단 - 야곱과 빌하의 아들 ② 출애굽 광야시대 ⅰ) 출애굽 후 광야에서 후방 경계의 역할을 맡음(민 10:25) ※ 민 10:25 - 다음으로 단 자손 진영의 군기에 속한 자들이 그들의 진영별로 행진하였으니 - ※ 이 군대는 - 모든 진영의 - 마지막 진영이었더라 단 군대는 암미삿대의 아들 아히.. 이전 1 ··· 38 39 40 41 42 43 44 ··· 49 다음 목록 더보기